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잃어버린 불상을 찾아서

잃어버린 불상을 찾아서

(1910년-2010년까지, 도난 불교문화재와 숨은 이야기)

이숙희 (지은이)
  |  
미진사
2015-07-30
  |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잃어버린 불상을 찾아서

책 정보

· 제목 : 잃어버린 불상을 찾아서 (1910년-2010년까지, 도난 불교문화재와 숨은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종교미술
· ISBN : 9788940805138
· 쪽수 : 300쪽

책 소개

1910년부터 2010년까지 도난당한 우리의 불교문화재에 대하여 쉽고 재미있게 풀어쓴 글이다. 불교문화재에 대한 설명 뿐 아니라 도난 과정과 범인에 대한 처벌, 도난 후의 유통 경로까지 밝히고 있어 불교문화재와 도난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9

잃어버린 불상 이야기 13

1. 국보급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

세상에 이름을 남기고 싶었던 도적의 허황된 야심이 부른 해프닝 19
연가7년명 금동불입상

대범하고 치밀하게 도난당한 불상 26
공주 의당면 금동관음보살입상

세상을 놀라게 한 금부처 밀송 사건의 전말 30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불교 신자로 가장하여 계획적으로 훔친 불상 35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도난 하루 만에 골동품상에서 되찾아온 불감 38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2. 보물급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

보물로 지정되자마자 사라진 운명 45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불좌상

부처의 영험으로 2년 만에 다시 돌아온 불상 48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세상에 나오자마자 자취를 감춰버린 불상 52
광주 증심사 금동불입상과 금동보살입상

숱한 시련을 이겨낸 불상의 귀환 55
당진 영탑사 금동삼존불상

불상을 훔치려다 덜미 잡힌 승려 59
양산 통도사 은제도금아미타삼존불상

기상천외한 수법으로 불상의 속을 턴 범행의 종말 62
경주 기림사 소조삼신불상

여러 차례 수난을 겪고 돌아오기까지 67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ㆍ보현동자상

3. 시도지정문화재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

비가 억수같이 내리는 한밤중에 사라진 불상 75
서산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좌상

복면한 강도가 주지스님의 손발을 묶고 훔쳐간 불상 78
부여 무량사 금동아미타삼존불상과 금동보살좌상

불상의 머리만 가져간 도둑들 82
횡성 상동리 석불좌상

옛 절터를 떠나버린 비운의 불상 86
의령 중교리 석불좌상

연쇄적으로 사라져버린 불상 88
제천 정방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도난당하였다가 복장만 사라진 불상 93
남원 실상사 백장암 철조보살좌상

한국전쟁 중에 살아남은 불감 96
순천 송광사 고봉국사주자원불

4. 비지정문화재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었다가 도둑맞은 비로자나불상 101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떠돌이 신세가 된 비로자나불상 106

