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사일반
· ISBN : 9788946081772
· 쪽수 : 744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0장 계몽사상과 절대왕정의 변화
1. 계몽주의의 시대: 18세기의 문화╷2. 정치적 발전╷3. 사회 변화와 경제 발전
제11장 정치 혁명과 경제 혁명
1. 미국혁명╷2. 프랑스혁명╷3. 나폴레옹 시대╷4. 산업혁명
제12장 이데올로기의 시대
1. 반동과 혁명╷2. 민족주의와 현실 정치╷3. 19세기의 문화와 학문
제13장 제국주의의 전개
1. 유럽 각국의 정치적 발전: 1870~1914╷2. 아메리카와 유럽 바깥의 유럽인╷3. 산업사회의 확산과 발전╷4. 제국주의적 침탈
제14장 두 차례의 세계대전
1. 제1차 세계대전╷2. 러시아와 패전 제국들의 혁명╷3. 전간기의 서유럽╷4. 전체주의의 대두╷5. 제2차 세계대전
제15장 냉전 체제와 제국주의의 청산
1. 전후 처리와 냉전╷2. 전후의 서방세계╷3. 소련과 동유럽╷4. 제국주의의 청산╷5. 중동과 라틴아메리카
제16장 냉전 종식과 그 이후의 세계
1.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2. 냉전 이후의 서방세계╷3. 20세기의 학문과 예술╷4. 20세기 사회
저자소개
책속에서
1714년 앤 여왕이 후사 없이 죽자, 의회는 왕위계승법(Act of Settlement, 1701)에 따라 스튜어트가의 먼 혈연인 독일의 하노버(Hanover) 선제후를 국왕 조지 1세(George I, 1714~1727)로 맞이했다. 조지 1세는 독일 제후로서 영어를 말할 줄 몰랐으며, 아들 조지 2세(1727~1760) 역시 마찬가지였다. 윌리엄 3세가 그랬듯이, 그들의 주된 관심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대륙의 영토에 있었다. 그들은 기꺼이 영국의 행정을 의회에 맡겼다. 조지 1세는 말을 잘 알아듣지 못했기에 각료회의에 잘 참석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료들은 스스로 회합하고 정책을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들은 집합적으로 내각이라고 불렸다. 국왕은 내각이 결정한 사안을 승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선례는 구속력을 지니게 되었고, 영국의 왕은 결국 명목상의 국가 원수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그리하여 국왕은 군림하나 통치하지는 않는다는 전통이 형성되었다. _ 제10장 계몽사상과 절대왕정의 변화
내정 분야에서 나폴레옹이 이룬 최고의 치적은 법령의 체계적 법전화였다. 혁명 이전에 프랑스는 수백 개의 독자적인 지방 법체계가 있었는데, 국민공회가 이를 개혁하여 전국적으로 통일된 법체계를 수립하려고 시도하다가 완성을 보지 못했다. 게다가 혁명으로 엄청난 양의 새 법령이 도입된 터라, 법전을 집대성할 필요성이 시급해졌다. 이에 나폴레옹은 유능한 법률가들을 동원하여 5대 법전으로 그 과업을 완성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1804년에 편찬한 포괄적인 『민법전(Code civil des Français)』이었다. 1807년 『나폴레옹 법전(Code Napoleon)』으로 개칭된 이 법전은 모든 시민의 법 앞의 평등, 종교적 관용, 농노제와 봉건제도의 폐지, 재산권의 보호 등 혁명이 이룩한 중요한 성과들을 세세하게 명문화했다. _ 제11장 정치 혁명과 경제 혁명
남부의 면화 재배 중심의 경제와 사회구조는 아프리카 흑인 노예의 착취에 기초하고 있었다. 남부 경제에서 면화 재배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그 생산량에서 명백하게 드러나는데, 이는 상당 부분이 영국 산업혁명의 영향이었다. 1810년에 남부는 면화 17만 8000꾸러미에 1000만 달러어치의 면을 생산했는데, 1860년에는 450만 꾸러미에 2억 4900만 달러어치를 생산했다. 1850년에 남부의 면 93%를 노예가 생산했다. 1808년 신규 노예 수입이 금지되었으나, 노예 인구는 극적으로 늘어나 1860년에 남부에는 흑인 노예가 400만 명이 넘었는데, 이는 1800년의 네 배였다. 면 재배의 농업 경제와 대농장에 기반을 둔 노예제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었고, 19세기 전반기에 노예제를 유지하려는 시도로 인해 남부는 점점 더 방어적으로 되면서 고립되었다. 그와 동시에 북부의 노예제 폐지 운동의 성장은 남부 체제에의 도전이 되었으며, 이는 결국 내전으로 이어지는 ‘정서적 연쇄반응’을 낳았다. _ 제12장 이데올로기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