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4608251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3-10
책 소개
목차
제1부 밸류체인의 해체와 융합
제1장 산업 간 디커플링(Decoupling)의 시대
제2장 통신과 방송이 커플링되다
제2부 미디어 시장의 3국지
제3장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장에서의 3국지
제4장 유료방송시장에서의 3국지
제5장 IPTV 성장의 커다란 3개의 분기점
제6장 OTT 활성화에 따른 콘텐츠 시장 3국지
제3부 콘텐츠 미디어 시장을 관통하는 3개의 코드
제7장 한국 미디어 시장을 읽는 3개의 코드
제8장 멀티 (플랫폼)
제9장 (상품의) 번들링
제10장 고객의 요구에 따른 온 디맨드 세상
제4부 콘텐츠 미디어 시장의 미래 전망
제11장 한국 콘텐츠 미디어 시장의 미래 전망
제12장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터넷이 등장하자 시장의 욕구도 이를 활용해 정보를 전달하려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해서는 어떤 정보도 모두 전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인터넷이 등장한 이후 각기 자신의 경로에 따라 진화하던 음성과 비음성 서비스는 질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융합(Convergence) 과정을 거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음성 통신서비스는 비음성을 흡수한 무선인터넷 및 IMT-2000 서비스 등으로, 비음성 통신에서 음성을 통합하려는 경향은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으로 나타났다. 전자를 ‘전화의 전신화’ 과정이라 한다면 후자는 ‘전신의 전화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_2장 통신과 방송이 커플링되다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장의 경쟁은 언뜻 시청률 경쟁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광고 매출과의 경쟁이다. 방송 네트워크는 양방향이 아니고 단방향이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방송 사업자에게는 가입자의 개념이 없다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방송사가 만든 동영상 콘텐츠를 보느냐 보지 않느냐가 중요하지, 누가 보느냐는 당장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 사업자는 시청자가 볼 만한 콘텐츠를 어떻게 잘 만드냐가 제1의 과제다. 그래서 시청률 그 자체에 사활을 건다. 가입자(고객)의 개념이 없고, 누가 보느냐를 당장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시청자로부터 직접 매출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_3장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장에서의 3국지
텔레비전을 보는 방법은 이것이 전부가 아니다. 모바일로 텔레비전을 보는 방법을 알아봐야 한다. 모바일로 텔레비전을 보는 방법으로는 우선 한때 활성화되었던 DMB가 있다. DMB는 라디오 방송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이 텔레비전 등 멀티미디어 부분까지 확장된 개념이다. … 2010년대 초반부터는 모바일로 TV를 본다는 개념의 모바일 TV, IPTV를 모바일화한 개념의 모바일 IPTV 등 시도가 있었고,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지금은 OTT의 하나로 분류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질은 모바일 TV, 모바일 IPTV 형태다. 넷플릭스와 같은 미국 대자본 OTT의 대항마 성격으로 포지셔닝이 바뀐 결과일 뿐이다. _4장 유료방송시장에서의 3국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