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36907853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6-12-26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책 머리에
벼루(硯)
벼루의 내력
우리나라 벼루의 개략
우리나라의 벼루
- 남포석(藍浦石), 우리나라의 대표적 벼룻돌
- 종성석(鍾城石), 석질 좋은 검은 돌
- 위원석(渭原石), 아름다운 돌빛깔
- 대동강석(大同江石), 녹색의 단단한 돌
- 해주석(海州石), 풍골 좋은 백세청풍
- 고산석(高山石), 백리길 자석지대
- 상산자석(常山紫石), 두타산 300년의 벼룻돌
중국의 벼룻돌
- 단계석(端溪石), 중국의 서화문화를 일군
- 흡주석(?州石), 중국의 2대 명석
- 여계석(?溪石), 단계석을 닮은 벼룻돌
- 송화강녹석(松花江綠石), 청왕조의 자존심
- 징니연(泥硯), 펄로 만든 벼루
- 조하녹석(?河綠石), 환상의 벼룻돌
- 공청석(空靑石, 조하 유역의 벼룻돌
벼루를 가늠하는 요점
- 육요(六要)
- 팔덕(八德)
- 행연의 아름다움
- 공연과 관연
- 명연(銘硯)은 명연(名硯)인가
- 오부도랍과 쇄묵여풍
- 신경록과 고이랑
- 운명의 벼루, 명문과 내력
- 추사 김정희의 벼루
- 안평대군의 벼루
- 성해응의 연보
- 문방첩
벼루의 종류와 문양
- 벼루의 종류와 이름
- 벼루의 문양 : 조선 벼루의 조각 양식 / 중국 벼루의 조각 양식
벼루의 제작과 쓰임 용어
- 벼루의 쓰임새와 고르기
- 벼루에 쓰이는 용어
먹(墨)
먹의 성분과 내력
신라묵과 고려묵
이정규의 먹, 묵운실의 천년유물
그을음과 아교
녹각교는 조선지법
용약의 비밀
묵장열전, 그들이 만든 명묵
묵치 소동파의 먹 만들기
우리나라 먹, 그 쇠잔의 길
좋은 먹의 조건
붓(筆)
붓의 내력, 우물로 보는 변천
붓, 다양한 붓대와 필봉
붓, 신묘한 터럭의 조화
붓 만들기의 여러 가지 기법
완당의 붓, 무명의 필장
우리나라의 붓, 붓털
종이(紙)
종이의 역사
중국 종이, 질과 다양성
고려지, 중국엔 없었던 기품
조선조의 다양한 종이
한지 천년의 비밀
문방제구
문방제구, 옛 문화를 창조한 연장
수집, 그 다양한 욕구
부록
참고문헌
벼루 도판목록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