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의 이해
· ISBN : 978893520662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6-12-05
책 소개
목차
서문_먼저 세계 기독교의 흐름을 파악하라
1부 세계 기독교의 판도 변화
1장. 남반부 기독교 시대의 도래: 기독교 역사의 6단계_앤드류 월즈
기독교 역사는 각 단계마다 당대 문화를 주도했던 지역에서 그 문화를 체현하며 성장해왔다.
이것은 그 시대의 환경 및 문화와 기독교의 밀접한 교섭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2장. 복음의 토착화, 그 무한한 가능성_라민 싸네
기독교는 종교 혁명뿐 아니라 문화 혁명을 가져왔다. 하나님의 구원사적 관점에서 보면,
모든 문화는 불완전하지만 또한 동일하게 소중하다.
3장. 21세기 기독교와 아시아 교회의 역할_이문장
기독교가 아시아 종교로 자리매김하려면 성경의 세계를 깨닫는 깊이와 영적인 능력이 통전적으로 어우러져야 한다. 이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기독교의 원형을 회복하는 일이기도 하다.
2부 탈서구화와 21세기의 교회
4장. 한국 교회 이미지의 탈서구화_이문장
한국 교회는 한민족의 종교적 심성을 심층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한민족의 마음을 얻지 못하면 한국 사회와 역사 안에서 한국 기독교가 차지하는 공간도 점차 줄어들게 될 것이다.
5장. 초대교회에서 배우는 21세기 교회 모델_앤드류 월즈
앞으로의 기독교 신앙과 신학은 아프리카, 아시아 및 중남미의 전통적 문화와 종교적 유산에 뿌리를 두면서도 동시에 경건하고 철저한 기독교적 통찰을 바탕으로 형성될 것이다.
6장. 기독교의 미래: 오리겐을 통해본 전망_앤드류 월즈
오리겐의 신학은 탐구적이었으나 열려 있었고, 하나님을 경외하지만 이방 자료들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또한 말씀 이외의 그 어떤 것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3부 21세기 기독교 신학의 패러다임 변화
7장. 서구 신학의 한계와 아시아 신학의 필요성_화융
다양한 현장에 있는 아시아 교회들이 그들만의 문화와 상황이라는 관점에서 성경을 깨달은 다음, 그 메시지를 교회가 직면한 영적, 육적, 사회적, 경제적 필요들과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8장. 세계 기독교의 신학 지평을 확장하라_존 음비티
전통적 틀 너머에 있는 지평까지도 볼 수 있어야 하는 기독교 신학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조건, 관점, 세계관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과 부대끼는 그런 삶의 현장에 있어야 한다.
9장. 아프리카 신학이란 무엇인가_크와메 베디아코
아프리카 신학의 중점 과제는 기독교의 토착화 혹은 신학의 토착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복음이 아프리카의 경험과 만나고 또한 그것을 여과해서 새롭게 이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10장. 한국 신학, 어떻게 할 것인가_이문장
한국 신학은 통합 신학이어야 한다. 전문적인 영역과 통합적인 영역을 분리하여 생각할 필요는 있지만, 적어도 기독교의 가르침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통합적인 틀을 만들어야 한다.
부록_기독교, 방향전환의 종교: 앤드류 월즈 교수와의 대담
저자소개
책속에서
100년 전만 해도 세계 기독교 선교는 유럽과 미국 선교 지도자들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에든버러 대학에 있는 저의 연구실은 1910년 세계 선교 대회가 개최되었던 건물 바로 옆에 있습니다. 그 당시 세계 선교 대회에는 아시아 기독교 지도자들 몇 명이 참석했었는데 아프리카 지도자는 한 명도 없었습니다. 그 대회는 유럽과 미국 사람들에 의해 기획되고 주도되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런 현상을 보기 어렵게 될 것입니다. 경제, 군사적 영역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세계 기독교계에서 일어나게 될 미래의 중요한 일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남미에 있는 기독교인들이 주도하고 그들에 의해 결정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 본문 245~24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