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결혼/가족 > 가정의례
· ISBN : 9788934915713
· 쪽수 : 125쪽
· 출판일 : 2004-09-17
책 소개
목차
Part 1 뿌리 없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
01 오늘날 제사의 의미는?
02 언제부터 제사를 지내왔는가?
03 제사의 유래와 변천과정
04 제사에 얽힌 재미난 일화
05 제사의 종류
06 언제, 몇 시에 지내는가?
07 차례와 제사의 차이는?
08 봉사 대상과 참사자
09 제주는 맏아들이나 맏손자
10 검소함과 공경의 문화로
Part 2 제사 지내는 원리와 정신
11 제사의 방위
12 검소한 복장과 깨끗한 마음
13 신위의 의미
14 신주의 의미
15 신을 영접하고 교감
16 예법을 확실하게
17 고칠 것은 고쳐라
18 귀신을 속이지 말라
19 분수에 맞게 준비
20 절차는 간단명료하게
Part 3 의식 절차와 제구 준비
21 먼저 해야 할 일
22 신을 먼저 불러내려야 한다
23 제상
24 향로
25 병풍, 촛대
26 그룻류
27 슬병, 술잔
28 오늘날 필요한 제기
Part 4 제사음식을 위한 시장보기
29 생전에 즐겨 드시는 음식으로
30 마음을 다한 제수준비
31 밥, 국, 떡, 탕 재료
32 튀김, 부침, 구이 재료
33 나물, 김치, 간장류, 과일류, 포 재료
34 음식 마련할 때 유의할 점
35 제사에 쓰지 않는 음식
36 이런 음식을 차리는 까닭은?
37 밥과 국, 탕
38 전과 적
39 고사음식
40 향신료
Part 5 제사음식 만들기
41 탕국
42 완자전
43 생선전
44 녹두전
45 두부전
46 쇠고기 산적
47 조기 어적
48 계적
49 삼색 나물
50 고사떡 만들기
Part 6 제사상 차리기
51 진설이란?
52 상차림의 원칙
53 상차림의 순서
54 5열 진설법
55 1열은 밥과 국
56 2열은 적과 전
57 3열은 탕을 놓는 줄
58 4열은 포와 나물
59 5열은 과실
60 상차림의 실제
Part 7 제사 지내는 순서
61 바르게 절하는 법
62 제례 준비와 얼모심
63 일동배례, 첫잔 올림
64 출문 읽음, 다음잔 올림
65 끝잔올림, 밥에 숟가락 꽂음
66 문 닫음, 문 열음, 숭늉 올림
67 수저 거둠, 마지막 절하기
68 명절 차례의 절차
69 성묘 지내는 순서
70 현대식 제례 순서
Part 8 지방과 축문은 현대식으로
71 지방이란?
72 지방은 어떻게 쓰는가?
73 한자 지방의 예
74 한글 지방이나 사진으로 대신하자
75 한글 지방의 예
76 축문이란?
77 축문은 어떻게 쓰는가?
78 한글 축문의 예
79 지방과 축문은 이렇게 처리
80 큰일이 있을 때 알리는 고유문
Part 9 현대적 의미의 제사와 추도식
81 제사의 의미를 새로 쓰자
82 추도식 절차
83 합동 위령제
84 종교식 추도 의식
85 현대식 제례는?
86 여자도 제사에 참석하자
87 제사 경비는 부담을 나누자
88 과연 귀신은 있는가?
89 우리 집에 맞는 제사 모델
90 새로운 제사모델 제안
Part 10 제사,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91 언제, 몇 시에 지내나요?
92 양력으로 지내도 되나요?
93 여자는 제사에 참석하면 안 되나요?
94 제사는 어떻게 옮겨가나요?
95 사위도 제사를 모실 수 있나요?
96 집안일은 어떻게 고하나요?
97 정말 조상이 음식을 드실까요?
98 차례를 지내는데 왜 또 성묘를 가나요?
99 차례와 제사, 무엇이 맞습니까?
100 돌아가신 분의 회갑은 어떻게 합니까?
101 제사는 꼭 지내야 하나요?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