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46081154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서론 왜 이라크 전쟁을 이야기하는가
1부 이라크 전쟁의 배경
1장 걸프 전쟁과 후세인
2장 9·11 테러와 아프가니스탄 침공
2부 전투의 승리 그리고 전쟁의 시작(2003년 3~6월)
3장 낙관론과 비관론, 그 기묘한 조합
4장 전투의 승리와 파산한 낙관론
5장 전쟁의 시작과 이라크 점령
3부 전쟁의 전개와 국가 형성 그리고 악화되는 상황(2003년 6월~2006년 2월)
6장 국가의 형성과 실패
7장 새로운 국면의 전개
8장 전쟁의 추악함과 멍청함 그리고 잔인함
9장 이라크 정부 수립과 커지는 혼란
4부 이라크 내전의 폭발(2006년 2월~2007년 1월)
10장 알아스카리 사원
11장 알카에다와 시아파 민병대
12장 종파 내전
5부 증파 전략 그리고 안정화 (2007년 1월~2011년 8월)
13장 철군 또는 증파 그리고 도박
14장 바그다드 안정화 작전과 의회 청문회
15장 이라크에서의 성공과 안정화의 한계
16장 오바마 행정부와 철군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증파
17장 첫 번째 결론: 2011년 시점에서의 미래 전망
6부 이슬람국가 전쟁과 이라크
18장 파국의 전조
19장 IS 침공과 이라크의 혼란
20장 재정비와 폭격, 그리고 반격 준비
21장 이라크의 반격과 실지 회복
22장 미국과 이란 그리고 이라크의 혼란
23장 두 번째 결론, 2021년 현재 시점에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부시 행정부는 미국 본토가 공격을 당했다는 충격 속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미국의 안전을 지키려면 테러리스트 조직을 말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9·11 공격이 알카에다의 소행이라는 ‘증거’에 기초해 알카에다를 범인으로 지목했으며, 알카에다와 연결된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을 공격했다.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후세인 정권이 알카에다를 지원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라크를 공격해 정권을 교체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_ 2장 9·11 테러와 아프가니스탄 침공
침공의 명분이었던 후세인 정권의 대량살상무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내려진 상태에서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전쟁의 명분을 ‘민주주의에 기초한 강력한 이라크 정부strong and democratic government in Iraq’ 건설로 새롭게 규정했다. 하지만 이에 필요한 자원을 적절히 투입하지는 않았다. 특히 임시정부의 임무가 이라크 선거의 관리와 이후 정치 과정의 원활한 운영이었는데도 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대한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연합군임시행정청 시기 2단계 이라크 복구 지원 예산(IRRF2)의 전체 액수 184억 달러 가운데 0.5% 정도인 1억 달러만이 민주주의와 법치rule of law 관련 분야에 지정되었다. 결국 민주주의를 수립할 이라크 정부와 국가의 역량capacity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주권이 이양되었고, 이는 이라크 사회의 안전을 악화시킨 동시에 국가 형성에도 치명적으로 작용했다. _ 9장 이라크 정부 수립과 커지는 혼란
2009년 1월 20일 대통령에 취임한 오바마는 이라크 전쟁의 이라크화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을 이라크 정책으로 삼았고, 미군 병력의 철수를 그 수단으로 사용했다. 이를 통해 이라크 정부가 국가 건설과 통합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압력을 가하려는 것이었다. 특히 오바마 개인은 2002년 10월 미국 의회가 부시 행정부에 군사력 사용을 허용하는 결의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라크 전쟁과 미국의 개입을 비난하는 데 정치적으로 자유로웠다. _ 16장 오바마 행정부와 철군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증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