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608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5-09-15
책 소개
목차
서문 │ 잃어버린 진실을 찾아, 경제학으로 언론 이해하기
제1장 │ 멀고도 가까운 이웃, 경제학과 언론
1.1. 인간과 사회의 선택에 관한 학문, 경제학 │ 1.2. 경제학과 언론학의 차이 │ 1.3. 뉴스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부상 │ 1.4. 한국 사회와 뉴스 미디어 정치경제학
제2장 │ 뉴스 시장과 뉴스 시장의 주인공들
2.1. 뉴스의 기준은 뉴스 소비자 │ 2.2. 뉴스 공급자의 숙명과 한계 │ 2.3. 뉴스 시장의 구조와 주요 현상
제3장 │ 뉴스 시장의 발전과 저널리즘의 변천
3.1. ‘정보 민주화’의 나선형 진화 │ 3.2. 대중 미디어 시대와 저널리즘의 탄생 │ 3.3. 정보통신기술 혁명과 뉴스 시장의 지각변동
제4장 │ 민주주의를 위한 뉴스 미디어의 역할
4.1. 정치 과정에서의 뉴스 미디어 역할 │ 4.2. ‘더 많은 정보’는 사람들에게 언제나 유익한가? │ 4.3. 미디어의 편향은 민주주의에 정말 유해한가? │ 4.4. 뉴스 소비가 ‘선거’와 ‘정치적 책무’에 미치는 영향
제5장 │ 벗어날 수 없는 굴레, 미디어 편향
5.1. 미디어 편향이란? │ 5.2. 미디어 편향은 왜 생겨날까? │ 5.3.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른 뉴스 소비자의 편향
제6장 │ 뉴스 품질 인식의 ‘내로남불’과 객관적 기준
6.1. 평범한 사람들의 뉴스 품질 인식 │ 6.2. 뉴스 품질에 대한 경제학적 이해 │ 6.3. 편향과 품질로 차별화 경쟁을 하는 뉴스 미디어
제7장 │ 자유롭게 경쟁하는 언론은 ‘진실’을 드러낼 수 있을까?
7.1. 뉴스 시장의 딜레마 -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실패’ │ 7.2. 미디어 편향에 관한 경쟁의 효과
제8장 │ 편견 없는 보도는 ‘신화’, 예외 없는 ‘미디어 편향’
8.1. ‘의견’과 ‘사실 보도’를 구분한다 해도 여전한 정파성 │ 8.2. 미디어 편향을 낳는 주역 │ 8.3. 언론 전반의 편향과 ‘기울어진 운동장’ │ 8.4. 언론의 경쟁이 미디어 편향에 끼친 영향 │ 8.5 미디어 편향이 뉴스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 8.6. 경제학자들은 미디어 편향을 어떻게 측정할까
제9장 │ 포획되는 미디어, 권력이 되는 미디어
9.1. 미디어 포획의 경제학 이론 │ 9.2. 디지털 시대, 독이 된 경쟁 │ 9.3. 두 얼굴의 광고주 │ 9.4. 미디어 권력 │ 9.5. 여론 다양성을 위한 정책
제10장 │ 지구촌 곳곳의 다양한 미디어 포획
10.1. 정치권력과 정부의 미디어 포획 │ 10.2. 광고주에 의한 뉴스의 왜곡 │ 10.3. 미디어 포획의 ‘수요’와 ‘공급’ │ 10.4. 미디어 포획에 따른 영향
제11장 │ 디지털 시대와 뉴스 미디어
11.1.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전통 미디어의 위기 │ 11.2. 디지털 미디어와 소비자의 편향 │ 11.3. 일상의 삶에 파고든 소셜 미디어 │ 11.4. 인공지능과 알고리즘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기초는 그들이 선택에 앞서 얻는 정보다. 따라서 ‘선택에 관한 학문’인 현대 경제학이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와 뉴스 시장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더구나, 20세기 이후 산업과 시장의 위상을 분명하게 드러낸 언론을 경제학자들이 탐구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_.1. 인간과 사회의 선택에 관한 학문, 경제학
“10년 전만 해도, 우리는 신문이 실제로 어떻게 뉴스를 보도하는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다. 질문은 있었지만 답은 없었고, 미디어들의 과장된 선전만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제기됐던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다. 미디어의 보도는 체계적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그 편향의 정도는 주로 ‘수요’(독자와 시청자)에 의해 좌우되며, (뉴스 미디어 사이의) ‘경쟁’은 더 많은 관점을 (뉴스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게 됐다. 또한 뉴스 미디어들은 뉴스 소비자들의 정치 참여에 확실히 영향을 끼치며, 때로는 그들의 정치적 선택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해하게 됐다.” _ 1.3. 뉴스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부상
저널리즘의 탄생 이후 지금 이 순간까지 다양한 저널리즘이 생겨나고 쇠퇴한 이유는 언제나 뉴스 미디어들이 마주한 경제적 환경 때문이었다. 정파적 저널리즘, 프로페셔널 저널리즘, 객관주의 저널리즘, 그리고 탐사 저널리즘에 이르기까지 모든 저널리즘의 명멸(明滅)은 변화한 뉴스 시장 여건에 적응하기 위해 뉴스 미디어들이 선택한 결과였다. _ 3.2. 대중 미디어 시대와 저널리즘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