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근현대미술

중국 근현대미술

(1842년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줄리아 F. 앤드루스, 쿠이 션 (지은이), 이희정 (옮긴이)
미진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900원
3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근현대미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근현대미술 (1842년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40806739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3-03-31

책 소개

1842년 아편전쟁 이후부터 오늘날까지의 중국 근현대미술을 사회정치적 흐름과 함께 소개하는 책이다. 변화와 부침 속에서도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해온 중국 근현대미술은 또 다른 질문 앞에서 분투하며 과거를 기록하고 미래로 나아간다.

목차

감사의 말
한국어판에 부치는 서문
역자 서문
지도
서론

1 제국주의 시대 중국 미술:
아편전쟁에서 시모노세키 조약까지 1842-1895

들어가며
상하이화파上海畫派
— 런시옹과 그의 예술유산
— 런이
아트숍
미술과 출판산업
승려 쉬구
금석학과 미술
일본인 수집가들과 학생들

2 새로운 국가의 탄생과 미술:
청 왕조의 전복과 민국 초기 1895-1920

미술과 청 후기 교육개혁
— 청 말기의 해외유학 붐 1896-1911
— 실리주의에서 이상주의로, 차이위안페이와 미육
예술과 새로운 학습
상하이미술전과학교, 첫 10년
예술과 신문화운동
전통에 대한 공격

3 1920년대 ‘신문화’ 속에서의 미술
전통 회화에 대한 옹호
— 천헝커와 문인화의 가치
— 베이징의 전통주의 회화협회들: 국수 운동
— 상하이의 전통주의 회화단체들
근대적 교과과정에서 중국화
— 천마회
새로운 중화 건축 양식의 시작
1920년대 해외에서 돌아온 세대
— 린펑미엔
— 항저우국립예술전과학교
— 1929년 제1회 전국미술전람회
— 류하이수와 누드모델 논란
— 쉬베이훙
미술교육의 급성장

4 1930년대 모던 미술
1930년대 아방가르드 유화
— 결란사
— 중화독립미술협회
근대 목판화운동
모던 디자인

5 1930년대 국화의 황금시대
1930년대 회화협회, 호사
고미술 협회들과 출판
중국화회
산수화의 부흥
중국여자서화회
해외 전시회
건축과 도시계획

6 전시戰時 미술 1937-1949
제2회 전국미술전람회
전쟁 발발
우한 시대
중국 내륙으로의 탈출
충칭과 서부 지방
고도孤島 상하이와 피점령지
전쟁 시기 목판화
옌안 양식의 발전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식과 국공내전

7 마오쩌둥 시대 서양식 미술 1949-1966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과 새로운 예술
새로운 연화
아카데믹 리얼리즘과 새로운 국가 미술의 구축
인민영웅기념비
소비에트 사회주의 리얼리즘
출판산업과 선전포스터
혁명역사박물관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8 마오쩌둥 시대 수묵화, 연환화와 목판화 1949-1966
산수화의 재등장
연환화
목판화

9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과 미술 1966-1976
홍위병 미술
공농병 미술

10 마오쩌둥 시대 이후의 미술 1976-1989
화궈펑 과도통치 시기의 미술
새로운 리얼리즘
비공식 미술 1979-1981
정치적인 ‘내용’인가 ‘형식미’인가
국화의 부활
반反정신오염운동과 신조
신문인화
중국/아방가르드 전시회

11. 또 다른 중화: 홍콩과 대만 미술
1920년대와 1930년대의 홍콩 미술
전쟁 기간 1937-1945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미술
포스트모더니즘
대만의 식민지 미술과 식민지 이후 미술

