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4607370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2-05-10
책 소개
목차
^^Ⅰ_생산시스템
1.1 생산시스템(Production System)
1.2 계획 및 통제시스템
1.3 제조실행시스템(MES)
^^Ⅱ_자동화와 제어기술^^
2.1 자동화와 제어시스템
2.2 프로세스자동화(PLC+HMI, DCS)
2.3 산업용 네트워크 기술
^^Ⅲ_데이터 수집 방법^^
3.1 인터페이스
3.2 시리얼통신(RS-232C/422/485)
3.3 OPC 표준
3.4 SECS 프로토콜
3.5 무선통신
3.6 자동인식 및 데이터 수집(AIDC)
^^Ⅳ_데이터 모델링^^
4.1 모델링의 기본 개념
4.2 정규화(Normalization)의 필요성
4.3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튜닝
^^Ⅴ_설비제어 및 물류자동화^^
5.1 공정설비제어(Level 2)
5.2 물류제어 아키텍처
^^Ⅵ_설비 엔지니어링^^
6.1 EES 개요, 종류, 특징
6.2 품질분석시스템
6.3 보전에서 전략적 자산관리(SAM)로
부록 1. MES 패키지 살짝 뒤집어 보기
부록 2. 최신 IT 트렌드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산시스템(Production System)이란 기업 내의 제조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사람과 설비 및 일하는 방법인 업무 프로세스의 집합을 일컫는다. 부품이나 제품 등의 제조공정에 시스템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품이 복잡해졌고 제조공정도 과거에 비해 복잡도가 커졌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자의 수가 늘고 수작업이 아닌 설비에 의한 자동화의 수준도 높아진 연유이다. 아울러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더 신속한 계획의 수립 및 변경이 요구되고 공정 간의 조화가 필요하다. 앞으로도 제조공정의 자동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시스템적인 접근이 더욱더 필요하리라 예상된다. …… 이제는 우리나라도 제조업에 있어서 무서운 경쟁자로 떠올랐고, 최근에는 중국이나 인도가 경제발전을 바탕으로 제조업의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이런 나라들에 최적화된 생산시스템이 소개될 날도 멀지 않아 보인다. _ “Ⅰ_생산시스템”
제조현장을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기능은 업종별, 생산방식별 혹은 현장의 자동화 수준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화가 가장 많이 진전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의 FAB만 하더라도 SEMATECH의 ITRS(반도체국제기술로드맵)에서 제시한 바에 따르면 작업지시를 위한 Scheduling/Dispatching, 제품 추적을 위한 MES의 핵심 기능이라고 부를 수 있는 WIP Tracking/Machine Tracking, 반송장치 제어를 위한 AMHS/MCS, 장비를 대상으로 의사 역할을 하는 APC(FDC, R2R), 설비 보전과 관련 있는 Maintenance Systems/Spare Parts Management, 수율과 관계되는 Quality Management Systems/ YMS 등 그 수가 상당히 많다. _ “Ⅰ_생산시스템”
필드버스 계열의 통신 방식들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어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었으나 각 벤더별 개별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다른 이유는 다 차치하더라도 오픈 프로토콜이 아니라는 점은 큰 단점으로 작용한다. 이에 비해 산업용 이더넷은 빠른 속도와 유연한 Topology 구성(링 구성)으로 오류 복구 기능이 있고 무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산업용 이더넷의 대응책으로 필드버스 진영에서도 ODVA, 한국프로피버스협회, CC-Link협회, 필드버스파운데이션협회, 한국EtherCAT협회 등 단체를 구성해 벤더들을 확충하고 각종 Ethernet 호환 프로토콜 개발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Ethernet의 파도를 넘기에는 힘겨워 보인다. _ “Ⅱ_자동화와 제어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