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조성희 외)

(증보)

조성희 (지은이)
창지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역사회복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역사회복지론 (조성희 외) (증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261896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08-09

목차

머리말 3

Ⅰ부 지역복지에 대한 이해

1장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문제 및 사회복지
1절 지역사회의 개념과 새로운 지역사회 16
1. 지역사회의 개념 16
2. 새로운 지역사회의 이해 25
2절 지역사회의 기능 및 중요성 29
1. 지역사회의 기능 29
2. 지역사회의 중요성 32
3절 지역사회문제와 사회복지 33
1. 지역사회문제의 발생 33
2. 지역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34

2장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범주 및 이념
1절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38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38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특징 40
2절 지역사회복지의 유관용어 42
1. 지역사회조직 43
2. 지역사회개발 44
3. 커뮤니티케어 44
4. 마을만들기 46
5. 지역사회 변화 47
3절 지역사회복지의 범주와 구성요소 51
1. 지역사회복지의 범주 51
2.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소 52
4절 지역사회복지의 이념과 원칙 55
1.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55
2. 지역사회복지의 원칙 60

3장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절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64
1.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65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68
3.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71
4.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73
5. 지역사회복지의 개혁기 75
2절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77
1. 현대적 지역사회복지 시대 이전 82
2. 현대적 지역사회복지 시대 86

Ⅱ부 지역복지 접근방법

4장 지역사회복지의 기초이론
1절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99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99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02
2절 사회교환이론과 사회구성론 103
1. 사회교환이론 103
2. 사회구성론 104
3.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06
3절 구조기능론과 권력관련 이론 107
1. 구조기능론과 권력관련 이론 107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12
4절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113
1.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113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16
5절 사회자본이론과 사회연결망이론 117
1. 사회자본이론과 사회연결망이론 117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21

5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
1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개요 124
1.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목적 124
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역할 124
2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유형 125
1. 로스만 유형 125
2. 테일러와 로버츠 유형 130
3. 웨일과 갬블의 유형 132
4. 포플 유형 140
5.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선택 및 동향 142

6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1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실천원칙 146
1. 지역사회복지의실천 원칙 개념 146
2. 지역사회복지의실천 원칙의 중요성 147
2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155
1. 문제 확인하기 155
2. 욕구 사정하기 159
3. 실천계획 및 실행하기 160
4. 평가하기 163

7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기술
1절 지역사회사정 기술 170
1. 지역사회사정 기술의 필요성 170
2. 지역사회사정 기술의 내용 171
2절 자원동원 및 개발 기술 176
1. 자원동원 및 개발 기술의 필요성 176
2. 인적 자원의 동원 및 개발 기술의 내용 176
3. 물적 자원의 동원 및 개발 기술의 내용 178
3절 네트워크 기술 179
1. 네트워크 기술의 필요성 179
2. 네트워크 기술의 내용 179
4절 조직화 기술 181
1. 조직화 기술의 필요성 181
2. 조직화 기술의 내용 181
5절 옹호·대변 기술 184
1. 옹호·대변 기술의 필요성 184
2. 옹호·대변 기술의 내용 185
6절 역량강화 기술 188
1. 역량강화 기술의 필요성 188
2. 역량강화 기술의 내용 188

Ⅲ부 지역복지 추진체계

8장 지역사회복지관
1절 지역사회복지관에 대한 이해 196
1.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197
2.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 유형 198
3.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 원칙 199
4. 지역사회복지관의 재정 200
2절 종합(사회)복지관에 대한 이해 201
1. 종합(사회)복지관의 개념 201
2. 종합(사회)복지관의 변천과정 202
3. 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 205
4. 종합(사회)복지관의 주요 사업 207
3절 노인복지관에 대한 이해 209
1. 노인복지관의 개념 209
2. 노인복지관의 변천과정 210
3. 노인복지관의 현황 210
4. 노인복지관의 주요 사업 211
4절 장애인복지관에 대한 이해 211
1. 장애인복지관의 개념 211
2. 장애인복지관의 변천과정 212
3. 장애인복지관의 현황 212
4. 장애인복지관의 주요 사업 213
5절 아동복지관에 대한 이해 213
1. 아동복지관의 개념 213
2. 아동복지관의 변천과정 214
3. 아동복지관의 주요 사업 215

