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2893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1-03-2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서문
Chapter 01 세 가지 초국가적: 초국가화, 초국가적 사회 공간, 초국가성
국경을 가로지르는 이주와 초국가적 관점의 필요성╷초국가적 개념 풀기╷책의 목적과 구성
Chapter 02 초국가성과 사회적 활동
가족 영역의 초국가적 활동╷사회-문화적 영역의 초국가적 활동╷경제적 영역의 초국가적 활동╷정치적 영역의 초국가적 활동╷초국가적 활동의 유의미성
Chapter 03 개념화하기: 초국가화와 초국가적 사회 공간
역사적 관점에서 본 초국가화╷초국가적 사회 공간의 개념╷초국가화의 지속성
Chapter 04 초국가화와 개발
논의의 세 가지 국면╷송금: 가족과 친족에 대한 송금의 역할╷초국가적 투자와 비즈니스╷재외 향우회: 지역개발에 대한 재외 향우회의 역할╷지식의 초국가적 순환╷사회적 송금과 그 효과
Chapter 05 초국가성과 이주자 통합 모델
통합 모델로서 초국가주의╷통합과 초국가성의 관계╷이주 2세대의 초국가성╷이주자 협회: 통합과 초국가화의 수단
Chapter 06 국가와 시민: 초국가적 정치 활동과 제도
시민권: 개념적 스케치╷시민권 정책: 이중시민권 사례╷시민권 정치: 시민, 디아스포라, 국가╷초국가적 시민권?
Chapter 07 초국가적 연구 방법론
초국가적 분석을 위한 세 가지 방법론적 도전╷세 가지 도전을 기술하는 방법╷동시성 포착하기
Chapter 08 초국가화되는 시민사회
시민사회와 초국가적 사회 공간들╷시민사회에 대한 개발, 사회통합, 시민권의 적절성╷시민사회와 국가╷시민사회와 시장╷시민사회와 가족╷시민사회를 위한 이주자의 초국가적 사회 공간의 역할과 기능╷사회과학을 위한 초국가적 접근의 유의미성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초국가적 접근은 지금까지 분석의 중심에 있지 않았던 국제 이주의 경향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주자들이 새로운 국가에 정착할 때 모국이나 출신 지역과 접촉을 끊지 않는다는 관찰을 초국가적 접근은 진지하게 받아들인다. 오히려 이주자들은 자신에게 의미 있는 사람들과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새로운 유대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초국가화의 사회-문화적 차원과 관련하여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개인의 정체성 문제이다. 캠버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정체성은 초국가적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캠버의 정체성은 소속감이 단지 하나의 국가에 의해 특징지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소속감의 이중 모드를 창출했다. 이 예는 현대 이주자와 그 후손들이 이주수용국으로 이주할 때 과거 정체성을 반드시 잃을 필요가 없고 정착국에서 유동적인 다중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초국가적 연구는 구체적 활동뿐만 아니라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차원의 초국가성을 더욱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초국가적 접근은 사회적 및 상징적 유대, 초국가적 활동의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차원, 그리고 존재 방식과 소속 방식을 모두 고려하기 시작했다.
디아스포라도 초국가적 공동체의 범주에 속한다. 고전적인 해석에 따르면, 디아스포라는 과거의 특정 시간 동안 외상 경험을 겪거나 장거리 무역을 추구하면서 영토 분산을 경험한 집단이다. 유태인,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인 및 그리스인이 디아스포라의 대표적인 집단의 예로 인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의 구성원은 잃어버린 고향에 대한 공통의 기억이나 창조되어야 할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이들이 거주하는 국가는 종종 소수 종족의 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온전한 인정을 거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