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8894080401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1-04-15
책 소개
목차
서문_ 케네스 R. 트랩
머리말
서론
1부 공예의 기능성과 용어 고찰
1장 목적, 사용, 기능
2장 실용적인 기능에 따른 공예의 분류법
3장 여러 가지 실용적 기능 _ 도구와 공예품
4장 기계, 도구, 공예품의 비교
5장 공예의 목적과 생리적 필요
6장 자연과 공예품의 기원
2부 공예와 순수미술
7장 순수미술은 무엇이고, 무얼을 하는가
8장 사회적 관습 대 물질적 필요
9장 순수미술, 공예 그리고 자연
10장 기술지식과 손기술
11장 손과 몸 그리고 공예
12장 손과 몸 그리고 순수미술
13장 물질성 대 시각성
14장 사물의 사물성
3부 공예와 디자인의 쟁점
15장 재료와 손기술
16장 디자인, 기량, 장인정신
17장 공예가 대 디자이너
18장 공예와 디자인의 의미
19장 손, 기계, 그리고 재료
4부 미적 사물과 미적 이미지
20장 공예와 미학 이론에 대한 역사적 관점
21장 기능/비기능의 이분법과 미학
22장 칸트와 순수미술의 목적
23장 순수공예, 순수미술, 순수디자인
24장 의도, 의미 그리고 미학
25장 미, 관조, 그리고 미학적 차원
26장 미학적 관조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27장 비평적 공예품의 탄생
결론
미주
참고문헌
색인
역자후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을 통해 나는 ‘ 공예품 craft object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해보려고 한다. 이 질문을 하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지난 20세기 초에 구체화된 이 요인들은 오늘날까지 공예를 이해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비평이론과 실기작업 모두에서 공예와 순수미술의 관계가 변화했다는 점이다.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관계가 오염되었다고 할 수 있다.)
-머리말 중에서
현대미술이론, 미학이론, 철학담론들을 망라한 학문적 지식과 오늘날의 문화를 날카롭게 바라보는 눈을 가지고 있는 리사티는 공예에 관한 진부한 정의들, 즉 공예를
예술의 한 형태로 인식하는 진정한 이해를 가로막아 온 정의들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그의 주장은 공예의 개념을 다시 생각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미술품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도 다시 고민해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케네스 트랩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