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15148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22-01-14
목차
C H A P T E R 1 영유아발달의 기초
1. 영유아발달이란 무엇인가? ____ 12
1. 발달의 개념과 영역 • 12 2. 영유아발달의 일반적 원리 • 16
3. 영유아기 발달의 특성 • 18
2. 영유아발달 연구의 역사 ____ 20
1. 영유아에 대한 과거의 주요 견해 • 20 2. 현대 영유아발달 연구의 시초 • 25
3. 영유아발달 연구의 주요 쟁점 ____ 29
1. 유전과 환경 • 29 2. 연속성과 불연속성 • 30
3. 규준과 개인차 • 31 4. 안정성과 변화 가능성 • 32
5. 수동성과 능동성 • 33
C H A P T E R 2 영유아발달이론
1. 성숙이론 ____ 36
1. Gessell의 성숙이론 • 36
2. 정신분석이론 ____ 41
1. Freud의 심리성적 이론 • 41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 48
3. 학습이론 ____ 54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 54 2. Watson의 행동주의 • 57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 59 4.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63
4. 인지발달이론 ____ 67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68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73
3. 정보처리이론 • 77
5. 동물행동학이론 ____ 79
1. Lorenz의 각인이론 • 80 2. Bowlby의 애착이론 • 82
6. 생태학적 이론 ____ 85
1.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 85
C H A P T E R 3 영유아발달 연구방법
1. 과학적 연구의 기초 및 과정 ____ 92
1. 과학적 연구의 기준 • 92 2. 과학적 연구의 주요 요소 • 94
3. 과학적 연구의 과정 • 96
2. 발달연구의 종류 ____ 97
1. 기술 연구 • 97 2. 상관 연구 • 98 3. 실험 연구 • 99
4. 준실험 연구 • 101 5. 사례 연구 • 102 6. 동물 연구 • 103
3. 자료수집방법 ____ 104
1. 관찰 • 104 2. 면접과 질문지 • 108
3. 표준화 검사 • 110 4. 심리생리학적 방법 • 112
4. 발달적 변화를 평가하는 연구 설계의 종류 ____ 113
1. 종단 연구설계 • 114 2. 횡단 연구설계 • 115
5. 영유아발달 연구와 윤리 ____ 117
C H A P T E R 4 태내 발달 및 출산
1. 임신 ____ 120
1. 수정 • 120 2. 유전적 기초 • 121
3. 유전자와 염색체 이상 • 125 4. 산전 진단 • 127
2. 태아발달 단계 ____ 129
1. 배종기 • 129 2. 배아기 • 129 3. 태아기 • 131
3. 태내 환경의 영향 ____ 134
1. 영양 • 134 2. 질병과 약물 • 136 3. 흡연과 음주 • 138
4. 연령 • 140 5. 정서 상태 • 140 6. 환경오염 • 141
4. 출산 과정 ____ 142
1. 출산 준비 • 142 2. 출산 단계 • 143
5. 출산 방법 ____ 145
1. 무통분만 • 145 2. 제왕절개 분만 • 146 3. 르부아예 분만 • 147
4. 라마즈 분만 • 147 5. 수중 분만 • 148
6. 출산의 문제 ____ 149
1. 산소 부족 • 149 2. 미숙아 • 149 3. 저체중 출생아 • 150
C H A P T E R 5 신생아기
1. 신생아의 특징 ____ 154
1. 신체 및 생리적 특징 • 154 2. 반사행동 • 157 3. 수면 • 159
4. 수유 • 162 5. 울음 • 163 6. 학습능력 • 164
2. 신생아의 행동검사 ____ 167
1. 아프가 검사 • 167 2.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 168
3. 고위험 신생아 검사 • 168
3. 감각발달 ____ 169
1. 촉각 • 169 2. 미각 • 170 3. 후각 • 171
4. 청각 • 172 5. 시각 • 173
4. 신생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____ 175
C H A P T E R 6 영유아의 신체발달
1. 영아기 신체발달 ____ 178
1. 영아기 신체 성장 • 178 2. 뇌와 신경계의 발달 • 178
3. 영아기 운동기능의 발달 • 186