12 유턴은 없다, 1989년 이후 중국 미술
포스트모던적 사유
베이징 이스트 빌리지

13 21세기는 중국의 세기일까?
1990년대 국제 비엔날레에 등장한 중국 미술
중국의 비엔날레 10년 2000-2010
쑤저우박물관
시장

인명 모음
연표
주석  
참고문헌
작품 목록  
색인

저자소개

쿠이 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샌디에이고주립대학 미술사·미술이론·미술비평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줄리아 F. 앤드루스와 공저한 『중국 근현대미술: 1842년 이후부터 오늘날까지』로 국제아시아학자대회(ICAS)의 인문학 도서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저작으로 『위기의 세기: 20세기 중국 미술의 모더니티와 전통』, 『어둠 속에서 꽃핀 중국 비공식 미술, 1974-1985』 등이 있다.
펼치기
줄리아 F. 앤드루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하이오주립대학에서 미술사 교수로 재직했다. 첫 저작인 『중화인민공화국의 화가와 정치, 1949-1979』로 아시아학회(AAS)의 조셉 레벤슨 상을, 쿠이 션과 공저한 『중국 근현대미술: 1842년 이후부터 오늘날까지』로 국제아시아학자대회(ICAS)의 인문학 도서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저작으로 『위기의 세기: 20세기 중국 미술의 모더니티와 전통』, 『어둠 속에서 꽃핀 중국 비공식 미술, 1974-1985』 등이 있다.
펼치기
이희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맨체스터대학에서 중국 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대영박물관 아시아 부서에서 큐레이터 어시스턴트로 일했다.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객원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제시사문예지 『PADO』의 시각예술 분야 번역·편집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푸바오스(傅抱石)의 동유럽 탐방과 ‘사생(寫生)’에 관한 연구」, 「1930·40년대 중국 목판화의 리얼리즘: 사실(寫實)과 현실(現實) 사이에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 근현대미술 또는 중국 모던 미술이란 무엇인가? 21세기 들어, 초고층 빌딩이 중국 주요 도시들에 들어서는 한편 중국 또한 국제 미술계의 일원이 되었다. 국제 지향적인 중국 예술가들 다수는 비디오, 디지털 사진, 설치 예술, 퍼포먼스 분야에서 작업하며 새로운 기술이 제공하는 잠재력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있다. 어떤 예술가들은 여전히 종이에 수묵이나 목판화, 캔버스에 유채, 대나무와 철 등 오래되고 전통적인 재료와 매체를 실험한다. 그러나 대다수 예술가들의 경우, 보편-국제-세계-중심-현재적인 것과의 예술적 연결은 그 반대항을 이루는 개인-민족-지역-주변-과거적인 것과의 연결에 의해 견제되면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체성들 사이의 긴장은 단순한 양극성을 타파하고 개별 예술가들을 그물처럼 엉켜있는 미적·사회적·경제적 힘들에 노출시킨다. 이 그물 안에 있는 어떤 가닥이 중국 근현대미술을 ‘모던하게’ 만드는가? 또한 어떤 가닥이 중국 근현대미술을 ‘중국적으로’ 만드는가?
-서론


예술, 문화, 경제, 정치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은 언제 ‘모던’ 시대에 진입했을까? 언제, 그리고 어떻게 중국의 미술이 모던해졌는가? ‘모던(modern)’이라는 용어의 다양한 정의 가운데 무엇을 택하느냐에 따라 이 질문에 달리 답할 수 있을 것이다. 인쇄술의 보급과 높아진 문자해독력, 고도로 상업화된 사회, 대륙 간 해상무역의 전개 등 모더니티의 전조라고 여겨지는 몇 가지 현상들은 이미 중국 명나라(1368-1644) 시대에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일련의 국내외 사건들을 겪으면서 중국은 자국이 아니라 타국의 방식으로 ‘모던’의 길을 걷고 있는 전 세계와 직면했다. 특히 조약항(條約港)의 개항은 중국 문화와 경제 발전을 자연스레 촉진했고 이들 개항 도시에서 상업이 신속하고도 극적으로 발전했다.
-1장 제국주의 시대 중국 미술: 아편전쟁에서 시모노세키 조약까지 1842-1895


20세기 중국 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 가운데 하나는 서양화법을 도입한 것이었다. ‘서양화(西洋畵’란 소묘, 수채화, 구아슈(gouache), 유화를 이르는 말로, 과거에는 신기하고 이국적으로 인식되었지만 20세기 초엽에는 기능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청나라 쇠퇴기에 새로운 교육체계가 구축되고 근대적 형태의 미술교육이 발달하면서 미술의 목적과 의미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생겼다. 차차 다루겠지만, 유화는 이 새로운 제도의 지원에 힘입어 주류에 편입되었으며 곧 필수 요소가 되었다. 제2장에서는 20세기 초 중국 예술가들이 세계 보편의 문화형식에 관여하면서 펼쳐 보였던 다양한 양상의 제도적 기원을 탐구한다.
-2장 새로운 국가의 탄생과 미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