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린 도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대학교 연극무용학과 조교수이자, ‘드라마 포 스쿨(Drama for School)’ 프로그램 책임자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예술통합, 박물관 연극, 티칭아티스트의 실천 및 예술 기반 교육연구 등이다. 캘리포니아 과학센터에서 ‘살아 움직이는 과학(Science Comes Alive)’이라는 상호적 연극프로그램을 주도한 바 있으며, LA에서 전업 교사로서, 또 연극예술 전문가로도 일하기도 했다. 티칭아티스트로서 케이티는 미국과 호주 등의 학교, 전문 극장, 커뮤니티 등 다양한 곳에서 작업을 수행하기도 했다. 미국은 물론 세계의 유수한 학회에서 기조 발제 및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는데, 그 주제들은 드라마 기반 수업, 예술통합, 박물관 연극, 커뮤니티 연계, 티칭아티스트의 교육학 및 실행 등이다. 한 편의 희곡과 두 편의 TV 어린이 프로그램을 집필했고, 미국과 국제적인 연구저널에 학술논문을 게재해왔다. 그 공로로 2005년 전미연극교육연합(AATE)의 위니프리드 워드 학술상(Winifred Ward Scholar)을, 2013년에는 크리에이티브 드라마 상(Creative Drama Award)을 수상하기도 했다. 가장 최근에는 텍사스 대학교 평의원 총회에서 수여하는 ‘탁월한 교수 상(Outstanding Teaching Award)’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대니얼 A. 켈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열정적이고 직설적인 티칭아티스트 대니얼은 호놀룰루 청소년 극단의 드라마 교육감독으로 오랫동안 근무하고 있다. 2011~2013년 전미연극교육연합(AATE)의 회장으로 재직했다. 2009년에는 풀브라이트-네루 기금 연구지원자로 선정되어 인도 전역의 여러 극단들과 협업하기도 했으며, 미국의 청소년 연극 기금의 ‘앤 쇼 지원금(Ann Shaw Fellowship)’을 받아 인도의 폰디체리에 있는 아지(Aazhi) 어린이 극단과 협업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 몬탈보 아츠센터(Montalvo Arts Center)의 티칭아티스트 장학금, 미국 어린이 연극 연맹의 ‘오랜드 해리스(Aurand Harris) 극작 장학금’을 지원받기도 했다. 존 F. 케네디 공연센터의 티칭아티스트 명단에 등재되기도 한 댄은 미국령 사모아와 마셜 제도의 ‘크로스로드 청소년 극단(Crossroads Theatre for Youth)’ 연극 훈련 감독으로 재직한 바 있다. 중국에서 베이징 오페라를 공연하고, 수많은 태평양 제도에서 춤을 추기도 했으며, 인도의 북부와 남부를 오가며 여러 극단과 작업했고, 어린이와 유아들을 위한 희곡들을 창작하기도 했다. ≪관용을 가르치기(Teaching Tolerance)≫, ≪다문화 연구(Multicultural Review)≫, ≪티칭아티스트 저널(Teaching Artist Journal)≫, 전미사회과교육학회의 ≪사회과 교육과 어린이 학습자(Social Studies and the Young Learner)≫, ≪인도 민속 저널(Indian Folkore Journal)≫, ≪유아교육저널(Early Children Education Journal)≫ 등 다양하고 많은 저널에 기고했으며, 세 권의 단독 저서를 포함해 여러 서적에 필자로서 참여한 바 있다.
펼치기
김병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뉴욕대학교에서 교육연극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고 Creative Arts Team(CAT)에서 drama teaching artist로 활동하였다. 2005년 귀국 후 PRAXIS를 설립해 다양한 대상들과 드라마, TIE, 포럼연극, 시민연극, 예술교육 작업을 수행하면서 서울교대 교육전문대학원에서 내일의 교육연극 동지들을 만나고 있다. 이론과 실천, 행위와 성찰의 균형을 찾아가는 ‘프락시스(praxis)’를 삶의 철학으로 생각하며 산다.
논문: 「미래교육에서 예술교육의 위치에 관한 소고」(2024) 등 약 30편.
해외 논문: 'Balancing the Apollonian and Dionysian Dualism'(2015) 등 다수.
역서: 『성찰하는 티칭아티스트』(2017), 『시민연극』(2009) 등 다수.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