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여성문학 선집 세트 - 전7권

한국 여성문학 선집 세트 - 전7권

여성문학사연구모임, 김양선, 김은하, 이선옥, 이명호, 이희원, 이경수 (엮은이)
민음사
10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3,600원 -10% 0원
5,200원
88,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여성문학 선집 세트 - 전7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여성문학 선집 세트 - 전7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88937456800
· 쪽수 : 3256쪽
· 출판일 : 2024-07-05

책 소개

『한국 여성문학 선집』(전 7권)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을 엮은 ‘여성문학사연구모임’은 여성주의와 여성문학 연구를 지속해 온 학자들이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사 서술을 목표로 2012년 결성한 모임으로, 『한국 여성문학 선집』은 그 첫 번째 프로젝트이자 성과물이다.

목차

■ 1권 여성문학의 탄생 ― 1898년~1920년대 중반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여성문학의 탄생, 조선의 배운 여자들과 개인의 등장 14
김 소사, 이 소사 28
부인회 애국가 30
여학교설시통문 34
신소당 38
평안도 안주 여노인 신소당은 39
진주 부용 형 전 사례서 43
김명순 47
유언 49
저주 51
도라다볼 때 55
두 애인 125
김일엽 192
서시 194
자각 196
창간사 225
우리 신여자의 요구와 주장 229
나혜석 235
인형의 가 237
경희 242
김월선 314
창간에 제하야 316
엮은이 소개 320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322

■ 2권 계급·민족·여성의 교차 ― 1920년대 후반~1945년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여성과 식민지 현실의 교차 — 계급·민족·여성성 16
김일엽 35
나의 노래 37
나혜석 39
이혼고백장 41
장정심 129
행주치마 131
김말봉 133
찔레꼿 135
박화성 144
추석전야 146
찾은 봄·잃은 봄 189
강경애 209
소금 211
인간 문제 267
최정희 280
지맥 282
백신애 337
꺼래이 339
모윤숙 359
조선의 딸 361
노천명 363
자화상 365
남사당 367
송계월 369
내가 신여성이기 때문에 371
여인 문예가 크릅 문제— 최정희 군의 「선언」과 관련하야 375
이선희 379
도장 381
임옥인 395
후처기 397
지하련 414
산길 416
임순득 437
여류 작가의 지위— 특히 작가 이전에 대하야 439
엮은이 소개 456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458

■ 3권 전쟁과 생존 1945년~1950년대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해방과 전쟁 — 일제강점기 여성문학의 해체와 한국 여성문학의 형성 14
고명자 39
자주독립과 부녀의 길─부녀위안의 날을 마지면서 40
최정희 48
풍류 잡히는 마을 50
끝없는 낭만 86
노천명 97
적적한 거리 99
아름다운 얘기를 하자 100
이선희 102
창 104
지하련 136
어느 야속한 동족이 잇서 138
도정 140
이영도 167
맥령 169
정충량 170
여성의 지위와 현실 172
한무숙 178
허물어진 환상 180
감정이 있는 심연 197
강신재 222
안개 224
해방촌 가는 길 248
노영란 277
밤의 악장 279
홍윤숙 281
생명의 향연 283
박경리 286
표류도 288
불신시대 300
김남조 332
목숨 334
한말숙 336
신화의 단애 338
엮은이 소개 354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357

■ 4권 세대교체와 저자성 투쟁 1960년대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여성문학의 세대교체와 성숙 16
이영도 38
진달래—다시 4·19 날에 40
박경리 42
쌍두아 44
사소설이의 83
김남조 89
겨울 바다 91
박순녀 93
아이 러브 유 95
어떤 파리 123
이정호 154
잔양 157
구혜영 179
은 빛깔의 작은 새 181
함혜련 201
내 음악이 멎을 때까지 203
강인숙 205
여류문학의 새 지표 207
김후란 216
거울 속 에뜨랑제 218
전혜린 220
목마른 계절—이십 대와 삼십 대의 중간 지점에서 222
손장순 231
한국인 233
정연희 245
정점 247
강계순 280
꽃병 1 282
허영자 284
자수 286
녹음 288
박시정 290
날개 소리 292
한국여류문학인회 320
창간사 322
여류문학 50년을 회고한다 325
서문 346
엮은이 소개 348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350

■ 5권 개발 레짐과 여성주의적 각성 1970년대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개발독재기의 젠더 통치와 대안적 여성 주체의 등장 14
김자림 32
화돈 34
박완서 48
닮은 방들 51
손장순 75
우울한 빠리 77
노향림 108
어떤 죽음 109
서영은 110
먼 그대 112
신달자 140
그리움 142
강은교 144
자전 1 146
비리데기의 여행노래 148
빈자일기— 구걸하는 한 여자를 위한 노래 158
문정희 160
새떼 162
오정희 163
중국인 거리 165
어둠의 집 199
김승희 221
그림 속의 물 223
태양미사 227
석정남 230
인간답게 살고 싶다 232
불타는 눈물 238
송효순 242
서울로 가는 길 244
장남수 266
빼앗긴 일터 268
엮은이 소개 286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288

