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여행의 모더니즘

여행의 모더니즘

(다이쇼부터 쇼와 전기 일본의 사회문화 변동)

아카이 쇼지 (지은이), 허보윤, 전미경, 이현희, 김연숙, 남효진, 강현정 (옮긴이)
소명출판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400원 -10% 0원
1,300원
22,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여행의 모더니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행의 모더니즘 (다이쇼부터 쇼와 전기 일본의 사회문화 변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5905657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여행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행복한 생활’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는지, 그러한 사고방식은 어떻게 실현ㆍ보급ㆍ정착되었는지, 이 과정에서 근대 여행문화의 일본적 특징은 무엇인지 찾고자 한다. 다이쇼ㆍ쇼와 초기 여행문화의 근대성은 자기목적화와 다양화, 여행의 산업화와 시스템화라는 3가지 방향으로 나아갔다.

목차

서序 여행과 모더니즘에 대하여
1. ‘행복한 생활’ 이미지와 여행
2. 다이쇼·쇼와 초기 여행문화의 발전 방향-여행 속 모더니즘
3. 근대 여행의 사회적 배경과 원동력-모더니즘 속 여행
4. 여행과 미디어
5. 이 책의 구성
6. 관광으로서 산업과 문화로서 여행

제1장 여행의 ‘모던’-대중화·조직·잡지
1. 들어가며
2. 여행의 대중화
3. 잡지 『다비旅』의 성립과 두 가지 흐름
4. ‘건전한 여행취미’의 탐구
5. 료칸의 탈전통화-전통적 관습의 재검토
6. ‘단체여행’을 둘러싼 의견 차이
7. 여행 사업자와 ‘여행 애호가’ 간 관계 재편-여행의 산업화

제2장 산악미의 발견과 여행단-다이쇼·쇼와 초기의 등산 열풍
1. 들어가며
2. 다이쇼기 등산 열풍과 ‘여행단’
3. 메이지 말기에서 다이쇼 초기 일본산악회의 강연회 활동
4. 근대 산악등산의 문화적 특성
5. 사회인 여행단체의 지향성

제3장 도시미의 발견과 ‘도회취미’-기노시타 모쿠타로木下?太郞의 고바야시 기요치카론小林淸親論
1. 들어가며
2. 고바야시 기요치카 재발견과 네 개의 기요치카론
3. ‘강변河岸’의 발견
4. 에도바시·아라메바시 부근-그려진 것과 그려지지 않은 것
5. ‘도회취미·도회정조’의 사상과 그 변용

제4장 여행 가이드북의 ‘볼거리’-『공인 동아 안내』 일본편과 『테리의 일본제국안내』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 국내외 여행안내기 전람회內外案內記類展覽會’와 『일본안내기日本案內記』
3. 『공인 동아 안내An Official Guide to Estern Asia』와 『테리의 일본제국 안내Terry’s Guide to Japan』
4. ‘볼거리’의 차이

제5장 ‘취미여행’과 ‘모던라이프’-여행론의 전개
1. 들어가며
2. ‘취미여행’과 여행의 다양화
3. 모던라이프와 여행의 의미
4. 여행 융성기의 여행론
5. 여행 규제기의 여행론

제6장
1. 들어가며
2. 『다비』의 종간과 『교통동아』의 발간
3. 『교통동아』가 보여준 전쟁 말기의 알력
4. 전쟁 말기의 이국 동경-여행잡지로서의 『교통동아』
5. ‘전쟁과 여행’를 둘러싼 시기 구분

제7장
1. ‘간초로觀潮樓’의 소실
2. ‘문학산책’의 성립과 전개
3. 여행문화로서 ‘문학산책’

미주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저자소개

아카이 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출생. 1975년 와세다대학 제1문학부 철학전공. 1987년 히토쓰바시대학원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리쓰메이칸대학 명예교수. 전공은 사상사·사회학. 저서 및 공저로는 『미디어 사회 길잡이-그 역사와 구조(メディア社会の歩き方-その歴史と仕組み)』(社会思想社, 2004)가 있고 공역으로는 J. Harbermas, 『텍스트와 콘텍스트(テクストとコンテクスト)』(晃洋書房, 2006)가 있다.
펼치기
허보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와 동 대학원을 마치고, 영국 미들섹스 대학과 포츠머스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현대공예론을 연구하며 가르친다. 저서로 《권순형과 한국현대도예》, 역서로 《욕망의 사물, 디자인의 사회사》 《일본 근대와 민예론》 《공예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강현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 및 동아시아영화를 전공했다. ‘일본 근대와 젠더 세미나팀’에서 <확장하는 모더니티: 1920~30년대 근대 일본의 문화사>, <근대 지의 성립: 1870~1910년대>, <감성의 근대: 1870~1910년대 2>, <내셔널리즘의 편성: 1920~1930년대>, <냉전체제와 자본의 문화: 1955년 이후 1>을 공역했으며, 연구공간 L의 연구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현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에서 일본근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 탐정소설을 둘러싼 과학적 상상력」(2022), 「1920년대 ‘인조인간-로봇’의 수용양상 연구」(2020), 『유리병 속 지옥』(2019) 등의 논문과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