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34122449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3-2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제1부 민족의 시작
제1장 창조와 대홍수는 언제 일어났을까?
제2장 첫 문명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제3장 민족은 어떻게 나누어졌을까?
제2부 아시아의 거대 문명
제1장 황하 문명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제2장 인도 문명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제3부 아프리카와 중동의 문명들
제1장 이집트 문명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제2장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어떻게 발전했을까?
제3장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사이에 누가 있었나?
제4부 문명의 흥망성쇠
제1장 이집트의 부활과 몰락
제2장 수메르의 부활과 분열
제3장 혼란의 메소포타미아
제5부 패권 쟁투
제1장 신의 나라, 이스라엘
제2장 태양과 달의 나라, 이집트 신왕국
제3장 제국들의 충돌
제6부 천하 제패
제1장 세계를 정복한 제국들
제2장 새 시대를 연 제국들
개정 연대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경에 따르면 홍수 이후 강한 사냥꾼이자 강력한 권력자 그리고 마침내 왕국을 보유하게 된 인물이 등장한다. 그의 이름은 바로 니므롯이다. 그는 홍수 이후 도시들이 커지는 상황에서 자신의 명성을 활용해 도시에서 권력을 차지했다. 이 권력을 기반으로 군대를 이끌고 다른 도시를 침공하면서 그는 반대하는 자들을 포로로 만들고 그 누구보다 거대한 인물이 되어 수사와 수메르를 아우르는 왕국을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니므롯의 이러한 행적들은 우루크 시대의 실린더-인장에서 발견되는 인물과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인더스강 유역(대부분 오늘날 파키스탄에 해당한다)의 정착지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 고대 문명의 도시 중 가장 유명한 유적은 모헨조다로 유적이다. 모헨조다로를 비롯해 인더스강 유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문명을 하라파 문명이라고 한다. 하라파 문명의 이름은 인도 아대륙 북서부 펀잡 지역의 인더스강 유역 하라파 유적에서 유래된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이미지와 달리 당시 아브라함은 고향을 떠난 가난한 방랑자가 아니라 거대한 일족의 족장이었다. 성경에 따르면 그는 하란을 떠나 가나안으로 갈 때, 조카 롯과 하란에서 모은 모든 재산과 사람들을 데리고 떠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사람들의 상당수는 우르에서부터 함께 온 사람들로 추정된다. 이집트 방문 후 가나안 지역에 다시 돌아온 아브라함은 재산 다툼이 발생하자 롯과 분가를 했으며, 롯은 더 비옥해 보이는 소돔과 고모라 지역으로 이동했다. 그런데 당시 여러 도시 국가 왕들 사이의 전쟁이 발생하면서 분가한 조카 롯이 포로로 잡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