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3648650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0-02-03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1장 청년장군
1. 아무리 공화국이 어려워도: 핵폭탄과 협상전략
단숨에!: 미사일과 식량구호 |심리를 리해 못 하십니까?: 협상의 문화패턴
2. 척척척 발걸음: 세습과 변화
꼭 같으셔요 | “그깟놈”에서 “좋은 친구”로
3. 외화벌이 일꾼들: 이념에서 발전으로
철없이 돌아온다고 하면 안 되겠다 | 민족보다 국민
4. 사회주의 문명국: 좌절과 도약
발전국가 모델 | 마식령속도로 앞으로! | 기술혁명과 도약발전 |
시도와 좌절의 역사 | 과거, 현재, 미래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1. 우리는 행복해요: 관계와 소속감
세상에 부럼 없어라 | 선물의 아주 특별한 의미 |
언 감귤과 병든 소 | 장군님의 생일선물 |활짝 웃어라: 자랑스러운 공연
2. 어린이는 나라의 왕입니다: 아이들의 영양식
콩우유차는 왕차 | 콩우유는 두유가 아니다
3. 그리운 장군님: 연모의 찬송
낮아진 밥상: 덕성실화 | 장군님 식솔: 가족국가의 표어 |
충성동이 효성동이 마음껏 커요
3장 아버지 나라의 교육
1. 혁명의 으뜸종자: 고아들의 아버지
만경대혁명학원 | 아버지 사진을 모신 이유 | 대를 이은 혁명가족
2. 이역에서 자라는 아들딸: 입양의 정치
동유럽 조선인민학교 | 냉전과 입양의 정치 | 재일 조선학교
3. 세쌍둥이는 나라의 보물: 사회공학실험
복받은 세쌍둥이 | 멋진 신세계
4. 교수 아들은 교수로, 농부 아들은 농부로: 교육과 계급재생산
평양의 교육열성파 엄마들 | 평양 SKY캐슬과 대안교육 | 예술공연과 납치
4장 태양민족의 탄생
1. 해님과 해바라기: 수령과 인민
고향의 봄 | 만경대 고향집
2. 고향집에서 궁전까지: 신화와 순례
민족의 태양 | 태양기념건축 |시조왕릉: 단군릉, 동명왕릉, 왕건왕릉 |
거대 동상과 동상공원
3. 수령님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신다: 영생과 부활
락원의 꽃밭 | 금수산기념궁전 전설
4. 세 장군 전설: 백두혈통의 탄생
정일봉 탄생설화 | 혁명의 성산, 백두산
5. 아리랑공연: 극장국가의 축제
움직이지 않는 중심 움직이다 | 금수산기념궁전과 호찌민묘
5장 빨치산과 고난의 행군
1. 미국놈들 콧대를 꺾어놓았죠: 저항의 역사
악한 것을 물리친 역사 | 원쑤놈들을 미워하는 마음
2. 조선이 없으면 세계도 없다: 선군정치
총 든 사람 말 들어야지 | 총폭탄 결사옹위 | 꽃 파는 처녀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3. 넓고, 깊고, 조용한 굶주림: 대기근의 상처
사회주의 기근: 분단체제의 대응 | 탈북난민: 탈냉전시대의 유랑민 |
비겁한 자여 갈 테면 가라
4. 고난의 행군: 재앙의 미화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 기근과 웃음 |
키 크기 운동과 키 크는 약: 정신주의의 한계 |
닭알 폭포가 쏟아져 내리는 것처럼: 과시적 강박
5. 구충제와 영양증진제: 기근 구호와 관료주의의 벽
함경도 아이들에게 남해의 미역을 | 요오드화 소금과 국제기구 |
민족이란 게 뭐인가?
6장 차별과 처벌
1. 지방진출 파견장이 떨어졌다: 중심과 주변
평양과 지방 | 평양 것들 | 중심지향
2. 지주였나?: 계급과 성분
차별의 역전: 연좌제와 세습 | 신분상승 전략: 교육과 결혼
3. 성분이 깨끗해서: 순수와 오염
다문화는 민족말살론: 인종차별 | 평양은 나라의 얼굴: 장애차별
4. 혁명의 두 수레바퀴: 남성과 여성
녀성은 꽃이라네 | 남남북녀
5. 녹음하는 소리 안 들려요?: 감시와 처벌
혁명화와 수령님의 은사 | 아직 끝나지 않았네
7장 저변의 흐름
1. 필요한 길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비공식경제
단둥의 식량창고 | 길이 없으면 함께 만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
얘네들은 돈맛을 좀 들여야 돼
2. 조선이 더 자본주의 같아요: 공식과 비공식
돈주와 대방: 밀수와 뇌물 | 장마당과 시장: 여성들의 공간
3. 이팝에 고기국, 비단옷에 기와집: 이루지 못한 꿈
풀과 고기를 바꾸자: 식생활 | 바지 입은 녀성 출입금지: 복장검열 |
려명거리와 하모니카집: 주거공간
4. 저리 놀면 정말 재밌지: 놀이와 웃음
중세의 가을: 놀이의 세계 | 시간 훔치기: 웃음과 저항
5. 우리는 교양을 잘해서: 조직생활과 역할극
생활총화: 고백의 문화 | 사회적 교양과 통과의례 |
말밥에 오르지 않게 하라: 겉과 속 | 늬들이 혁명을 알아?: 역할극 |
그래도 변하는 것
닫는 글
감사의 글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동무들, 이제는 고생 끝에 락을 보게 되었소. 우리에게 려명이 밝아오고 있단 말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