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30315768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2-10-20
책 소개
목차
제1부 사회복지 전문직
목차
제1장 사회복지실천: 원조 전문직 ⁄ 3
❤ 사회복지실천 전문직 6
∙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6
∙ 돌봄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 7
∙ 현장의 목소리 9
∙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 14
∙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15
∙ 사회복지실천의 미션과 목적 16
∙ 개인적 문제와 공공의 이슈 16
∙ 강점과 욕구 17
∙ 세계적 생활의 욕구 25
∙ 강점, 욕구, 환경 간의 상호작용 25
∙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27
❤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의 관계 30
∙ 사회제도 30
∙ 사회복지 제도 31
∙ 사회복지의 기능 32
∙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34
∙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 그리고 사회 38
❤ 역량강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 41
∙ 역량강화의 정의 42
∙ 자원에 대한 접근 43
❤ 역량강화 사회복지실천 45
∙ 강점에 집중하기 46
∙ 다양성과 차이 수용하기 47
∙ 협력적으로 활동하기 49
∙ 구조화된 합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영하기 49
∙ 인권의 관점 채택하기 50
∙ 개인적․정치적 권력과 연결하기 51
∙ 행동하기 51
❤ 복습과 예습 53
❤ 생각해보기 54
제2장 진화하는 전문직 ⁄ 55
❤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출현 57
∙ 초기 사회복지 조직들 58
∙ 자선조직협회 59
∙ 인보관 운동 61
❤ 다양성과 사회복지의 역사 63
∙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클럽 운동 65
∙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보관 운동 66
∙ 전국도시연맹 67
∙ 사회복지사를 위한 고등교육과 훈련 68
∙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복지계획의 유산 69
❤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정의하기 71
∙ 개별사회사업 73
∙ 정신분석 운동 74
∙ 공공복지 운동 75
∙ 집단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 76
∙ 이중 초점 78
∙ 사회 개혁 80
∙ 생태체계적 접근 82
∙ 21세기의 새로운 경향 82
∙ 진화하고 있는 사회복지에 대한 정의 84
❤ 전문직 지위를 위한 과정 85
∙ “사회사업은 전문직입니까?” 86
∙ 전문 조직의 부상 89
∙ 전문교육의 발전 91
∙ 사회복지교육협의회 93
∙ 사회복지의 현재 94
❤ 사회복지실천의 공통 기반 98
∙ 전문직의 가치 98
∙ 사회복지의 지식 기반 101
∙ 사회복지의 기술 기반 104
∙ 사회복지 전문직을 위한 원칙 108
❤ 복습과 예습 112
❤ 생각해보기 114
제3장 사회복지와 사회체계 ⁄ 115
❤ 생태체계적 관점 118
∙ 사회체계 관점 119
∙ 사회복지를 위한 개념틀로서의 일반체계이론 123
∙ 생태도 활용을 통한 사회체계 이해 124
∙ 생태학적 관점 127
∙ 사회복지에 적용된 생태체계적 관점 128
❤ 사회적 기능 129
∙ 사회적 기능의 유형 130
∙ 환경적 압력 132
∙ 사회문제와 사회적 기능 134
❤ 사회복지의 클라이언트 체계 136
∙ 미시적 개입 137
∙ 중시적 개입 139
∙ 거시적 개입 141
∙ 사회복지 전문직과의 활동 144
❤ 사회사업방법론 147
∙ 개별사회사업 148
∙ 집단사회사업 148
∙ 지역사회조직 149
∙ 일반주의 통합 모델 150
❤ 복습과 예습 152
❤ 생각해보기 153
제4장 사회복지 전달체계 ⁄ 155
❤ 사회복지현장 158
∙ 기관과 협회 158
∙ 공공 지원과 민간 지원 160
∙ 1차 현장과 2차 현장 163
∙ 종교와 비종교 165
∙ 비영리와 영리 166
∙ 개업 실천 167
❤ 지리적 위치 169
∙ 정치관할권 169
∙ 도시 현장 170
∙ 농촌 현장 172
❤ 서비스 재원 176
∙ 연방 및 주정부 기금 176
∙ 보조금 178
