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08553
· 쪽수 : 309쪽
· 출판일 : 2016-02-11
목차
머리말
Chapter 1. 발달의 의의
1. 발달의 개념과 의의
1) 영유아발달의 개념
2) 영유아발달의 의의
2. 발달 연구법
3. 발달의 단계와 원리
1) 인간의 발달 단계
2) 발달의 원리
4. 발달 관련 논쟁점
1) 유전과 환경
2) 능동성과 수동성
3) 초기경험과 후기경험
4) 연속성과 비연속성
Chapter 2. 유아발달 이론
1. 성숙 이론
1) 성숙, 균형과 불균형의 단계
2) 준비도
3) 발달규준
2. 학습 이론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2) 왓슨의 행동주의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4)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3. 정신분석이론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분석이론(Psycho-sexual Analysis Theory)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분석이론(Psycho-social Analysis Theory)
4. 인지발달 이론
1) 피아제의 구성주의
2) 비고스키의 사회적 구성주의(사회문화적 관점)
3) 정보처리이론
5. 맥락적 접근
1) 동물행동 이론
2)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 이론
3) 엘더의 생애이론
6. 뇌발달 연구
Chapter 3. 신체운동발달
1. 신체발달
1) 영유아기 신체성장
2) 골격과 근육의 성장
3) 뇌와 신경계의 발달
4) 치아의 발달
2. 운동발달
1) 반사행동
2) 대근육 발달
3) 소근육 발달
3. 지도방법
1) 영아를 위한 지도방법
2) 유아를 위한 지도방법
4. 건강한 생활
1) 영양과 식습관 지도
2) 수면 및 휴식
3) 질병
4) 안전
5. 신체운동발달 촉진활동
Chapter 4. 언어발달
1. 언어발달 이론
1) 행동주의 이론
2) 생득주의 이론
3) 상호작용주의 이론
2. 언어발달 과정
1) 전언어기(0~1세)
2) 언어기(1~2세)
3) 듣기와 말하기
4) 읽기
5) 쓰기
3. 언어발달 관련 요인
1) 개인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4. 지도방법
1) 영아기 언어지도
2) 유아기 언어지도
5. 언어발달 촉진활동
Chapter 5. 정서·사회성 발달
1. 정서발달
1) 정서의 개념
2) 정서의 구분
3) 정서의 발달
4) 정서의 역할
5) 기질
6) 애착
7) 정서 지능
2. 자아개념발달
1) 자아개념의 정의
2) 자아개념의 발달과정
3) 자아개념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성역할발달
1) 성역할의 개념과 발달 단계
2) 성역할 초월이론과 양성성
4. 도덕성 발달
1) 도덕성의 개념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5. 공격성발달
1) 공격성의 개념
2) 공격성의 발달
3)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도
6. 정서·사회성 발달 관련 요인
1) 연령, 성, 지능
2) 부모의 양육 방식
3) 사회·경제적 계층
4) 또래의 역할
7. 정서·사회성 발달 촉진활동
Chapter 6. 인지발달
1. 지각발달
1) 시각
2) 청각
3) 촉각
4) 감각 간 지각
2. 인지발달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Stage, 0~2세)
2) 대상영속성의 발달
3) 전조작기
4) 개념발달
3. 기억발달
1) 기억의 과정
2) 기억의 발달
4. 상위 인지발달
1) 상위 인지의 개념과 마음이론
2) 상위 인지의 발달
5. 지능발달
1) 지능에 대한 개념
2) 지능검사
3) 유아기 지능의 발달
6. 창의성 발달
1) 창의성의 정의와 구성요소
2) 창의성 발달과 교육
7. 인지발달 촉진활동
Chapter 7. 발달장애
1. 발달장애 영유아의 선별
1) 영유아 건강검진
2) 한국 영유아발달 선별검사(K-DST: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2. 유형별 특성 및 지도방법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2)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
3)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4) 분리 불안 장애(SAD: Separation Anxiety Disorder)
5) 자폐성 장애
6) 수면장애
7)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
8)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
9) 아동 학대(Child Abus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