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화 (글)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동국대학교 박물관 전임연구원, 문화관광부 문화재 전문위원, 대한불교 조계종 성보보존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朝鮮 前半期 佛經版畵의 硏究>를 비롯하여 <보살상>, <朝鮮朝의 寺院壁畵>, <高麗 後期 寫經變相圖의 樣式變遷>, <花岩寺刹 父母恩重經版畵의 圖像과 意義> 외 불교미술, 특히 불교회화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배병선 (사진)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군산대학교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를 거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전통 건축물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펼치기
유남해 (사진)
정보 더보기
1983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30여년간을 한국학중앙연구원 근무하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의 사진 수록을 전담하여, 전국에 있는 한국 문화재, 한국의 산천과 자연 등을 촬영하여 수록하였다. 최근 10여년 동안에는 <향토문화전자대전> 등의 사업에 참여하여 각 지자체만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담아내었다.
또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장서각에 소장된 고문헌 등은 유남해 작가에 의해서 그 색깔을 잃지 않고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교육부장관상(1992) 및 국무총리상(2011. 5. 3)을 수상하였다.
전국의 그의 손을 거쳐 재탄생된 한국의 문화유산 및 작품은 다음과 같다.
호남의 전통회화 (국립광주박물관, 1984)/한국미술선집 1.2 (거도산업, 1984)
진경산수화 (국립광주박물관, 1987)/전남의 고려도자기 (전남대학교박물관, 1991)
한국전통회화 (서울대학교박물관, 1993)/조선시대 고문서 (국립전주박물관,1993)
무등산 (국립광주박물관, 1993)/국악기특별전 (서울대학교박물관, 1994)
운주사 (대원사, 1994)/서울정도 600년 기념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1995)/부석사 (대원사, 1995)/전통문양 (대원사, 1995)
광개토왕릉비 (국립문화재연구소,1996)/임진왜란관련 자료특별전 (국립진주박물관, 1998)/한국의 향교 (대원사, 2000)/한국의 마애불 (다른세상, 2001)
용주사효행박물관 (용주사효행박물관, 2005)/조선왕실의 행사 그림과 옛 지도(민속원, 2005)/신사임당 가족의 시 서 화 (강릉시, 2006)
펼치기
배병선 (사진)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군산대학교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를 거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전통 건축물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