4. 영아의 뇌와 신경계 및 감각·신체발달을 위한 양육자의 역할 • 190
2. 유아기 신체발달 ____ 195
1. 유아의 신체적 성장 및 변화 • 195 2. 두뇌 및 신경계의 발달 • 197
3. 유아의 신체적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98 4. 유아기 운동기능의 발달 • 200
5. 유아의 신체 및 운동기능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 202
C H A P T E R 7 영유아의 인지 발달
1. 영아기 인지발달 206
1. 인지발달이론 • 206 2. 영아의 인지발달 • 218
3. 영아의 인지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 227
2. 유아기 인지발달 228
1. 인지발달이론 • 228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235
3. 정보처리이론 • 239 4. 마음이론 • 244
5. 지능 • 246 6. 창의성 • 248
7. 유아의 인지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 253
C H A P T E R 8 영유아의 언어 발달
1. 언어발달의 기초 ____ 256
1. 언어의 정의 • 256 2. 언어의 구성요소 • 256 3. 언어발달연구의 역사 • 258
2. 언어발달이론 ____ 259
1. 행동주의 • 259 2. 생득주의 • 262 3. 상호작용주의 • 264
3. 언어발달과정 ____ 267
1. 음성언어발달 • 267 2. 문자언어발달 • 271
4.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____ 274
C H A P T E R 9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
1. 자아발달 ____ 278
1. 자아개념의 발달 • 278 2. 자아존중감 • 281 3. 자아통제 • 283
2. 또래관계와 놀이 ____ 284
1.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과 우정의 발달 • 285 2. 놀이 • 287
3. 성역할발달 ____ 289
1. 성역할의 개념 • 290 2. 성역할발달이론 • 293
3. 성역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96
4.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____ 300
C H A P T E R 10 영유아의 도덕성 발달
1. 도덕성 발달 ____ 306
1. 도덕성의 개념 • 306 2. 도덕성 발달이론 • 307
3. 도덕성 발달과 영향 요인 • 316
2. 이타성 발달 ____ 317
1. 이타성의 개념 • 317 2. 이타성 발달이론 • 317
3. 이타성의 발달적 경향 • 319
3. 공격성 발달 ____ 320
1. 공격성의 개념 • 320 2. 공격성발달이론 • 320
3. 공격성의 발달적 경향 • 322
4. 영유아의 도덕성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____ 323
C H A P T E R 11 영유아의 정서 발달
1. 정서의 표현과 이해, 정서조절능력 ____ 326
1. 정서의 표현 • 326 2. 타인 정서의 이해 • 329 3. 정서조절능력 • 331
2. 애착 ____ 333
1. 애착이론 • 333 2. 애착의 발달 • 334
3. 애착의 측정과 유형 • 336 4. 애착과 관련된 행동: 낯가림과 분리불안 • 338
5. 내적 작동모델 • 339
3. 기질 ____ 340
1. 기질의 차원 • 341 2. 기질의 안정성 • 343 3. 기질과 양육 • 344
4. 영유아의 정서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양육자의 역할 ____ 345
C H A P T E R 12 영유아발달과 생태적 맥락
1. 부모의 양육태도와 영유아발달 ____ 350
2. 아버지와 영유아발달 ____ 354
3. 조부모와 영유아발달 ____ 355
4. 다양한 가족 형태와 영유아발달 ____ 357
1. 맞벌이가족(취업모) • 357 2. 한부모가족(이혼) • 359 3. 조손가족 • 360
5. 형제자매와 영유아발달 ____ 361
6. 보육과 영유아발달 ____ 362
7. 또래와 영유아발달 ____ 364
8. 대중매체와 영유아발달 ____ 365
1. TV • 366 2. 컴퓨터와 인터넷 • 367 3. 스마트폰 • 370
9. 조기 사교육과 영유아발달 ____ 371
10. 아동(영유아)학대 ____ 373
참고문헌 ____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