9장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1절 사회복지협의회 218
1. 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한 기본 이해 218
2.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22
2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7
1.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 227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기본 이해 230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주요 주체별 역할 234

10장 지역사회복지 물적 자원
1절 공동모금에 대한 이해 240
1. 공동모금의 기본 개념 240
2. 공동모금활동의 모금방법 247
3. 공동모금의 배분유형 248
2절 한국의 공동모금 250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이해 250
2.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모금방법 251
3.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배분방법 252
4.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모금 관련 통계 254

11장 지역사회복지 인적 자원
1절 자원봉사활동 260
1. 자원봉사에 대한 기본 이해 260
2. 봉사활동의 종류 269
3. 자원봉사 관련 통계 269
2절 자원봉사센터 274
1.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이해 274
2. 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 277
3. 자원봉사활동기본법 280

12장 자활사업과 경제적 자립 지원조직
1.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282
2. 협동조합 292
3.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302

13장 지역사회의 공공복지 전달체계
1.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308
2. 지역사회 공공복지전달체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12
3. 희망복지지원단과 통합사례관리 319
4. 드림스타트 326

14장 지역사회보장계획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의의 332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역사 333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특성과 기본방향 334
4.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과정 337
5.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내용 338
6.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절차 340

15장 지역사회복지운동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과 필요성 352
2. 주민참여의 개념과 효과 그리고 수준 355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와 유형 362
4. 지역사회복지운동과 사회복지사 366
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사례와 내용 372

참고문헌 375

저자소개 383

저자소개

조성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행정학과 행정학사, 사회사업학과 문학사(복수전공)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문학석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박사 현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대표 저서 및 역서: 가족복지학의 이해(공저), 가족치료사례와 질적분석(공저), 가족치료와 영성(공역), 질적 자료 분석론(3판)(공역)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지역사회복지론은 지역사회를 사회복지실천의 개입의 단위로 삼는 다양한 모델과 방법론을 다루는 교과목이다. 특히 지역사회의 변화라는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론과 기술의 학습에 역점을 두는 교과목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들의 문제와 욕구를 해결하는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 필요 지식, 실천기술 등을 단계별로 학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지역사회복지론의 학습 방향성은 지역사회를 둘러싼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지역사회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가져온 영향 요인들로 다음의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지방자치제도의 시행 이후 지방정부의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중앙 중심의 수직적이고 획일적인 복지 전달체계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달체계를 개선 하려는 노력이 지방분권화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둘째, 사회안전망 확충에 대한 욕구가 확대되면서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이 함께하는 민관협력체계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 또한 확대되고 있으며, 서비스 전달 과정에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셋째, 사회복지공동모금의 실시,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의 제정 등으로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사회 행동이 활발해지면서 NGO가 대거 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문제의 해결과 예방이라는 응용학문으로서의 사회복지학 특성에 기초하여 이론과 실천의 교량적 역할을 지역복지론이 담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에 지역복지를 바르게 이해하고, 사회 변화에 맞는 지역복지전달체계 및 실천접근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저자들과 뜻을 같이하여 『지역사회복지론』을 집필하였다. 본서는 다년간의 지역복지 강의 경험을 포함하여 변화하는 지역사회 환경을 담보하는 최근의 지역복지 동향을 반영하고, 최신의 자료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술하였다.

-본서는 3부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부는 지역사회 및 지역복지에 대한 이해에 관련된 기초지식을 제공하고자 1장에서는 지역사회의 개념, 기능, 유형 등 기본적 이해를, 2장에서는 지역사회 복지의 개념과 범주 및 이념을, 3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정리하고 있다.
Ⅱ부는 지역복지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지역사회복지 이론과 실천모델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 관련 이론을 소개하였고, 5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모델을 비교하였으며, 6장에서는 지역사회 복지실천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원칙과 과정을 정리하였고, 7장에서는 지역사회 복지실천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실천기술들을 살펴보았다.
Ⅲ부는 다양한 지역복지 추진체계를 다루고자 8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을, 9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10장에서는 지역사회 자원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는 물적 자원인 공동모금을, 11장에서는 인적 자원인 자원봉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12장에서는 지역복지의 특수 실천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등을 살펴보았고, 13장에서는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지방자치제와 지역복지의 관련성을 정리하였으며, 14장에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계획을 수립하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을 다루었고, 15장에서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정리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