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46072213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0-05-12
책 소개
목차
제1장 지형연구사
1. 거시적 관점에서의 구조지형 연구(1900~1950년대)
2. 미시적 관점에서의 기후지형 연구(1960~1980년대)
3. 지리학의 대중화를 위한 응용지형 연구(1990년대 이후~현재)
제2장 지형 개관
1. 한반도의 형성
2. 한반도의 지형 특징
제3장 풍화지형
1. 풍화작용과 풍화지형
2. 화강암 풍화와 지형발달
3. 화강암 풍화층
4. 저기복 침식면과 침식분지
5. 토르
6. 보른하르트
7. S자형 암벽면
8. 타포니
9. 나마
10. 그루브
11. 박리
12. 풍화물질의 제거와 지형발달
제4장 토양
1. 토양분류
2. 한국의 토양
제5장 산지지형
1. 한반도 지형기복
2. 산지지형
3. 산맥의 명칭에 관한 논의
제6장 하천지형
1. 하천의 특징과 하도의 형태
2. 하천의 침식과 퇴적
3. 하안단구
제7장 습지지형
1. 습지 연구
2. 습지의 일반적 특징
3. 한국의 습지지형
제8장 평야와 완경사지형
1. 평야지형
2. 완경사지형
제9장 해안지형
1. 해안선
2. 해빈
3. 암석해안
4. 해안사구
5. 해안단구
제10장 카르스트지형
1. 카르스트지형의 발달
2. 카르스트지형의 유형
3. 한국의 석회암 분포와 카르스트지형
제11장 주빙하와 빙하지형
1. 주빙하지형
2. 빙하지형
제12장 화산지형
1. 한반도의 화산활동
2. 제주도
3. 백두용암대지와 백두산
4. 울릉도와 독도
5. 철원용암대지
6. 동남부해안 제3기 화산지형
제13장 구조지형
1. 구조지형의 개념
2. 암석과 지형
3. 단층지형
4. 습곡과 요곡지형
5. 환상구조
제14장 지형과 문화
1. 문화자원으로서의 지형
2. 지형과 생활문화
3. 풍화지형과 돌문화
핵심지형답사코스
한국의 문화유산 지형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