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세계인물
· ISBN : 9788934932512
· 쪽수 : 227쪽
· 출판일 : 2008-12-18
책 소개
목차
기획에 부쳐
머리말
제1장 《신논리학》은 어떤 책일까?
러셀
너 자신을 알라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제2장 베이컨은 어떤 사람일까?
제3장 왜 '새로운 논리학'이 필요할까?
제4장 종족의 우상 - 인간 지성의 한계
제논의 역설
프로타고라스
제5장 동굴의 우상 - 우물 안 개구리
제6장 시장의 우상 - 잘못된 언어 사용의 문제
만물의 근원은 무엇인가
연금술과 화학의 발전
제7장 극장의 우상 - 학설의 우상
피타고라스
제8장 학문이 진보하지 못한 이유
제9장 귀납법 - 학문의 진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희망
제10장 귀납법을 위한 예비적 설명
제11장 귀납법으로 '열의 본성'을 탐구해 보자!
제12장 특권적 사례에 대하여
책속에서
베이컨은 아는 것이 힘, 다시 말해 ‘인간의 지식이 곧 인간의 힘’이라고 보았어. 인간이 자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게 되면 그것이 곧 인간이 자연을 사용하고 지배하는 힘으로 작용한다는 거지. 인간이 자연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자연의 질서에 대해 실제로 관찰하고 고찰한 것만큼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어.
그리고 자신의 신논리학이 바로 학문 목표인 자연에 대한 탐구를 위한 ‘지적인 작업을 돕는 도구’가 될 거라고 보았어. 이러한 베이컨의 새로운 방법은 바로 귀납법이야. 베이컨은 자신의 방법이 ‘새로운 길로 지성을 인도하는 안내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거라고 했어. 또한 학문을 육성하는 방법과 그것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구분한다면 자신의 방법은 ‘학문을 발견하는 방법’에 속한다고 보았지.
-본문 63~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