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2613793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0-10-08
목차
머리말 2
PART 01 가족복지 개념 9
CHAPTER 01 가족에 대한 이해 10
1. 가족의 개념 10
1) 전통적 가족 개념 10
2) 현대의 가족 개념 12
2. 가족의 기능 13
1) 성적 욕구 충족 및 통제의 기능 13
2) 자녀 출산·양육·사회화의 기능 14
3) 돌봄의 기능 14
4) 경제적 기능 15
5) 사회적 지위 부여의 기능 15
6) 애정적 기능 15
7) 휴식 및 오락의 기능 16
3. 가족에 대한 이론적 관점 16
1) 구조기능주의 이론 17
2)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18
3) 갈등 이론 19
4) 사회적 교환 이론 20
5) 가족발달 이론 22
6) 가족체계 이론 24
4. 변화하는 현대가족 26
1) 가족의 구조적 측면 26
2) 가족의 기능적 측면 29
3) 가족의 가치관 측면 30
CHAPTER 02 가족복지에 대한 이해 35
1. 가족복지의 개념 35
1) 정의 35
2) 필요성 37
2. 가족복지의 발달 40
1) 영국의 가족복지 발달 41
2) 미국의 가족복지 발달 44
3) 한국의 가족복지 발달 47
3. 가족복지의 접근방법 48
1) 가족정책적 접근방법 48
2) 가족복지 서비스적 접근방법 51
PART 02 가족복지 정책 57
CHAPTER 03 가족복지 정책에 대한 이해 58
1. 가족복지 정책의 개념 59
2. 가족정책의 유형 60
3. 가족정책의 필요성 62
4. 외국의 가족복지 정책 64
1) 스웨덴의 가족복지 정책 64
2) 프랑스의 가족복지 정책 68
CHAPTER 04 우리나라 가족복지 정책의 현황과 문제 71
1. 가족복지 관련법에 대한 이해 71
1) 건강가정기본법 71
2) 한부모가족지원법 74
3) 영유아보육법 78
4)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84
2. 우리나라의 가족복지 정책 프로그램 88
1) 건강가정사업 88
2) 영유아보육 정책 91
3) 미래세대 투자를 통한 저출산 극복 정책 100
PART 03 가족복지 실천 107
CHAPTER 05 가족복지 실천 108
1. 가족복지 실천의 정의 108
2. 가족복지 실천의 목적 109
3. 가족복지 실천의 가정 110
1) 가정기반 110
2) 가족중심 111
3) 위기개입 111
4) 가족생활교육의 가능성 112
5) 생태학적 접근 112
6) 임파워먼트 113
4. 가족복지 실천의 원칙 114
1) 가정에서 가족 원조 114
2) 가족 역량 증진 114
3) 개별화된 개입전략 115
4) 즉각적이고 장기적 목표 설정 115
5) 가족구성원의 상호작용 파악 115
6) 가족과 상호 협력적 관계 형성 116
CHAPTER 06 가족복지 실천방법 117
1. 초기 면접 117
1) 가족초점 118
2) 관계형성 119
2. 사정 120
1) 가족사정 내용 121
2) 가족사정 방법 125
3) 가족사정 도구 127
3. 가족치료 138
1) 가족치료의 발달 138
2) 가족치료의 유형 139
PART 04 가족복지 현장 157
CHAPTER 07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 158
1. 맞벌이가족의 개념 158
1) 맞벌이가족의 개념 158
2) 맞벌이가족의 발생 배경 159
3) 맞벌이가족의 유형 160
4) 맞벌이가족의 특성 161
2. 맞벌이가족의 현황 165
1)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165
2) 맞벌이 관련 사회 인식 168
3. 맞벌이가족의 문제 171
1) 자녀양육과 교육 문제 172
2) 가족관계 문제 173
3) 가사역할 분담의 문제 173
4) 저출산의 문제 174
4. 맞벌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75
1) 거시적 복지대책 175
2) 미시적 복지대책 181
CHAPTER 08 한부모가족과 가족복지 184
1. 한부모가족의 개념 184
2. 한부모가족의 현황 185
1) 한부모가족과 빈곤 185
2) 한부모가족의 현황 187
3)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현황 189
3. 한부모가족의 문제 193
4. 한부모가족 정책 및 서비스 현황 196
1) 한부모가족 정책의 목적 및 추진방향 196
2) 추진 연혁 197
3) 한부모가족 지원 서비스 200
5. 한부모가족 정책 및 서비스의 향후 과제 204
1) 문제점 204
2) 향후과제 206
CHAPTER 09 재혼가족과 가족복지 208
1. 재혼가족의 개념 208
1) 재혼가족의 정의 208
2) 재혼가족의 유형 209
3) 재혼가족의 발달단계 211
2. 재혼가족의 현황 214
3. 재혼가족의 문제 217
1) 부부적응의 문제 218
2) 자녀적응의 문제 220
4. 재혼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225
1) 가족생활교육 226
2) 가족상담과 치료 229
3) 법과 제도의 개선 232
4)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전환 232
5) 지지집단의 형성 233
6) 전문가 훈련 233
CHAPTER 10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 234
1. 다문화가족의 개념 234
2. 다문화가족의 현황 235
3. 다문화가족의 문제 239
4. 다문화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242
1) 문제점 및 대책 243
2) 다문화가족을 위한 서비스 246
3) 다문화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256
CHAPTER 11 아동학대가족과 가족복지 258
1. 학대의 개념 258
2. 학대 현황 260
3. 학대의 원인 및 문제 265
1) 아동학대 원인에 대한 이론적 접근 265
2) 아동학대가족 관련 변인 267
3) 학대피해아동의 문제 269
4. 학대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273
1) 아동학대 관련법 현황 273
2)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서비스 현황 274
3) 아동학대 대책 및 방향 277
CHAPTER 12 빈곤가족과 가족복지 282
1. 빈곤의 개념 282
1) 절대적 빈곤 283
2) 상대적 빈곤 284
3) 물적 결핍과 상대적 빈곤의 결합 284
2. 빈곤의 원인 및 빈곤가족의 문제 286
1) 빈곤의 원인 286
2) 빈곤가족의 문제 288
3. 빈곤가족 및 빈곤가정 아동의 현황 289
1) 빈곤가족의 실태 289
2) 빈곤가정의 아동·청소년의 실태 290
4. 빈곤가족 지원 현황 295
1)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의 주요 내용 295
5. 빈곤가족의 아동청소년을 위한 지원 299
1) 보육료 지원 299
2) 급식지원 300
3) 드림스타트 301
4) 아동발달지원계좌 지원 302
5) 지역아동센터 303
6. 빈곤가족 정책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304
1) 고용 증가와 수입 증대 정책 304
2) 재정적·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정책 304
3) 지역사회 발전과 가족지원 305
4) 빈곤아동에 대한 기회 확대 정책 305
참고문헌 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