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앤서니 기든스 (지은이), 임영일, 박노영 (옮긴이)
한길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5657384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08-02-10

책 소개

<제3의 길>로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영국의 중견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가 근대 사회학의 골격을 제시한 대표적 세 학자인 마르크스, 뒤르켐, 베버의 저작들을 통해 자본주의의 본질을 분석·비교·비판한 책. 총체론적 접근방식에 의하면서 학문적 객관성에 의해 기술된, 현대 사회과학도의 교과서로 꼽히는 텍스트다.

목차

고전에서 현대를 읽는다|박노영

감사의 말
저자의 말

서론

제1부 마르크스
제1장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
제2장 사적 유물론
제3장 생산관계와 계급구조
제4장 자본주의 발전의 이론

제2부 뒤르켕
제5장 뒤르켕의 초기 저작
제6장 사회학적 방법에 관한 뒤르켕의 견해
제7장 개인주의·사회주의·직업집단
제8장 종교와 도덕률

제3부 막스 베버
제9장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제10장 베버의 방법론 저작
제11장 사회학의 기초개념
제12장 합리화·세계종교·서구 자본주의

제4부 자본주의·사회주의·사회이론
제13장 마르크스의 영향
제14장 종교·이데올로기·사회
제15장 사회분화와 분업

저자 후기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앤서니 기든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인 그는 사회 이론과 계층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다. 독일의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유럽 지성의 쌍벽을 이루며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특히 사회 이론 분야에서 유럽의 지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을 반영한 ‘사회 구조화 이론’으로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이라는 새로운 사회 발전 모델을 주창하였다. 이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끄는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기든스는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는 작업부터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 이론가로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입문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기든스는 혼신의 힘을 다하여 이 책을 계속 보완하며 제8판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은 전 세계 29개 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는데, 기든스 자신이 폴리티(Polity)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를 공동 설립해서 매년 80여 권의 학술 서적을 간행하는 출판인이기도 하다. 영국 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으며(1959),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 영국 레스터대학교 사회학 강사(1961~1970), 케임브리지대학교 강사와 교수(1970~1997)를 거쳐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학장(1997~2003)을 역임했다. 현재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 이론』(1971), 『선진 사회의 계급 구조』(1973), 『사회학 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 비판』(1981), 『민족 국가와 폭력』(1985), 『근대성의 결과』(1990), 『근대성과 자아 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 현대 사회의 성, 사 랑, 에로티시즘』(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 사회 민주주의 쇄신』(1998), 『노동의 미래』(2002)가 있다.
펼치기
박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현재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 지도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노동과 발전의 사회학』(2003, 공저),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2008, 공역), 논문으로는 「지구화와 계급」(2007), 「철도산업 사유화: 공익적 관점에서의 비판」(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반대로, 마르크스 논의에 담긴 취지는 공산주의 사회가 이전의 생산체제들에서는 불가능했던 방식을 통해 개인들의 특수한 잠재력과 능력들이 커져가는 것을 허용할 것이라는 것이다. 마르크스에게는 이것은 전혀 역설이 아니다. 인간이 집합적 생산물인 자원들을 이용하여 개인화되는 것은 오직 사회적 공동체를 통해서이다.-p75 중에서

...베버 저작에 포함되어 있는 마르크스에 대한 수많은 산발적인 언급은 베버가 생각한 양자의 유사점과 차이점의 주된 원천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물론 베버는 역사적,사회학적 분석에 대한 마르크스의 근본적인 공헌을 인정한다. 그러나 베버에 의하면 마르크스의 발전론은 통찰력의 원천, 또는 기껏해야 특수한 역사적 경과를 설명하는 데 적용될 수도 있을 이념형적 개념 정도로 간주되어야 한다.-p362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