■ 6권 운동으로서의 글쓰기 1980년대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운동으로서의 글쓰기와 여성 의식 — 민중 · 민족 · 젠더의 교차 16
박완서 34
엄마의 말뚝 1 37
엄마의 말뚝 2 98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158
홍희담 179
깃발 181
김채원 183
겨울의 환 185
윤정모 251
고삐 1 253
정복근 262
덫에 걸린 집 264
문정희 321
황진이의 노래 1 323
작은 부엌 노래 325
고정희 327
상한 영혼을 위하여 329
우리 동네 구자명씨― 여성사 연구 5 331
이경자 333
둘남이 335
강석경 363
밤과 요람 365
김향숙 429
종이로 만든 집 431
김승희 495
내가 없는 한국문학사 497
불의 딸과 태양숭배 500
최승자 516
일찌기 나는 518
Y를 위하여 520
김혜순 522
기어다니는 나비 524
딸을 낳던 날의 기억 ― 판소리 사설조로 526
양귀자 528
원미동 시인 530
차정미 555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10 ― ‘정신대’를 생각한다 556
최명자 559
코 561
정명자 563
잊지 못할 1978년 2월 21일 565
황인숙 569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571
김경미 573
야간여고 수업 575
허수경 577
폐병쟁이 내 사내 579
아버지, 나는 돌아갈 집이 없어요 580
여성평우회 582
여성문화 큰잔치 연희마당 584
또 하나의 문화 648
좌담 ‘또 하나의 문화’를 펴내며 650
여성 673
『여성』 1집을 내면서 674
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문학의 현실 678
여성운동과 문학 747
책을 내면서 748
엮은이 소개 752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754

■ 7권 성차화된 개인과 여성적 글쓰기 1990년대

책머리에 4
시대 개관
성적 주체로서 개인의 발견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 16
천양희 38
바람 부는 날 40
최승자 42
하안발 5 44
김언희 45
얼음여자 47
김정란 49
내가 아무렇게나 죽인 여자 51
이연주 53
매음녀 1 55
최윤 57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59
하나코는 없다 145
김혜순 178
나의 우파니샤드, 서울 180
여자들 183
엄인희 186
그 여자의 소설 188
생과부 위자료 청구 소송 240
최정례 255
햇빛 속에 호랑이 257
노혜경 259
레이스마을 이야기 — 할머니의 앞치마 261
이남희 263
플라스틱 섹스 265
은희경 308
새의 선물 310
그녀의 세 번째 남자 334
박서원 402
엄마, 애비없는 아이를 낳고 싶어 404
마리아가 목수의 아들 예수에게 주는 메시지 407
최영미 410
서른, 잔치는 끝났다 412
전경린 414
염소를 모는 여자 416
공선옥 480
목마른 계절 482
공지영 515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517
무엇을 할 것인가 527
김인숙 552
칼날과 사랑 554
신경숙 556
배드민턴 치는 여자 558
외딴방 587
허수경 597
혼자 가는 먼 집 599
불우한 악기 600
배수아 602
여점원 아니디아의 짧고 고독한 생애 604
이수명 649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 651
나희덕 653
어린것 655
하성란 657
치약 659
한강 683
내 여자의 열매 685
송경아 686
바리—길 위에서 688
엮은이 소개 708
집필에 참여한 연구자들 710

