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찬양신학 (침묵에서 노래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480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0-07-10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480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0-07-10
책 소개
모세의 성막, 다윗의 장막, 솔로몬 성전의 제사(예배)에 대한 의미가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다룬다. 저자는 구원으로 이끄는 찬양의 필요성에 성경 역사적 관점에서 잘 해석했다.
목차
추천사 1
김 상 구 박사 |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이 태 훈 목사 | 대평교회 담임
조 재 필 목사 | 새언약교회 담임
저자 서문 8
역자 서문 13
제1장 | 다윗 예배의 문제 16
제2장 | 모양을 따라 27
제3장 | 제사장과 레위 사람 45
제4장 | 찬미의 제사 78
제5장 | 다윗의 장막 106
제6장 | 노래의 끝 148
책속에서
이스라엘의 종말론은 솔로몬이 아니라 항상 다윗에, 모리아가 아니라 항상 시온에 집중되었다. 이런 분명한 강조는 소망하기로는, 그 시기 동안 이스라엘 예배의 중심이었던 언약궤-성소에서의 예배의 특징과 그 예배를 연구하고 난 후에야 훨씬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성전은 다윗을 향한 야훼의 약속을 성취한다(대하 6:4-6). 역대기 사가에게, 다윗은 전사가 아니라 예배자이며, 영웅이 아니라 신비로운 의식을 주관하는 사제다.
처소”를 가리키는 히브리어 단어 ‘마온’이 실로의 성막을 위해 사용되었다는 사실에서 강화된다(삼상 2:29, 32). 이처럼, 시온의 장막은 야훼의 임재의 장소, 곧 성소였음을 그 병행 구조가 잘 보여준다. 이것은 예루살렘에서 언약궤를 위해 다윗이 세운 그 장막이어야 한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