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5657384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08-02-10
책 소개
목차
고전에서 현대를 읽는다|박노영
감사의 말
저자의 말
서론
제1부 마르크스
제1장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
제2장 사적 유물론
제3장 생산관계와 계급구조
제4장 자본주의 발전의 이론
제2부 뒤르켕
제5장 뒤르켕의 초기 저작
제6장 사회학적 방법에 관한 뒤르켕의 견해
제7장 개인주의·사회주의·직업집단
제8장 종교와 도덕률
제3부 막스 베버
제9장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제10장 베버의 방법론 저작
제11장 사회학의 기초개념
제12장 합리화·세계종교·서구 자본주의
제4부 자본주의·사회주의·사회이론
제13장 마르크스의 영향
제14장 종교·이데올로기·사회
제15장 사회분화와 분업
저자 후기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정반대로, 마르크스 논의에 담긴 취지는 공산주의 사회가 이전의 생산체제들에서는 불가능했던 방식을 통해 개인들의 특수한 잠재력과 능력들이 커져가는 것을 허용할 것이라는 것이다. 마르크스에게는 이것은 전혀 역설이 아니다. 인간이 집합적 생산물인 자원들을 이용하여 개인화되는 것은 오직 사회적 공동체를 통해서이다.-p75 중에서
...베버 저작에 포함되어 있는 마르크스에 대한 수많은 산발적인 언급은 베버가 생각한 양자의 유사점과 차이점의 주된 원천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물론 베버는 역사적,사회학적 분석에 대한 마르크스의 근본적인 공헌을 인정한다. 그러나 베버에 의하면 마르크스의 발전론은 통찰력의 원천, 또는 기껏해야 특수한 역사적 경과를 설명하는 데 적용될 수도 있을 이념형적 개념 정도로 간주되어야 한다.-p36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