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88934933519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9-02-13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_문화가 경영을 만났을 때
1. 문화 속으로 걸어들어온 경영
문화예술과 경영의 갈등
지금 우리에게 문화는 어떤 의미인가
살아있는 문화예술
작은 도시들의 열정, 방리외 블뢰 재즈 페스티벌
2. 시간 위를 달리는 문화예술
고급문화부터 포스트모더니즘까지
대중소비시대의 문화
문화예술 소비자의 변천
뮤지컬의 세계화
한국 뮤지컬의 도전
3. 예술과 소비자, 제작자
대중은 누구인가
누구를 위한 예술인가
창작자와 기획자 그들의 하모니
블루오션 <태양의 서커스>
실패에서 배운다
다시 정극의 시대가 온다
4. 예술경영 들여다보기
예술경영의 목표
어떤 주제를 선택할 것인가
상세한 시장분석의 중요성
전략의 선택과 실행 그리고 평가
사람이 전부다
5. 가장 아름다운 예술에는 진심이 담겨 있다
실험과 도전으로 대중과 호흡하라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문화예술 경영은 미학과 실용성의 이율배반 위에 만들어진 부정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문화예술 행위의 경제적 범주가 설득력을 갖기 시작했다. 각각의 궁극적인 목적을 넘어 예술적이고 문화적인 사업과 조직 역시 일반 사업조직과 다름이 없다는 공감이 형성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예술 사업과 조직은 경영의 측면을 드러내기 시작, 효율성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 204쪽 중에서
문화적인 영역의 경우 대체재에 의한 간접적 경쟁대상을 놓쳐서는 안 된다. 연극과 영화의 관계, 텔레비전과 영화의 관계 등과 같은 문화적 생산물 사이에 내적인 경쟁관계, 그리고 여가를 이용하기 위한 잠재적 활동성의 경쟁 등도 잊어서는 안 된다. 영화관이 인근의 공연장보다 경쟁력이 있는 등 단기적인 경쟁력 확보와 이미지문화의 소비가 인쇄문화의 소비보다 높다는 장기적인 측면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223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