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복지실천 2

사회복지실천 2

(역량강화 전문직의 관점과 역할)

Brenda Dubois, Karla Krogsrud Miley (지은이), 조성희, 김희주, 장연진 (옮긴이)
박영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복지실천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복지실천 2 (역량강화 전문직의 관점과 역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30316314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22-10-20

책 소개

저자들의 사회복지 교육자로서의 복합적 경험을 반영한 책으로, 각자가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겪은 내용들을 종합하여 집필되었다. 9번째 판은 인권과 사회정의의 맥락에서 역량강화 기반 사회복지실천 및 강점 관점을 적용하였다.

목차

간략 목차
제1부 사회복지 전문직

제1장 사회복지실천: 원조 전문직
제2장 진화하는 전문직
제3장 사회복지와 사회체계
제4장 사회복지 전달체계

제2부 사회복지실천 관점
제5장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
제6장 인권과 사회정의
제7장 다양성과 사회복지

제3부 일반주의 사회복지
제8장 역량강화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제9장 사회복지 기능과 역할
제10장 사회복지와 사회정책

제4부 실천현장의 이슈
제11장 사회복지와 빈곤, 노숙, 실업, 형사사법제도
제12장 건강, 재활, 정신건강에서의 사회복지
제13장 가족 및 청소년 복지
제14장 성인과 노인 서비스

목차
제3부 일반주의 사회복지


제8장 역량강화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 3
❤ 역량강화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6
∙ 숙련된 전문가부터 협력적인 파트너까지 8
∙ 일반주의 접근 8
❤ 전문적 관계 형성 - 면접단계 10
∙ 전문적 관계 형성: 파트너십 형성 11
∙ 전문적 관계 형성: 문제 상황의 명료화 15
∙ 전문적 관계 형성: 방향 설정 18
❤ 사정 - 발견단계 22
∙ 사정: 강점 확인 22
∙ 사정: 자원능력 사정 24
∙ 사정: 해결방안 구축 29
❤ 실행: 개입과 평가 - 개발단계 34
∙ 개입: 자원 활성화 35
∙ 개입: 동맹 관계 형성 36
∙ 개입: 기회 확장 38
∙ 평가: 성취 확인 42
∙ 개입: 획득한 성취의 통합 47
❤ 복습과 예습 49
❤ 생각해보기 50

제9장 사회복지 기능과 역할 ⁄ 53
❤ 일반주의 접근 56
∙ 사회복지의 기능 57
∙ 사회복지의 역할과 전략 58
❤ 자문 60
∙ 미시적 수준: 조력자 역할 62
∙ 중시적 수준: 촉진자 역할 65
∙ 거시적 수준: 계획가 역할 68
∙ 전문적 체계: 동료와 감독자 역할 70
❤ 자원관리 72
∙ 미시적 수준: 중개자와 옹호자 역할 75
∙ 중시적 수준: 소집자와 중재자 역할 79
∙ 거시적 수준: 활동가 역할 81
∙ 전문적 체계: 촉매자 역할 83
❤ 교육 85
∙ 미시적 수준: 교사 역할 87
∙ 중시적 수준: 훈련가 역할 88
∙ 거시적 수준: 아웃리치 활동가 역할 90
∙ 전문적 체계: 연구자와 학자 역할 93
❤ 복습과 예습 95
❤ 생각해보기 96

