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34126829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4-04-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민경배 박사 | 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 1
추천사 2 피영민 박사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총장 • 5
추천사 3 안희열 박사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 기획처장 • 8
일러두기 • 15
요약 • 16
프롤로그 • 24
기독교인에게 호소(呼訴) • 37
서문 • 39
제1부 신사참배와 우상 문제
제1장 신사참배 문제 왜 아직도 논란인가? 43
제2장 신사참배 문제 언제 끝날 것인가? 45
제3장 변화하는 사회적 물결 속에서 기독교 신앙은 꼭 필요한가? 47
제4장 신사참배에서 우상이란 무엇인가? 55
제5장 우상에 대하여 기독교인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72
제6장 기독교인에게 국가와 종교의 관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78
제7장 국가 종교인 신사참배 강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90
제 8장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한 침례교의 선택은 무엇 때문이었는가? 104
제2부 신사참배 강요와 침례교단 거부
제1장 일제는 식민지 조선을 어떻게 통치했는가? 111
제2장 일제는 식민지 조선 종교를 어떻게 요리했는가? 132
제3장 일제의 국체와 신사참배 그 본색은 무엇인가? 140
제4장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기독교계 대응의 진실은 무엇인가? 157
제5장 일본의 기독교는 조선의 기독교와 어떻게 상호 작용을 했는가? 171
제6장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침례교단 거부와 항일의 전말은 무엇인가? 183
제7장 신사참배 강요 거부로 인한 피흘린 발자취를 따라서 201
제8장 침례교 항일독립운동의 교훈은 무엇인가? 213
에필로그 • 232
한국침례교 신사참배 강요 거부 역사 연보 • 235
미주 • 237
참고 문헌 • 258
부록 예심청구서 • 271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상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하여 소원을 비는 도구로 이용했다. 그것은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인데 그것 앞에서 굽신하며, 그 우상에게 나를 구원하라고 애원하는 것이다. 사람이 만든 생명 없는 물체를 향하여 너는 나의 신이니 나를 구원하라고 소리치는 것이다. 아무리 그렇게 해도 그 우상은 그 사람을 구원할 수 없다. 사람이 우상에게 마음이 미혹되어 우상과 하나님을 분별하는 능력이 상실되어 엎드려 경배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는 것은 그들의 눈이 가려서 보지 못하며 그들의 마음이 어두워져서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사 44:15-18).
국가와 교회의 분리라는 침례교의 정체성 앞에서 일제가 침례교의 존재 자체를 송두리째 허물어버리려 했을 때 침례교인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저항하였다. 일제는 천황이라는 신(神)이 통치하는 종교 국체였고 침례교인들은 유일하신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굴복과 저항의 기로에 서서 저항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일제의 국체인 천황에게서 국가와 종교를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일제의 통치는 국가와 종교를 하나로 합친 국체(천황)에 의해서 통치되는 신정 체제이기에 침례교와의 충돌은 처음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침례교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일제의 종교 통치방식을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또한, 일제의 신사참배 정책은 조선인의 가정에 가미나다라고 하는 귀신상자의 설치를 강요했다. 군청, 경찰서, 면, 파출소, 동, 애국반 등을 통하여 목재가 부족하여 종이 공급이 어려운 중에서도 군인과 경찰의 합작에 의해 지정된 상인으로 하여금 천조대신(天照大神) 등 야릇한 글자를 쓴 종잇조각을 조잡한 작은 상자 안에 집어넣고 집집마다 비싼 값에 배급하고, 그 대금을 강제로 징수하는 한편 그 상자와 종잇조각의 글자를 각자 주택의 높은 곳에 모셔놓고, 아침마다 두 손바닥을 쳐서 딱딱 소리를 내면서 절을 하라고 강요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