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521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02-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임 윤 택 박사 | 미주장로교신학대학교 선교학과 박사원 원장 1
김 창 환 박사 | 풀러신학교 코리안센터 학장 2
이 재 훈 목사 | 온누리교회 담임 3
신 선 묵 박사 | 월드미션대학교 부총장 4
박 기 호 박사 | 풀러신학교 아시아선교학 원로교수 5
이 정 숙 박사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5대 총장, 교회사 교수 6
정 근 두 박사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총장 7
안 건 상 박사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선교학 교수 8
최 형 근 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 한국로잔위원회 총무 9
개요(Abstract) 18
감사의 말(Acknowledgements) 20
제1장 서론 21
1. 연구의 배경(Background of Research) 22
2. 연구의 핵심(Focus of the Research) 28
3. 연구의 목적(Purpose) 30
4. 연구의 목표(Goals) 30
5. 연구의 중요성(Signicances) 31
6. 핵심 연구 주제(Central Research Issues) 32
7. 연구 질문들(Research uestions) 33
8. 연구 방법들(Reach Methods) 33
9. 제한들(Delimitations) 36
10. 가정들(Assumptions) 36
11. 용어의 정의(Denition) 37
12. 요약(Summary
제2장 연구 방법론 43
1. 통합 연구 방법론 43
2. 선교신학 방법론 61
3. 변화 역학 이론 연구 78
4. 요약(Summary) 96
제3장 에젤 선교신학과 성경에 나타난 에젤( 98 ( עֶזרֵ
1. 돕는 배필 ‘에젤’의 창조 100
2. 성경에 나오는 ‘에젤’관계 109
3. 삼위일체 하나님의 ‘에젤’ 관계성 111
4. 하나님과 언약 백성의 ‘에젤’ 관계성 115
5. 성령의 선교와 ‘에젤’ 관계성 125
6. 요약(Summary) 128
제4장 에젤 선교신학과 선교 공동체 129
1. 선교 공동체에 대한 이해 129
2. 선교 공동체(Missionary People)의 정의 132
3. 하나님의 백성, 교회 134
4. 선교 공동체의 존재 목적 138
5. 선교 공동체의 본질 146
6. 선교 공동체의 책임과 의무 154
7. 선교 공동체의 조직과 행정 159
8. 요약(Summary) 163
제5장 에젤 선교신학과 에젤선교회 164
1. 에젤선교회의 소개 164
2. 시간 순(Chronological Order)으로 본 에젤선교회 사역 167
3. 주제별 에젤선교회 사역 174
4. 요약(Summary) 192
제6장 에젤 선교신학 패러다임 적용 193
1. 선교신학 패러다임의 변화 193
2. 에젤 선교신학의 공동체성 200
3. 에젤 선교신학의 본질에 대한 적용 205
4. 에젤 선교신학의 정의 215
제7장 에젤선교회의 사례 분석과 선교 전략 217
1. 현장 연구에 대한 분석 및 평가 218
2. 에젤 선교신학의 전략적 적용 230
3. 에젤선교회의 변화 역학 235
4. 문제 해결을 위한 세 가지 브릿징 요소 285
5. 요약(Summary) 292
제8장 결론 293
1. 연구의 결과 293
결론(Conclusion) 296
제안(Recommendations) 297
참고 문헌(References Cited) 298
저자소개
책속에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결합해서 한 몸을 이루게 된다고 했다(창 2:24). 남자의 외로움과 부족한 것을 채우시는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인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로써 ‘에젤’(개역개정: 돕는 배필)을 사용한다(창 2:18). 에젤은 문자적으로 반려자, 배필을 뜻하며 아담을 돕는 자로, 남편의 모든 일을 함께하며 돕는 아내를 지칭한다. 돕는 배필은 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에젤’이 사용되었다(이상호, 1999, 75). 하나님이 지으신 아담의 돕는 배필이란 아담에게 꼭 필요한 협력자로 창조하셨다는 의미이다. 이제 아담에게는 에덴동산에서 모든 생물을 관리하고 다스릴 책임을 함께 나눌 아담과 동격인 돕는 배필(Comparable Helper)이 생긴 것이다.
하나님은 직접 우리의 삶과 사역에서 우리의 ‘에젤’이 되어 주시기로 하고, 때론 우리에게 ‘에젤’을 붙어 주시기도 한다. 하나님은 자기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에젤’로 또 예수님은 승천하신 후 성도에게 성령님을 ‘에젤’로 보내 주셨다.
삼위 하나님에 대한 연구는 피조물로서 인간이 하나님과 또 인간과 인간 사이에 가져야 할 관계성에 대한 최고의 모델을 제시해 준다. 삼위의 관계 즉 파송 기관, 선교사, 그리고 후원자들의 3 자의 역할은 다르나 관계는 서로 ‘에젤’이어야 함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