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34127666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인허 박사│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2 박영돈 박사│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 은퇴교수
추천사 3 유형재 목사│백향목교회 담임
추천사 4 채경락 목사│분당샘물교회 담임
저자 서문
서론 십자가가 없는 한국 교회
제1장 십자가가 없는 한국 교회의 변질
1. 물질만능과 개인주의적 기독교 신앙
2. 무속화된 기독교 신앙
3. 실천적 무신론의 기독교 신앙
4. 왜곡되고 변질한 칭의론의 기독교 신앙
제2장 십자가를 본받는 삶이란 무엇인가
1. 십자가를 본받는 삶에 따른 기독교 신앙
2. 다시 돌아보는 십자가
3. 십자가를 통해 다시 돌아보는 신앙
4. 십자가를 본받는 삶을 통해 영성 바로잡기: 실천적·참여적·관계적·변혁적 영성
5. 왜 십자가가 기독교의 상징이 되었을까: 십자가를 본받는 삶으로의 결단
6. 십자가를 본받는 삶의 동기이자 열매: 믿음, 사랑, 능력, 소망
제3장 십자가를 본받는 삶과 우리의 삼위일체 신앙
1. 십자가를 통해 경험되는 성부 하나님
2. 십자가를 통해 경험되는 성자 예수님
3. 십자가를 통해 경험되는 성령 하나님
4. 십자가를 통해 계시하시고 십자가를 본받게 하시는 삼위 하나님
제4장 십자가를 본받는 삶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덕목: 믿음, 사랑, 능력, 소망
1. 첫 번째 덕목: 십자가를 본받는 삶의 믿음
2. 두 번째 덕목: 십자가를 본받는 삶의 사랑
3. 세 번째 덕목: 십자가를 본받는 삶의 능력
4. 네 번째 덕목: 십자가를 본받는 삶의 소망
제5장 십자가를 본받는 삶과 공동체
1. 십자가 공동체
2. 십자가를 본받는 삶을 살아가는 공동체들
3. 복음을 증거하는 선교사로서의 교회
4. 십자가를 본받는 공동체의 결론
제6장 십자가를 본받는 삶의 현대적 적용
1.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종이 되는 것이다
2.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그리스도와 함께 죽는 것이다
3.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이다
4.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그리스도를 본받음(닮음)이다
5.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은혜의 응답으로써 열매를 맺는 삶이다
결론 십자가를 본받는 삶으로의 결단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이 신비의 십자가를 깊이 묵상하지 못하고, 그 상징을 너무 쉽게 생각하고,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는 그리스도인이 생기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다. 왜냐하면, 구원과 관계된 그 ‘미친 짓’이 담긴 십자가의 의미가 너무나 오묘하고 신비롭기 때문이다.
십자가를 다시 생각한 결과, “그 십자가는 반응 곧 삶과 결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십자가를 본받는 삶에는 구원을 가져온 패러다임적 죽음에 참여한다는 것이 지닌 통합적인 삶의 성격, 말하자면 십자가 형태(cross-shaped)의 수직적, 수평적 사랑에 초점을 맞출 것”, 곧 수직적으로는 하나님 사랑, 수평적으로는 이웃 사랑의 상징적인 형태를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십자가는 이중 사랑 명령의 성취이며, 하나님을 향한 신실한 순종을 의미하는 동시에 타인을 위해 자신을 내준 사랑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이중 사랑의 명령을 성취하는 방편이 된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구약의 계명 요약과 예수님의 가르침의 실천이다.
삼위 하나님은 십자가의 하나님이시다. 십자가를 통한 삼위 하나님의 자기 계시는 사람들을 사랑하셔서 자기 목숨을 십자가를 통해 내어주시고, 이를 통해 자기 백성으로 삼으시고, 자기 백성답게, 자기 백성으로서 합당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 십자가로 이끌어 사랑의 능력으로 행하게 하신다. 성부 하나님이 계획하시고 성자 하나님이 성취하시고 성령 하나님이 적용하셔서, 그분의 백성이 십자가를 본받는 삶을 살게 하신다. 삼위 하나님의 능력은 결코 자기 자랑이나 자기 영광으로 나타나는 능력이 아니라, 십자가를 본받는 삶을 통한 약함의 역설의 능력이다. 이를 통해 삼위 하나님은 영광 받으시고, 또한 영광으로 이끄신다. 삼위일체 신앙은 십자가를 본받는 삶은 믿음과 사랑과 능력과 소망의 삶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