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35658473
· 쪽수 : 417쪽
· 출판일 : 2007-05-1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 건축 안에 숨은 창조적 발상
1. 서문 - 건축 디자인을 읽는 다섯 가지 방법
디자인이론의 중심적인 문제
다섯 가지 중요한 형태이론
서구 디자인이론의 역설
주체-객체의 문제
2. 고대 - 예술과 디자인에 대한 초기 생각들
디자인이론고 교육의 기원
그리스 철학의 변혁
그리스의 예술과 건축이론
비트루비우스
3. 중세 - 우주론의 변화와 그 영향력
세속에서 신성으로의 전환
중세의 예술과 건축이론
스콜라 철학
길드와 대학에서의 교육
4. 르네상스 - 다시 고대의 사상으로
고대사상의 부활
전성기 르네상스의 예술이론
극단적 매너리스트
새로운 예술교육 기관
실증주의 과학의 발생
5. 바로크 - 서로 다른 두 생각의 대화
바로크의 이중성
합리주의와 이성의 우위
경험주의와 감각의 우위
예술과 건축이론 그리고 아카데미
6. 계몽주의 - 천재들의 시대
근대세계의 혁신적 기초
실증주의와 새로운 결정론적 과학
낭만주의적 반동
신고전주의와 아카데미
칸트와 주.객관의 통합
7. 19세기 - 상대주의와 절충주의의 등장
상대주의 철학과 절충주의 예술
고전주의와 에콜 데 보자르
독일 관념론, 낭만주의 그리고 고딕양식의 부활
실증주의와 예술적 결정론
예술의 추상적 전환
8. 20세기 전반 - 대립, 융합, 분리 그리고 모더니즘
철학적 상대주의에 대한 반발
건축형태의 대립적인 근원
예술형태의 대립적인 근원
바우하우스적 융합
근대운동
9. 20세기 후반 - 모더니즘, 그 이후
후기 모더니즘
실증주의와 호나경디자인의 대두
구조주의의 발전
탈근대주의와 탈구조주의
주
참고문헌
그림목록
찾아보기
책속에서
변덕스럽고 즉흥적이며 주관에 의존하는 로코코에 반대한 신고전주의 건축가들은 건축의 객관적 토대로 회귀할 것을 주장했다.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건축가들도 이러한 객관적 토대의 속성이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혼란에 빠졌다. 이러한 모순은 신고전주의적 견해를 확고하게 주장한 이론가 가운데 한 명인 불레(1728~98)에게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자신의 논문 <건축, 예술에 관한 에세이>에서 불레는 이러한 질문을 던진다. "건축은 순수한 창조의 영역에 속해 있는 신비로운 예술인가, 아니면 건축의 원리들은 자연으로부터 기원하는가?" 불레의 주장에 따르면, 페로는 전자의 견해를 옹호해 "건축의 근원이 자연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부정했으며, 건축을 순수한 창조의 영역에 놓여 있는 신비로운 예술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페로의 건물들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당신은 (페로의 작품에) 찬사를 보내지만, 그는 자신의 작품이 순수한 환상에 기초했으며, 그 어느 부분도 자연에 기대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러므로 당신의 찬사는 특정한 견해에서 비롯된 결과이며, 그것은 비난받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당신이 발견한 아름다움은 진정한 아름다움의 원천인 자연과 아무런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불레는 자연과 미적인 원리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증거로서 근대철학의 견해를 인용했다. "모든 사상과 지식은 외적 대상을 거쳐 우리에게 들어온다." 자연의 법칙을 발견한 건축가는 자신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개인적이고 변덕스러운 환상을 배제하면서, 그것을 실제로 존재하는 건축물로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 본문 226쪽, '계몽주의 l 천재들의 시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