어느 날 홀연히 사라진 아미타불상 109

외딴 곳에 홀로 서 있다가 감쪽같이 없어진 미륵불상 114

주지스님이 사찰을 비운 사이에 도난당한 관음.세지.지장보살상 117

불교 신자로 가장하여 대담하게 훔쳐간 16나한상 120

출입문 자물쇠를 절단하고 빼내간 시왕의 권속들 125

파괴, 도난, 밀반출의 수난을 겪은 석사자상 131

완전히 무방비인 상태에서 유린되는 능묘조각 136

무관심 속에 내버려진 채 사라진 석장승 142

5. 기사를 통해 알려진 불상 도난 사건과 뒷이야기

사찰이 비어있는 틈을 타서 불상을 훔친 단순 절도 사건 148

전국 사찰을 돌아다니면서 전문적으로 불상을 훔친 사건 162

승려 단독 또는 불교 신자와 결탁하여 불상을 훔친 사건 169

불교 신자로 가장한 치밀하고도 대담한 불상 절도 사건 177

강도로 위장하거나 조직폭력배를 이용한 불상 절도 사건 181

전직 박물관 직원, 현직 경찰, 교사 등이 가담한 불상 절도 사건 185

박물관이나 미술관, 개인 소장의 불상 도난 사건 191

국외로 불상을 밀반출하려다 적발된 사건 197

도굴 또는 도난되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불상을 팔다가 들통난 사건 200

가짜 불상을 진품으로 속여 팔다가 덜미를 잡힌 불상 사기 사건 210

승려를 빙자한 불상 사기 사건 216

종교적인 갈등으로 인한 불상 파괴 사건 218

6. 불교문화재 도난 현황과 불법 거래

불교문화재 도난 사건은 얼마나 심각한가? 223

도난된 불교문화재는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가? 230

도난 문화재 밀반출과 불법 거래에 대한 법적인 규제는 어떠한가? 237

7. 북한 문화재의 중국 밀반출과 위작

북한 문화재가 외화벌이용으로 밀반출되는 경로 245

북한 문화재의 유통 과정과 모조품 250

부록
600여 년 만에 돌아온 국보급 불상, 일본에서 훔쳐온 우리 불상 257

(표 1) 문화재 도난 및 회수 현황 266

(표 2) 국가지정문화재 도난 및 회수 현황 268

(표 3) 지정문화재 도난 목록 - 불상 편 272

(표 4) 비지정문화재 도난 목록 - 불상 편 276

(표 5) 조선공예전람회 목록 286

『문화재보호법』 개정안 290

주석 291

저자소개

이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학 박사학위(2004)를 받은 이숙희는 현재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조계종 성보문화재위원, 인천시 및 대전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통일신라시대 교계 불교조각』(학연문화사, 2009), 『잃어버린 불상을 찾아서』 (미진사, 2015), 공저로는 『한국미술문화의 이해』(예경, 1994), 『클릭 한국미술사』(예경, 2011), 『인천의 전통사찰과 불교미술』 제1권.3권(인천시 역사자료관, 2011~2015), 『인천의 중국 불 교문화유산』(인천시 역사자료관, 2016) 등이 있다. 역서로는 『불상의 탄생』(예경, 1994), 『인도미술』(한길아트, 1997) 등이 있다. 「고려시대 금강 령의 도상적 연구」(『고고미술』186호, 1990), 「통일신라시대 지권인 비로자나불상 연구의 쟁 점과 문제」(『미술사논단』7호, 1998), 「중국 사천성 천북지역 석굴의 초기교 조상」(『미술사 연구』13호, 1999), 「통일신라 오방불의 도상 연구」(『미술사연구』16호, 2002), 「통일신라시대 의 변화관음보살상」(『미술사의 정립과 확산』2권, 2006),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라 적 변용과 특성」(『미술사학연구』250 251호, 2006), 「비로사 비로자나불상과 아미타불상에 관 한 연구」(『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2007), 「북한산 도선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인문과학』 20집, 2015)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도난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보다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문화재가 훨씬 많다. 비지정문화재는 보존과 관리가 소홀하여 유물의 수량이나 소재지가 제대로 파악된 경우가 별로 없고, 또 도난당했다 하더라도 신고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전체 도난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만큼 비지정문화재는 훔친 후 불법적인 거래로 처분하기가 쉽고, 잡혔을 경우에도 그 죄질에 비해 법적인 처벌이 약하다. 이 때문에 비지정문화재가 문화재 전문 절도범들에게 좋은 먹잇감이 되고 있다.
최근 프랑스에 있던 외규장각 도서 반환 교섭을 계기로 약탈문화재 반환 문제가 국민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문화재 도난의 심각성 자체에 대한 인식은 아직까지 부족하다. 일단 문화재를 잃게 되면, 다시 돌아오기란 그리 쉽지 않다. 도난 불교문화재 중 일부는 되찾거나 간혹 범인이 양심의 가책을 느껴 스스로 돌려주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 ‘잃어버린 불상 이야기’에서

우리나라 불상 최대의 도난 사건은 1967년 10월 24일 오전 10시경 덕수궁미술관 2층 제 3실 유리진열장에 전시되어 있던 연가7년명 금동불입상이 감쪽같이 사라진 일이다. 이 불상은 경비원 김모 씨가 잠깐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없어졌다. 진열실에는 이날따라 구경 온 손님들이 많이 있었다. 더욱이 이날은 9시 40분부터 11시까지 정전이 되어 제 3실이 어두운 상태였는데, 이때 불상이 없어진 것이다. 국보 제 119호에 해당하는 이 불상은 도난당한지 12시간 57분 만에 무사히 돌아왔지만 누가, 왜 훔쳐갔는지 그 배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당시 신문에 실린 사건의 전말을 보면 다음과 같다.
- ‘국보급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에서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상의 복장전적은 이전에도 도난당하여 되찾아온 적이 있다. 1993년 12월 5일 문화재 전문 절도범들이 기림사 유물전시관의 진열장 측면 0.7cm 유리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이고 깨뜨린 다음 훔쳐갔는데, 이번 사건도 같은 범인들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13 기림사 주지인 법일 스님은 “15일 오후 대적광전에 봉안된 삼존불상 중 왼쪽에 있는 높이 3m인 소조 노사나불상의 왼쪽 팔꿈치와 밑부분이 손이 들어갈 정도로 부서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범인들이 불상을 훼손한 뒤 안에 있는 귀중품을 훔쳐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사고가 난 대적광전은 지난해 12월부터 보수공사 중이어서 일반인들의 출입을 금지해 왔으며, 삼존불상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판으로 가려둔 상태였다. 중앙의 소조비로자나불상 복장에서 나온 54권 71책의 경전은 대부분 조선 중종연간(1506-1544)에 제작된 것이다. 그중에는 고려시대 사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1348년 고려 후기에 제작된 『상지은니대반야경』과 『백지금니불경』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물급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에서