제10장 사회복지와 사회정책 ⁄ 97
❤ 사회정책 99
∙ 사회정책은 무엇인가? 100
∙ 과정으로서의 사회정책: 정책 형성 100
∙ 결과로서의 사회정책: 정책 실행 101
∙ 사회정책 검토: 정책 분석 102
∙ 입법 분석과 실행 104
∙ 사회정책과 정치 이데올로기 106
∙ 사회복지와 정치 이데올로기 108
❤ 사회복지와 사회정책 110
∙ 일선 조직과 관료 111
∙ 일선 관료 112
∙ 일선 클라이언트 112
∙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정책적 함의 113
❤ 20세기와 21세기의 공공복지 정책 115
∙ 개혁의 기원: 20세기 초기 법률 제정 116
∙ 조직적인 원조 방법 116
∙ 공공복지의 등장: 뉴딜 프로그램 119
∙ 경제 및 사회보장 제공 124
∙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 복지권 계획 126
∙ 새로운 연방주의로의 움직임 128
∙ 1990년대 복지 개혁 130
∙ 21세기 법안 130
❤ 현대의 공공복지 프로그램 132
∙ 노령, 유족, 장애 및 건강보험 132
∙ 한시적 빈곤가족 지원 134
∙ 보충적 소득보장 138
∙ 일반지원 139
∙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140
∙ 환자보호 및 부담적정 보험법 141
∙ 보충영양지원 프로그램 142
∙ 사회보장지원 제20조 143
❤ 복습과 예습 144
❤ 생각해보기 145

제4부 실천현장의 이슈

제11장 사회복지와 빈곤, 노숙, 실업, 형사사법제도 ⁄ 149
❤ 사회복지와 빈곤 151
∙ 또 다른 미국 152
∙ 빈곤층은 누구인가? 154
∙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 156
∙ 사람들은 왜 빈곤한가? 157
∙ 빈곤과 관련된 서비스 161
❤ 사회복지와 노숙 164
∙ 노숙인에 대한 오해 165
∙ 노숙인 통계 168
∙ 노숙인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 169
∙ 노숙인을 위한 연방 정부의 대응 172
∙ 노숙인을 위한 사회복지의 대응 174
❤ 사회복지와 실업 175
∙ 경제와 실업 176
∙ 실업의 결과 177
∙ 실업수당 177
∙ 실직된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 178
❤ 사회복지와 형사사법제도 180
∙ 범죄와 비행 181
∙ 범죄와 처벌 183
∙ 형사사법체계 187
❤ 형사사법제도 내 사회복지의 역할 189
∙ 경찰사회복지 190
∙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 191
∙ 피해자-가해자 중재 프로그램 192
∙ 피해자 증인 프로그램 193
∙ 법의학 사회복지 193
∙ 소년법원 서비스 194
∙ 보호관찰과 가석방 195
∙ 교정시설에서의 사회복지 196
❤ 복습과 예습 200
❤ 생각해보기 201

제12장 건강, 재활, 정신건강에서의 사회복지 ⁄ 203
❤ 보건의료체계에서의 사회복지 207
∙ 공중보건에서의 사회복지 208
∙ 1차 보건의료에서의 사회복지 210
∙ 병원 기반 서비스 213
∙ 장기요양서비스 및 지원에서의 사회복지 217
∙ 사회복지와 유전학 223
❤ 사회복지와 HIV/AIDS 227
∙ 유병률 227
∙ HIV/AIDS 환자가 직면한 문제 228
∙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연속체 231
❤ 사회복지와 장애 233
∙ 장애의 정의 234
∙ 장애 관련 연방법 236
∙ 낙인과 장애의 사회적 모델 238
∙ 관계 강화 240
∙ 사회복지, 사회서비스와 장애 241
∙ 소비자의 목소리와 선택권 촉진 246
∙ 장애인의 권리 옹호 247
❤ 사회복지와 행동 건강: 정신건강 248
∙ 행동 건강 문제의 정의 249
∙ 이론적 관점 250
∙ 서비스 전달체계 253
∙ 정신건강 서비스에서의 사회복지 256
❤ 사회복지와 행동 건강: 물질 사용 장애 259
∙ 물질 사용 장애의 정의 259
∙ 뇌질환으로서의 물질 사용 장애 261
∙ 물질 사용 장애의 결과 264
∙ 사회복지와 물질 사용 장애 치료 264
∙ 증거 기반 치료와 회복 프로그램 266
∙ 치료 명령 268
∙ 물질 사용 예방 프로그램 270
❤ 복습과 예습 272
❤ 생각해보기 273

