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7252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8-31
책 소개
목차
1부 공공외교란 무엇인가?
1장 공공외교의 정의
2장 공공외교의 역사
3장 공공외교의 이론
2부 공공외교와 문화, 언어, 교육
4장 문화 공공외교 1
5장 문화 공공외교 2
6장 언어 및 교육·학술 공공외교
3부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7장 미디어 공공외교
8장 브랜딩 공공외교
9장 전략적 커뮤니케이션과 공공외교
4부 공공외교와 국제정치
10장 공공외교와 안보
11장 공공외교와 개발
12장 공공외교와 통일
5부 공공외교의 새로운 영역
13장 기업과 공공외교
14장 지방정부와 공공외교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공외교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사회과학 내에서 정치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이라는 두 개 학문 분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구체적으로 공공외교에 대한 정치학적 접근은 국제관계학과 외교론을 중심으로 발전해왔고, 공공외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접근은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영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두 학문 분과에서의 학술적 발전은 최근 학제 간 접근으로 점차 그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 공공외교를 연구하는 학자들 중에는 정치학자들은 물론이고 커뮤니케이션학자들도 있으며, 공공외교에 대한 대학들의 교과 과정도 정치외교학과(또는 국제관계학과)와 커뮤니케이션학과(또는 언론정보학과, 신문방송학과) 양 분야에서 운영되고 있다.
_ 1장 공공외교란 무엇인가_공공외교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문화와 공공외교는 공공외교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학술적 논의와 정책적 사례가 존재하는 영역이다. 문화는 상대국 대중에게 다가가기 용이하고 상호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를 통해서 상대국 대중의 자국에 대한 우호적 인식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그래서 주요 선진국들은 이를 공공외교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결과적으로 공공외교 차원에서 커다란 성과를 거두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냉전시대 할리우드 영화와 팝 음악 등 미국의 대중문화가 논의되었으나, 오늘날에는 K-pop, K-movie 등 한국의 대중문화도 문화와 공공외교에서 중요한 사례로 고려된다.
_ 1장 공공외교란 무엇인가_공공외교의 유형
통일 공공외교는 일반적으로 정책적 소구 대상에 따라서 북한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대북 통일 공공외교와, 한반도 문제에 영향력이 있는 해외 주요국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대외 통일 공공외교로 분류된다. 대외 통일 공공외교는 정책 공공외교, 문화 공공외교, 지식 공공 외교라는 우리 정부의 3대 공공외교 분야 중 정책 공공외교의 하위 영역에 속한다. 그러나 대북 통일 공공외교는 과거의 실제 사례들에 근거해 보면 문화 공공외교, 개발 공공외교, 기업 공공외교 등 다양한 공공외교의 영역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통일 공공외교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에 기반하여 한국의 공공외교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_ 12장 공공외교와 국제정치 _공공외교와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