∙ 지역 기금 178
∙ 영구 기금 및 특별 기금 179
∙ 서비스 비용 180
∙ 보험 급여 180
∙ 서비스 구매 계약 181
❤ 인력 유형 183
∙ 전문사회복지사 184
∙ 준전문가 186
∙ 자원봉사자 187
❤ 서비스 전달의 자원과 과제 189
∙ 서비스 전달 자원으로서의 자조 모임 189
∙ 서비스 전달에 있어서의 컴퓨터와 기술 191
∙ 소비자 참여 193
∙ 정책 축소로 인한 서비스 감소 194
∙ 재정 축소로 인한 서비스 한계 195
∙ 서비스의 파편화 198
∙ 최적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200
❤ 복습과 예습 201
❤ 생각해보기 202
제2부 사회복지실천 관점
제5장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 ⁄ 207
❤ 가치와 전문사회복지실천 211
∙ 가치의 정의 211
∙ 전문사회복지실천 가치의 기반 212
∙ 사회복지실천의 핵심 가치 215
❤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맥락 217
∙ 사회문화적 환경과 가치 218
∙ 가치와 사회복지 전문직 219
∙ 기관과 가치 221
∙ 클라이언트 체계와 가치의 다양성 223
∙ 표출된 문제와 가치 224
∙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가치 225
❤ 윤리와 사회복지실천 227
∙ 윤리의 정의 227
∙ 윤리강령 228
∙ 전미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 229
∙ 윤리적 원칙에 대한 국제 조항 231
∙ 급진적 윤리강령 233
❤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원칙과 윤리적 선호 234
∙ 수용 234
∙ 개별화 236
∙ 의도적 감정 표현 236
∙ 비심판적 태도 237
∙ 객관성 241
∙ 통제된 정서적 관여 241
∙ 자기결정 243
∙ 자원접근성 244
∙ 비밀보장 245
∙ 책무성 246
∙ 역량강화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윤리적 선호 246
❤ 복습과 예습 251
❤ 생각해보기 252
제6장 인권과 사회정의 ⁄ 253
❤ 인권과 사회정의 257
∙ 인권 257
∙ 시민권과 시민 자유 259
∙ 사회복지권 259
∙ 사회정의 이론 262
∙ 사회복지와 사회정의 263
❤ 사회적 불의: “주의” 265
∙ 인종차별주의 266
∙ 엘리트주의 267
∙ 성차별주의 269
∙ 이성애주의 273
∙ 연령차별주의 274
∙ 장애차별주의 276
∙ 집합적 “주의” 280
❤ 사회적 불의의 이론적 기반 280
∙ 사회진화론 280
∙ 사회학적 이론 284
∙ 심리학적 이론 285
∙ 피해자 비난 287
∙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 288
❤ 사회복지에 대한 함의 289
∙ 사회적 불의의 효과 289
∙ 기회, 장애물, 역량강화 296
∙ 인권으로서의 사회복지와 사회정의 전문직 297
❤ 복습과 예습 299
❤ 생각해보기 300
제7장 다양성과 사회복지 ⁄ 303
❤ 다양성과 차이 307
∙ 문화적 다양성 308
∙ 특권과 지배 310
∙ 지배에 대한 반응 311
∙ 문화적 다원성 313
∙ 문화 정체성과 교차성 313
❤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315
❤ 다문화 실천을 위한 기초 지식 316
∙ 비판 이론 316
∙ 비판 인종 이론 318
∙ 입장 이론 319
∙ 비판적 의식 개발하기 320
❤ 맥락 안에서의 문화적 유능감과 가치 322
∙ 문화적 겸손의 자세 적용하기 323
∙ 맥락 안에서 사회복지 가치 실행하기 324
❤ 다문화 사회복지를 위한 기술 325
∙ 미시공격성 다루기 326
∙ 힘과 특권에 맞서기 328
❤ 인종과 민족 정체성 330
∙ 블랙 아메리칸 331
∙ 아시안 아메리칸 333
∙ 아메리칸 원주민 336
∙ 히스패닉 아메리칸 340
∙ 비히스패닉 백인 아메리칸 342
❤ 젠더 정체성 344
∙ 젠더 다양성 345
∙ 트랜스젠더인 사람들 345
❤ 성적 지향 347
∙ 정체성 발달 및 성적 지향 348
∙ 성 소수자와의 사회복지실천 350
∙ 적응유연성과 강점 353
❤ 젠더 소수자 및 성 소수자와의 정치적 사회복지 354
∙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혐오증 다루기 354
∙ 정치적 행동 취하기 355
❤ 종교적 다양성과 영성 356
∙ 오늘날의 종교 356
∙ 공동체에서의 종교 358
∙ 종교와 영성 359
∙ 사회복지에 있어서 종교 및 영적 다양성의 함의 361
∙ 종교 공동체의 자원 363
∙ 종교, 영성, 사회복지 367
❤ 복습과 예습 369
❤ 생각해보기 370
찾아보기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