저자소개

김양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일송자유교양대학에 재직 중이다.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과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경계에 선 여성문학』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젠더와 사회』(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1991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백석 시 연구·화자 유형을 중심으로>로 문학 석사 학위를, <한국 현대시의 반복 기법과 언술 구조?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이용악·서정주 시를 중심으로>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문학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불온한 상상의 축제≫, ≪한국 현대시와 반복의 미학≫,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 ≪춤추는 그림자≫, ≪다시 읽는 백석 시≫(공저), ≪이용악 전집≫(공편저), ≪최재서 평론선집≫(편저) 등이 있다. 제23회 김달진문학상, 제8회 애지문학상, 제17회 젊은평론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시와 시론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이명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버팔로)에서 윌리엄 포크너와 토니 모리슨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전공 교수로 재직하면서 감정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하는가: 성차와 문화정치』가 있고, 공저로『감정의 지도 그리기』, 『우리는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가』, 『페미니즘: 차이와 사이』, 『유토피아 문학』등이 있다. 공역서로는『식물의 사유: 식물 존재에 대한 두 철학자의 대화』, 『소설의 정치사: 섹슈얼리티, 젠더, 소설』이 있으며, 번역서로『사랑을 배울 수 있다면: 사랑을 이해하는 철학적 가이드북』이 있다.
펼치기
이선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여성과 사회』, 『실천문학』, 『내일을 여는 작가』 등에서 편집위원으로 일했으며,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여러 잡지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통해 잡지의 담론 형성과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식담론이면서도 대중독자와 직접 만나게 되는 잡지의 담론 변화는 한 시대의 지배담론이 부상하고 쇠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책은 1960-70년대 잡지를 통해 한 시대의 지배이념으로 과학주의를 추출하고 민족주의, 가부장제와 결합되는 담론지형을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그 외에 「페미니즘소설의 감정지도 그리기」, 「히스테리와 노동: 1970, 80년대 여성 전업작가의 등장과 여성글쓰기 주체의 신체성」 등의 평론에서는 감정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를 넓혀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 소설과 페미니즘』이 있으며, 함께 지은 책으로 『『여원』 연구: 여성, 교양, 매체』,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일곱 가지 여성 콤플렉스』, 『내 안의 여성 콤플렉스 7』 등이 있다.
펼치기
여성문학사연구모임 (엮은이)    정보 더보기
남성 중심의 문학사 서술에 의문을 품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의 유산을 여성의 시각으로 정리하기 위해 2012년 결성된 모임이다. 국문학 연구자 김양선, 김은하, 이선옥, 영문학 연구자 이명호, 이희원으로 구성되었고, 시 연구자 이경수가 객원 에디터로 참여했다. 김양선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일송자유교양대학 교수이며,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과 《여성문학연구》 편집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1930년대 소설과 근대성의 지형학』,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경계에 선 여성문학』 등이 있다. 김은하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이며, 《여성문학연구》 편집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개발의 문화사와 남성 주체의 행로』 등이 있다. 이선옥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이며, 《실천문학》 편집위원,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태권V와 명랑소녀 국민 만들기』, 『한국 소설과 페미니즘』 등이 있다. 이명호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 전공 교수이며, 경희대학교 글로벌인문학술원 원장, 한국비평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하는가』, 『트라우마와 문학』 등이 있다. 이희원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석사, 텍사스 A&M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이며,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영미 드라마 속 보통 여자들』 등이 있다. 이경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며, 한국시학회, 한국여성문학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대표 저서로 『한국 현대시와 반복의 미학』, 『불온한 상상의 축제』, 『춤추는 그림자』, 『이후의 시』, 『백석 시를 읽는 시간』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근대 지식과 문화의 유입은 여성들의 삶과 지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학교를 비롯한 근대 교육기관의 필요성을 자각한 여성 주체들의 움직임, 근대적 교육을 받은 신여성의 등장, 개화 계몽의 열기로 꽉 찬 공론장의 부상은 여성의 읽기와 쓰기를 이끈 요인들이다. 이 시기 공적 담론은 신문・잡지와 같은 인쇄 매체를 통해 유포되었고, 이와 같은 공론장에 글 쓰는 여자가 출현한 것은 여성문학사의 기원을 이루는 중요한 장면이다. 특히 《여자계》(1917), 《신여자》(1920), 《신여성》(1923) 등 여성 매체는 논설, 독자 투고뿐 아니라 수필, 소설, 시 등 문학적인 글쓰기를 훈련할 장을 마련했다. 여성의 권리와 각성, 자유연애에 대한 열망을 담은 이 작품들은 민족이나 가부장적 질서로 환원되지 않는 여성—개인의 목소리를 근대적 문학 양식에 담은 신여성에 의한, 신여성에 대한 글쓰기다. _1권(여성문학의 탄생) 시대 개관에서


1930년대는 여성문학이 식민 현실을 젠더의 시각으로 본격적으로 그려 낸 시기였다. 난민이나 유민이 된 여성의 고통스러운 삶을 공감과 연대의 윤리로 포착하는가 하면 남성 중심의 가족 로망스와 윤리를 내파했다. 남성 중심의 문학장이 여성에게 부과한 ‘여성적’ 글쓰기라는 틀과 여성성의 개념을 영리하게 전유해 여성성, 여성적 글쓰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해석자와 가치 부여자에 따라 유동적이고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처럼 1930년대 문학은 ‘주의자’ 여성부터 여성성을 연기하는 여성까지, 민족 혹은 집단의 ‘대표자’ 여성부터 민중 여성까지, 신여성부터 구여성까지 포괄하면서 근대와 전근대, 계급과 민족 그리고 성이 착종하고 교차하는 식민 현실을 풍부하게 담아낸 여성문학 형성기로 자리매김했다. _2권(계급·민족·여성의 교차) 시대 개관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