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05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03-2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박 성 원 박사(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저자 서문
제1부 가정과 교회 공동체 회복을 위한 신약성서의 메시지
제1장 에베소서의 가정 규범은 과연 가부장적인가?: ‘아내와 남편’에 관한 본문(엡 5:21-33)을 중심으로
제2장 교회 직분에 관한 연구: 에베소서 4장 11-12절을 중심으로
제3장 바울의 성만찬에 관한 소고: 고린도전서 11장 17-34절을 중심으로
제4장 예수의 치유 사역과 교회 디아코니아의 외연 확대
제5장 요한삼서 2절에 관한 소고: ‘삼박자 구원’과 비교하여
제2부 사회 공동체의 현실적 이슈에 대한 신약성서의 메시지
제1장 신약성서와 ‘주초 문제’
제2장 신약성서와 낙태
제3장 신약성서와 안락사
제4장 신약성서와 사형 제도
제5장 신약성서에 나타난 소통에 관한 연구
제3부 한국교회와 한국 사회를 향한 신약성서의 메시지
제1장 신약성경에서의 ‘하나 됨’
제2장 기쁨의 회복: 그리스도의 강림과 그가 전한 복음과 고난 되새기기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에베소서 저자는 아내와 남편에 관하여 본격적으로 말하기 전에 먼저 그리스도를 경외함으로 서로 순종할 것을 수신자에게 당부한다(엡 5:21). 여기에서 순종의 의미는 단순히 한쪽의 일방적인 명령을 의미함은 아니다.
왜냐하면, 신약성서에서는 여기에서만 유일하게 ‘서로에게’ 순종할 것과 배려할 것을 저자가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비교. 엡 5:21, 33; 계속 비교. 롬 13:1; 고전 14:34; 벧전 2:18 등; 참고. 빌 2:3).33 그리고 여기에는 무엇보다 “그리스도를 경외함”(비교. 시 111:10)이라는 대전제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바로 그러한 의미에서 21절은 앞의 구절에 관련되기보다는 이어 나오는 ‘가정 규범’에 더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신약성서 저자들이 낙태 행위를 ‘살인 행위’로 간주하던 당시의 주변 상황(유대교)을 전제한 상태에서 작성하였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이 같은 사실은 낙태 금지에 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있는 초기 기독교 문서들(디다케, 바나바 서신, 베드로묵시록)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다시 말하면 구약성서와 유대교의 영향권에 있던 당시 초기 교회의 그리스도인들로서는 반(反)낙태 입장이 너무도 당연했고, 따라서 신약성서 저자들은 낙태 금지에 대해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38 그러므로 신약성서가 낙태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이 곧 낙태에 동조하는 것이라는 의견은 성립될 수 없다.
복음서에 보면 ‘다름’을 빙자로 상대방과 구분 지으려는 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다름 아닌 바리새파 사람들이었다. 바리새파는 히브리어로 ‘페루쉼’, 헬라어로 ‘파리사이오스’라는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구별된 자’나 ‘분리주의자’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고, 이 이름은 외부인들이 그들을 비난하며 부른 데서 유래한다.
물론 바리새파는 ‘하나님의 거룩한 공동체’로서 속된 백성과 ‘구분된 자’라는 긍정적인 의미도 있지만,1 분열과 반목을 유발하는 그들의 배타성은 우리가 마땅히 경계해야 할 사항이다(다음을 보라. 마 9:10-11 병행절; 12:1-2; 눅 18: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