국립경주박물관 뜰에도 경주 분황사에서 출토되었다고 하는 목 잘린 불상들이 전시되어 있다. 이 13구의 불상들은 1965년 12월 분황사 뒷담에서 북쪽으로 33m 정도 떨어진 우물 속에서 보살입상 1구, 불두 5구, 광배 1점과 함께 발견된 것이다. 분황사는 신라 선덕여왕 3년인 634년에 창건되었으나 13세기 전반 고려 때 몽고의 침입으로 완전히 불타 없어진 사찰이다. 분황사에서 발견된 이 불상들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손 모양도 각기 달라서 다양한 형식을 보여준다. 분황사 경내에 있는 목 잘린 불상들은 언제쯤 파손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아마 조선조 500년간 내려온 유교가 만든 폐해로 보인다. 불교에 대한 억압이 한창 심할 때 불상들을 우물 속에 넣고 메우면서 생긴 흔적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천년의 세월을 견디어 용케 살아남은 불상들이다.
- ‘시도지정문화재 불상의 도난 및 미수 사건’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국보급 금동불상 2점을 일본인에게 판 골동품상 한모 씨, 오모 씨, 서모 씨 3명이 『문화재보호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다. 한 씨는 작년 8월 한국고미술협회장으로부터 금동불상 1점을 1500만원에 팔아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리고 이 불상을 일본인 골동품상 와다나베 씨에게 800만 원에 판 후 회장에게 500만 원만 주고 나머지 300만 원은 3명이서 100만 원 씩 나누어 가졌다. 또한 같은 해 11월 회장으로부터 중형 금동불상 1점을 위탁받고 와다나베 씨에게 1500만 원을 받고 판 다음 750만 원만 주인에게 주고 나머지 750만 원은 분배하여 착복하였다. 경찰은 한 씨를 통해 와다나베 씨에게 불상을 되돌려 줄 것을 교섭 중이며, 와다나베 씨도 불상 반환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미술상협회가 감정한 바에 의하면, 이 금동불상 2점은 높이 18cm 정도로 『조선고적도보』(5615쪽)에 나오는 동조약사불입상과 제작 기법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 ‘기사를 통해 알려진 불상 도난 사건과 뒷이야기’에서

압록강 철교는 일제강점기인 1943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기찻길과 차도가 함께 놓여 있으며 지금은 ‘중조우의교’라고 부른다. 이 철교 바로 옆에 1950년 한국전쟁 때 미군의 폭격에 의해 끊어진 단교가 또 하나 있다. 압록강 단교는 원래 배가 지나갈 수 있도록 다리의 상판을 올릴 수 있게 만들어졌는데, 중국쪽만 일부 복원되어 있고 북한쪽에는 교각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신압록강대교는 2013년 10월에 완공되었으나 아직 개통이 되지 않았다. 앞으로 개통된다면 단동에서 신의주로 그리고 평양까지 고속도로로 연결될 것이라고 한다.
또 다른 길인 중국 남평진에서 두만강변 도로를 따라 호암산에 올라서서 보면, 눈으로 덮힌 산길 속에서도 멀리 아득히 굽이굽이 흐르는 두만강의 모습이 그대로 펼쳐졌다. 왠지 멀리서 보는 두만강에서는 쓸쓸한 정취가 느껴졌다. 이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는 북한의 철광도시인 함경북도 무산시가 보인다. 무산시는 아시아 최대의 노천 철광지로 알려진 곳이나 지금은 채굴과 선광에 필요한 각종 설비가 심하게 낙후되어 이전보다 생산량이 줄어든 상태이다. 겉으로는 여느 다른 도시와 별반 차이가 없지만 차도 사람도 보이지 않는다. 삭막하다 못해 황량하기까지 하다.
- ‘북한문화재의 중국 밀반출과 위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