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88936503253
· 쪽수 : 401쪽
· 출판일 : 2014-12-10
책 소개
목차
1월 새로운 시작
2월 계명과 기도
3월 하나님의 고난에 참여함
4월 수난절과 부활절
5월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긍정
6월 교회의 하나 됨
7월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
8월 만남과 책임
9월 화해하는 하나님의 사랑
10월 복음을 들으라
11월 한계에 처했을 때
12월 성탄절 제대로 기념하기
부록
디트리히 본회퍼 연보
성경 색인
엮은이의 말
책속에서
선한 힘들에 감싸여
선한 힘들에 감싸여 신실하고 고요하게
놀라운 위로와 보호 아래서
이 날들을 그대들과 더불어 살고 싶습니다.
그대들과 더불어 다가오는 새해를 향해 나아가고 싶습니다.
지난해가 여전히 우리 마음을 괴롭히려 들지만
악한 날의 무거운 짐이 여전히 우리를 짓누르지만
오, 주님. 우리의 겁먹은 영혼에 구원을 베푸소서.
그 구원을 주시려 우리를 만드셨사오니.
주님께서 우리에게 무거운 잔을 건네신다면
가득 채워진 슬픔의 쓴잔을 건네신다면
주님의 선하신 사랑의 손에서
떨지 않고 감사히 받겠습니다.
이 세상의 찬란한 태양 빛 아래에서
다시 한 번 기쁨을 우리에게 주신다면
지나간 일들을 기억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삶을 온전히 당신께 드리겠습니다.
(중략)
선한 힘들에 둘러싸여 경이롭게 보호받으며
우리에게 다가올 것을 확신하며 기다립니다.
하나님은 밤에도 아침에도 우리와 함께하시며
매일 새로운 날에도 함께하심을 확신합니다.
_본회퍼가 1944년 성탄절 전에 지하 감옥에서 쓴 시
한마디 한마디 깊은 사색에서 나오는 본회퍼 어록
“한날의 괴로움은 그날에 겪는 것으로 족합니다”(마 6:34, 새번역).
내일은 전적으로 하나님 손에 맡기고 오늘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을 받는 사람이 진정한 의미에서 안전을 보장받은 자입니다. 하루하루 하나님께 받은 삶은 나를 내일로부터 자유하게 합니다. 내일은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은 끊임없이 염려하게 합니다. 1월 5일
현실 속의 인간을 향한 사랑이 그분을 죄책 가운데 있는 인간과 교제하게 합니다. 예수님은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이 죄책의 삶에서 벗어나기를 바라시지 않습니다. 사람들을 죄책 가운데 내버려 두는 사랑은 현실의 인간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인간을 위한 대리적 책임 속에서 현실의 인간을 위한 사랑 때문에 죄책을 짊어지셨습니다. 그렇습니다. 모든 인간의 죄가 그분에게 지워졌습니다. 그분은 그것을 외면하지 않고 겸손하게 그리고 무한한 사랑으로 지십니다. 예수님은 책임 있게 행동하는 현실 속의 인간으로, 삶의 현실로 들어온 인간으로서 죄인이 되신 것입니다. 3월 28일
오직 하나님의 완전한 사랑만이 세상의 현실을 직면하여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성취하는 것은 보편적인 사랑의 이념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실제 삶으로 실현한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이러한 사랑은 현실에서 떠나 고상한 영혼의 세계로 후퇴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현실을 처절하게 경험하고 감수합니다. … 그렇게 고난당하신 그분께서는 세상의 죄를 용서하십니다. 그래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4월 26일
성육신의 신학과 십자가의 신학과 부활의 신학을 각각 별개의 체계로 세우고 그중 하나를 잘못되게 절대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듯이,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해서도 이런 방식을 적용하여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성육신에만 기초한 기독교 윤리는 쉽게 타협적인 해결책으로 나아갈 것이고, 십자가 신학이나 부활 신학에 기초한 윤리는 급진주의나 열광주의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세 신학이 하나가 되는 곳에서만 분쟁이 해결됩니다. 5월 2일
교회는 세상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고 세상이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화해했음을 증언함으로 세상을 섬기기 위해 공간이 필요한 것이므로, 그 이상의 공간을 갈망해서는 안 됩니다. 교회는 자신의 영역을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의 구원을 위해 투쟁함으로써만 자신의 영역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교회는 자신의 문제를 위해 싸우는 ‘종교 집단’이 되며, 세상에서 하나님의 교회가 되기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6월 13일
인간은 필연적으로 타인과 만나는 가운데 살며, 이런 만남으로 상대에 대한 책임이 따라옵니다. 역사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혹은 그들의 공동체나 전체 사회에 대한 책임을 인식할 때 비로소 시작됩니다. … 하나님께서 인간이 되셨기에 책임 있는 행위는 인간이 할 수 있는 범위에서 고려되고 판단되고 평가되어야 합니다. 그러기에 행위의 결과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하고 미래를 계산하며 용감하게 한 걸음 내딛는 것입니다. … 우리는 자신의 결정이 인간의 결정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자신의 행위에 대한 판단과 함께 그 결과도 전적으로 하나님께 맡겨야 하는 것입니다. 8월 3일,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