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9254864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9-12-23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_권오영
1장 머리말
1절 한국의 토목문명 _권오영
2절 기술서와 기술자 집단 _조윤재
1. 기술서
2. 기술자 집단
■ 중국 고-중세의 기술자 집단
2장 성곽과 도성
1절 도성제와 도성 조영 _권오영, 배병선, 곽동석
1. 도성제
■ 백제 최초의 왕성, 풍납토
2. 도성의 경관
■ 베일 벗는 사비도성
3. 도성 조영의 과정과 기술
■ 개로왕대의 도성 정비
4. 건축기술
■ 백제 토목건축기술의 일본 전래
2절 도성의 중요 시설 _권오영
1. 왕궁과 사원
■ 고대 동아시아의 정원
2. 도로와 교량
3. 기타
■ 화장실의 고고학
3절 지방 도시 _권오영
4절 성곽과 토목 기술 _심광주
1. 성곽 축조에 반영된 토목기술
2. 성곽에 반영된 토목기술의 변천 과정
3. 축성 재료에 따른 기술의 변화
■ 무리말뚝공법과 부엽공법
5절 삼국과 통일신라의 성곽 축조 기술 _심광주
1. 고구려 성곽 일반
2. 남한의 고구려 성곽
3. 한성기의 백제 성곽
4. 웅진・사비기의 백제 성곽
■ 공산성을 둘러싼 의문들
■ 나성
5. 신라 초기의 성곽
6. 5~7세기 신라 성곽
7. 통일신라의 성곽
■ 고려와 평행하는 시기의 송・요・서하・금대의 기술관료
6절 고려의 성곽 축조 기술 _심광주
1. 시대적 배경과 축성사적 위치
2. 고려시대 토성 축성법의 특징
3. 고려시대 석성 축성법의 특징
■ 중국의 성지(城池) 토목 공정과 공정량 계측 방법
■ 원, 명, 청대의 기술관료 기구
7절 조선시대 성곽 _심광주
1. 시대적 배경과 축성사적 위치
2. 한양도성의 축성법
3. 읍성의 축성법
4. 영진보성과 행성의 축성법
5. 조선후기 축성법의 변화
■ 세종대의 「축성신도(築城新圖)」와 그 폐단
3장 수리와 관개
1절 수리 연구의 중요성과 연구 현황 _성정용
1. 수리․관개의 역사적 의미
2. 수리․관개시설 연구 현황
2절 수리관개시설의 유형과 종류 _성정용
1. 하천의 물을 나누어 관개하는 방법
2. 둑을 쌓아 가둔 물로 관개하는 방법
3. 하천이나 바닷가에 제방을 쌓아 농경지를 확보하고 관개하는 방법
4. 지하에 수로를 만들어 관개하는 방법
5. 고저차가 없는 평원 지역에서의 수리관개체계
3절 수리 시설의 축조 기술 _성정용
1. 제방의 기본구조
2. 수문의 형태
3. 축조 기술
4절 수리시설의 발달 과정 _성정용
1. 수리・관개의 시작: 청동기시대
2. 저습지 개발: 원삼국시대
3. 국가 주도 대규모 관개시설: 삼국시대
4. 관개체계의 정비: 고려 이후
5절 한국형(韓國型) 수리시설을 규정할 수 있을까? _성정용
1. 쌀농사와 수리․관개
2. 한국형 수리시설
4장 무덤
1절 고인돌 _이영철
1. 고인돌의 구조
2. 채석 기술과 도구
3. 운반 기술과 도구
4. 축조 기술과 종류
2절 목관묘와 목곽묘 _홍보식
1. 목관묘
2. 목곽묘
3절 고구려 고분 _이영철
1. 고구려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고구려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4절 백제 고분 _이영철
1. 백제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백제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5절 영산강 유역 고분 _이영철
1. 영산강 유역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영산강 유역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6절 신라와 가야 고분 _홍보식
1. 석곽의 축조 기술
2. 적석목곽분의 축조 기술
3. 고총의 토목기술
7절 남북국시대의 고분 _홍보식, 권오영
1. 통일신라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발해 고분의 구조와 변천
8절 고려의 왕릉 _권오영
1. 묘제의 변천 과정
2. 주요 왕릉의 구조
9절 조선의 왕릉 _권오영, 이영철
1. 장제와 상제
■ 다양한 자재 운반도구
2. 왕릉의 조영
3. 왕릉에 반영된 과학기술 원리
4. 왕릉의 부속시설
5. 양반층의 회곽묘
■ 석회의 생산
5장 맺음말 _권오영
1. 전통시대 토목문명사의 의미
2. 한국적인 토목문화의 정립과 발전
3. 전문성의 강화와 분야별 통합
4. 토목유산의 현재와 미래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