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36470548
· 쪽수 : 684쪽
· 출판일 : 1999-11-10
책 소개
목차
서론
제1부 성장.수학.방랑기
제1장 가문과 성장과정
1.명문 풍산 홍씨가의 장손
2.괴산 인산리의 생가
3.신동의 유소년시절
4.조혼과 득남
제2장 학업 : 서울과 토오꾜오
1.신식 사립학교 중교의숙
2.타이세이중학교의 우등생
3.근대문학과 신사상의 세례
4.호암.춘원.육당과의 만남
5.대한홍학회
6.사상적 번민과 민족의식
제3장 중도 귀국과 부친의 순국
1.「소년」지와 초기 문학활동
2.경술국치와 홍범식의 순국
제4장 방랑 : 중국과 남양
1.서간도를 거쳐 상하이로
2.신해혁명 직후의 중국과 동제사 활동
3.상하이의 망명객들
4.싱가포르로의 항해
5.남양에서 보낸 3년
6.귀국 전후
제2부 식민지시기
제1장 3.1운동
1.괴산 만세시위 주도의 최초의 옥고
2.3.1운동기 홍명희의 현실인식
제2장 교직생활과 언론활동
1.출옥 후의 곤고한 생활
2.동아일보.시대일보.오산학교
3.「학창산화」출간
제3장 사상.문예운동
1.신사상연구회.화요회.정우회
2.조선사정조사연구회
3.카프와의 관계
제4장 신간회운동
1.창립과 그 배경
2.조직기의 활동
3.복대표대회.민중대회사건.해소
4.신간그룹.조선공산당과의 관계
5.신간회운동기의 생활과 두번째 옥고
제5장 대하장편역사소설 <임꺽정>의 집필
1.<임꺽정>의 기필
2.출옥 후 연재를 재개하기까지
3.「의형제편」과 「화적편」초두 집필기
4.휴재기간의 생활상
5.휴재기간의 문필활동
6.「화적편」집필과 <임꺽정> 단행본 출간
제6장 조선사와 조선문화론
1.조선학운동과 홍명희
2.조선시대 양반론
3.조선의 문학과 풍속에 관한 논의
제7장 일제 말의 은둔기
1.창동시절
2.암흑기의 우울한 나날들
제3부 해방 이후
제1장 해방 직후의 진보적 문화운동
1.해방의 감격과 사회활동의 재개
2.서울신문사 고문
3.조선문학가동맹
4.에스페란토조선학회
5.조소문화협회
제2장 신탁통치파동의 와중에서
1.대한민국임시정부 개선 전국환영대회
2.김일성장군 무정장군 독립동맹 환영준비회
3.신탁통치 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4.반팟쇼공동투쟁위원회
5.신탁통치파동과 홍명희의 성명서
제3장 중간파 정당활동
1.1946년 초반의 암중모색
2.민주통일당
3.홍명희의 정치사상
4.민주독립당
5.민족자주연맹
제4장 남북연석회의
1.단독정부수립안과 중간파의 대응
2.남북연석회의의 추진 과정
3.남북연석회의의 경과
제5장 해방 후의 생활과 문학
1.해방 후의 생활상
2.<임꺽정> 재간과 그 반향
3.대담을 통해 본 문학관
제6장 북한에서
1.평양 잔류와 일가족의 월북
2.북한 정부 수립과 부수상 취임
3.북한에서의 여생
결론 : 홍명희의 인간.사상.문학
1.명문 사대부가 출신 선비의 풍모
2.투철한 반봉건의식
3.진보적 민족주의 노선
4.홍명희의 문학관
5.<임꺽정>의 민족문학적 가치
홍명희 연보
홍명희 저술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929년 12월 13일 홍명희가 신간회 민중대회사건으로 돌연 검거되자, 인기 연재소설이 중단될 위기에 처한 조선일보사측에서 당국과 교섭을 벌인 결과, 홍명희는 며칠 동안 경기도 경찰부 유치장에서 <임꺽정> 집필을 계속할 수 있었다. 그러자 평소 방문객들에게 시달리던 그는 유치장 속에서 집필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되어 한결 "편하였고", 분방한 작가의 사정으로 말미암아 흔히 원고를 제 시간에 건네받지 못해 애를 태우던 신문사측에서도 "제때에 원고가 들어오니 기분이 좋았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본문 276~27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