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2615728
· 쪽수 : 381쪽
· 출판일 : 2023-0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Ⅰ부 지역복지에 대한 이해
1장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문제 및 사회복지
1절.지역사회의.개념과.새로운.지역사회 14
1. 지역사회의 개념 14
2. 새로운 지역사회의 이해 23
2절.지역사회의.기능.및.중요성 27
1. 지역사회의 기능 27
2. 지역사회의 중요성 30
3절.지역사회문제와.사회복지 31
1. 지역사회문제의 발생 31
2. 지역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32
2장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및 가치
1절.지역사회복지의.이해 36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36
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개념과 특징 39
2절.지역사회복지의.목적 41
1. 지역사회조직 41
2. 지역사회개발 42
3. 지역사회보호 43
4. 지역사회 만들기 45
5. 지역사회 변화 45
3절.지역사회복지의.범주와.구성요소 50
1. 지역사회복지의 범주 50
2.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소 52
4절.지역사회복지의.가치와.원칙 54
1. 지역사회복지의 가치 54
2. 지역사회복지의 원칙 60
3장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절.미국의.지역사회복지.발달과정 62
1.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63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66
3.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70
4.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72
5. 지역사회복지의 개혁기 73
2절.한국의.지역사회복지.발달과정 76
1. 현대적 지역사회복지 시대 이전 81
2. 현대적 지역사회복지 시대 85
Ⅱ부 지역복지 접근방법
4장 지역사회복지의 기초이론
1절.사회체계이론과.생태체계이론 97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97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00
2절.사회교환이론과.사회구성론 101
1. 사회교환이론 101
2. 사회구성론 103
3.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04
3절.구조기능론과.권력관련.이론 105
1. 구조기능론과 권력관련 이론 105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11
4절.엘리트이론과.다원주의이론 112
1.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112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14
5절.사회자본이론과.사회연결망이론 116
1. 사회자본이론과 사회연결망이론 116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20
5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
1절.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개요 124
1.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목적 124
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역할 124
2절.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유형 125
1. 로스만 유형 125
2. 테일러와 로버츠 유형 130
3. 웨일과 갬블의 유형 133
4. 포플 유형 141
5.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선택 및 동향 144
6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1절.지역사회복지실천의.실천원칙 148
1.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 개념 148
2.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 중요성 149
2절.지역사회복지의.실천과정 157
1. 문제 확인하기 158
2. 욕구 사정하기 161
3. 실천계획 및 실행하기 162
4. 평가하기 165
Ⅲ부 지역복지 추진체계
7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기술
1절.지역사회사정.기술 172
1. 지역사회사정 기술의 필요성 172
2. 지역사회사정 기술의 내용 173
2절.자원동원.및.개발.기술 178
1. 자원동원 및 개발 기술의 필요성 178
2. 인적 자원의 동원 및 개발 기술의 내용 179
3. 물적 자원의 동원 및 개발 기술의 내용 180
3절.네트워크.기술 181
1. 네트워크 기술의 필요성 181
2. 네트워크 기술의 내용 182
4절.조직화.기술 183
1. 조직화 기술의 필요성 183
2. 조직화 기술의 내용 184
5절.옹호·대변.기술 187
1. 옹호·대변 기술의 필요성 187
2. 옹호·대변 기술의 내용 187
6절.역량강화.기술 191
1. 역량강화 기술의 필요성 191
2. 역량강화 기술의 내용 191
8장 지역사회복지관
1절.지역사회복지관에.대한.이해 196
1.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197
2.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 유형 198
3.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 원칙 199
4. 지역사회복지관의 재정 200
2절.종합(사회)복지관에.대한.이해 201
1. 종합(사회)복지관의 개념 201
2. 종합(사회)복지관의 변천과정 202
3. 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 206
4. 종합(사회)복지관의 주요 사업 208
3절.노인복지관에.대한.이해 210
1. 노인복지관의 개념 210
2. 노인복지관의 변천과정 211
3. 노인복지관의 현황 211
4. 노인복지관의 주요 사업 212
4절.장애인복지관에.대한.이해 213
1. 장애인복지관의 개념 213
2. 장애인복지관의 변천과정 213
3. 장애인복지관의 현황 214
4. 장애인복지관의 주요 사업 214
5절.아동복지관에.대한.이해 215
1. 아동복지관의 개념 215
2. 아동복지관의 변천과정 215
3. 아동복지관의 주요 사업 216
9장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1절.사회복지협의회 218
1. 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한 기본 이해 218
2.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22
2절.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8
1.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 228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기본 이해 230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주요 주체별 역할 235
10장 지역사회복지 물적 자원
1절.공동모금에.대한.이해 240
1. 공동모금의 기본 개념 240
2. 공동모금활동의 모금방법 248
3. 공동모금의 배분유형 249
2절.한국의.공동모금 250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이해 250
2.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모금방법 252
3.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배분방법 253
4.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모금 관련 통계 255
11장 지역사회복지 인적 자원
1절.자원봉사활동 260
1. 자원봉사에 대한 기본 이해 260
2. 봉사활동의 종류 269
3. 자원봉사 관련 통계 269
2절.자원봉사센터 274
1.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이해 274
2. 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 277
3. 자원봉사활동기본법 280
12장 자활사업과 경제적 자립 지원조직
1.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282
2. 협동조합 293
3.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303
13장 지역사회의 공공복지 전달체계
1.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308
2. 지역사회 공공복지전달체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12
3. 희망복지지원단과 통합사례관리 319
4. 드림스타트 326
14장 지역사회보장계획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의의 332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역사 333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특성과 기본방향 334
4.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과정 337
5.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내용 339
6.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절차 340
15장 지역사회복지운동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과 필요성 352
2. 주민참여의 개념과 효과 그리고 수준 356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와 유형 362
4. 지역사회복지운동과 사회복지사 367
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사례와 내용 374
참고문헌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