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46073135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중국 경제지리학의 연혁과 연구 동향
제2장 중국의 토지 및 수자원 현황
제3장 중국의 강
제4장 중국의 사막화와 농경지 보호
제5장 인구 분포와 유동
제6장 행정구획과 경제구획
제7장 자원 및 생산력 배치와 발전 전략
제8장 농업의 분포와 발전 동향
제9장 공업의 분포와 발전 동향
제10장 서비스산업 현황과 발전 동향
제11장 수송 체계 현황과 발전 동향
제12장 장강삼각주지구
제13장 환발해지구
제14장 만주지구
제15장 향진기업과 소성진
제16장 지역 간 격차와 구역협조발전 정책
책속에서
최근에 중국의 경제와 사회가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면서, 거대한 국가 내의 다양한 지역 간 특성과 연관된 문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경제지리, 도시지리와 함께 지역경제 및 지역개발 관련 분야에서도 실증주의, 인간주의, 그리고 구조주의적 관점과 방법론과 이들을 복합 및 융합한 관점으로 넓혀지고 있다. 또한 지리학의 분화 추세에 부응해 경제지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산 입지, 인구, 자연자원, 생태환경, 그리고 각 지역별로 국가 규모에 걸맞은 다양한 주제의 논문과 저서가 발표되고 있다. 이처럼 한편으로는 서양의 이론과 방법론을 도입·흡수하면서 ‘중국 특색의 경제지리학’의 이론과 방법론을 모색·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_ “제1장 중국 경제지리학의 연혁과 연구 동향”
중국 정부는 ‘호적등기조례(?口登記?例)’를 제정·공포하고, 농민의 도시 진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했고, 도시민과 농민을 비농업호구인 도시호구와 농촌의 농업호구(???口)로 구분하는 호적제도를 시행했다. 도시호구를 보유한 도시 시민은 소속된 도시 내 직장단위에서 급여를 받고 국가가 제공하는 의료, 교육 등 사회보장 혜택을 받을 수 있었지만, 농촌 거주 농민은 오직 일정 규모의 농지만을 배분받고 노동을 통한 농업 소득을 만들어야만 했다. 초급 및 고급 합작서, 인민공사 등으로 집체화가 강화되어도 소속된 인민공사나 생산대에서도 도시에서와 같은 복지와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는 없었다. 이 같이 이원화된 도농 간 호적관리 체제는 더욱 공고해 졌고, 농민이 도시호적을 취 득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졌다. 즉, 도시 내 직장 단위에 취직하거나, 대학 입학이 나 군복무 등을 통한 매우 제한된 통로가 있기는 하지만, 중국에서 농촌 농민이 도시호구를 취득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_ “제5장 인구 분포와 유동”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중국 내에서 서방 국가의 투기성 거품경제모델에 대한 경계와 회의론이 대두되면서,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실천하는 방안을 보다 주체적·창의적으로 개척해야 하며, ‘실체경제(實體經濟)’인 제조업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기도 했다. …… 중국의 공업 발전도 이미 ‘신상태’에 진입했다. 소위 ‘신상태’란 중국 경제가 고속 성장에서 중고속 성장으로 방향 전환했고, 경제 발전 방식도 규모 및 속도형의 조방(粗放) 성장에서 품질효율형의 집약(集?) 성장으로 방향 전환했고, 경제구조는 에너지 소모 확대 증량 위주에서 재고 조정으로, 특화 조정이 병존하는 심도조정 단계로, 경제 발전 동력은 전통 성장지점(增?点)에서 새로운 성장지점으로 방향을 전환한다는 것이다. _ “제9장 공업의 분포와 발전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