제13장 가족 및 청소년 복지 ⁄ 275
❤ 현대사회의 가족 277
∙ 가족 형태의 다양성 278
∙ 가족 서비스 기관 284
∙ 가족체계 접근 285
∙ 옹호와 가족 정책 289
❤ 아동학대 290
∙ 역사적 관점 290
∙ 아동학대의 정의 294
∙ 신고의무법 297
∙ 부정적 아동기 경험으로서의 아동학대 298
∙ 적응유연성 키우기 299
∙ 외상 인지 돌봄 원칙 적용하기 300
❤ 아동복지 서비스 301
∙ 아동복지 전달체계 302
∙ 예방 305
∙ 가족 지지 및 가족 보존 서비스 306
∙ 위탁보호 310
∙ 거주 서비스 315
∙ 영구계획과 가족 재결합 316
∙ 입양 320
∙ 옹호 이슈와 아동복지 322
❤ 학교사회복지 323
∙ 지역사회와 협력 324
∙ 특별한 교육적 욕구가 있는 아동 325
∙ 초기 발달 검사 326
∙ 청소년 자살 327
❤ 청소년을 위한 그 밖의 서비스 329
∙ 가출 및 노숙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 330
∙ 사회복지와 미성년자 성매매 335
∙ 청소년 역량강화 338
❤ 복습과 예습 344
❤ 생각해보기 345

제14장 성인과 노인 서비스 ⁄ 347
❤ 성인 서비스 351
∙ 사별 상담 351
∙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에서의 사회복지 353
∙ 군대와 퇴역군인 서비스에서의 사회복지사 358
❤ 나이 든 부모와 삶의 동반자를 위한 돌봄 360
∙ 돌봄과 나이 든 부모 362
∙ 돌봄과 삶의 동반자 363
∙ 돌봄과 치매 364
∙ 돌봄제공자를 위한 사회복지 지원 365
❤ 친밀한 파트너 폭력 366
∙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발생 367
∙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유형 368
∙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역동 369
∙ 친밀한 파트너 폭력에 대한 서비스 대응 372
∙ LGBT에서의 친밀한 파트너 폭력 375
∙ 친밀한 파트너 폭력에 대한 아동의 반응 377
❤ 노인학대 378
∙ 노인학대의 유형 379
∙ 노인학대의 발생 379
∙ 노인학대의 역동 380
∙ 노인학대 확인의 복잡성 381
∙ 사회서비스 대응 382
❤ 노인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384
∙ 노인복지실천 385
∙ 노인 사례관리 서비스 389
∙ 주간보호센터와 임시돌봄 서비스 394
∙ 요양원에서의 사회복지실천 395
❤ 노화에 대한 오해 풀기 398
∙ 건강한 노화 400
∙ 건강한 노화에 대한 영향 401
∙ 건강한 노화로 가는 길: 자원봉사 406
∙ 건강한 노화로 가는 길: 시니어 센터 408
∙ 건강한 노화로 가는 길: 연령친화적 지역사회 409
∙ 정책 옹호 409
❤ 복습과 예습 411
❤ 생각해보기 413

찾아보기 414

저자소개

Brenda Dubois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복지 교수와 실천가로 활동하면서 역량강화와 사회복지윤리, 사회정의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하였고, 사회복지정책과 지역사회 계획, 프로그램 평가 등의 영역에서 전문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펼치기
조성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행정학과 행정학사, 사회사업학과 문학사(복수전공)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문학석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박사 현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대표 저서 및 역서: 가족복지학의 이해(공저), 가족치료사례와 질적분석(공저), 가족치료와 영성(공역), 질적 자료 분석론(3판)(공역)
펼치기
장연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복지사의 역량 강화와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데 관심을 갖고, 사회복지실천, 여성 및 가족 복지, 사회복지 윤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이중관계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 2001년, 2011년, 2022년 비교 연구」, 「임신, 출산 및 초기 양육기 취약계층 여성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등이 있다. 현재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가족복지론, 여성복지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김희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New York Univ. 동아시아학과 문학사 Columbia Univ.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석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박사 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대표 저서 및 역서: 가족복지론(공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공저),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공저), 이혼과 가족조정(공역)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