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왕경

왕경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은이)
샘터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2개 8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왕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왕경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4641881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4-10-24

책 소개

손정미 역사소설. 신라의 진골이자 화랑인 김유, 고구려 귀족에서 노비로 전락한 진수, 백제에서 온 비밀스러운 소녀 정. 세 사람은 저마다의 사연을 지닌 채 신라의 수도 왕경(경주)에서 운명처럼 얽힌다. 그들은 거병을 앞둔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제 나라의 명운 앞에 번뇌하고, 문득 찾아온 낯선 감정 앞에 망설인다.

목차

1부 _ 신수두 대제(大祭) / 도망자 / 왕경 / 영명부인 / 낭승(郎僧) 혜각 / 백제녀 / 귀신다리 / 달빛 / 낭도들 / 풍월주 / 고구려에서 온 노비 / 서역의 꿈

2부_ 사절유택(四節遊宅) / 백제 장군의 딸 / 여제(女帝) 선덕대왕 / 암살자 / 어둠 속의 그림자

3부_ 낯선 손님 / 백제의 공격

4부_ 장안(長安) / 서시(西市) / 유학생 / 사랑을 부르는 요초(瑤草) / 말갈소년 / 임무완수 / 사향을 바르고 / 불타는 사비성 / 낙타 위에서 / 약탈

작가의 말 / 신라 왕경도 / 6~7세기 삼국 주요 연표 / 참고 사진

저자소개

손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에서 영문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조선일보사에 입사해 사회부, 문화부, 정치부에서 20년 간 취재기자로 활동했다. 문학 담당 기자 시절 고(故) 박경리 선생으로부터 소설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았다.소설을 쓰기 위해 신문사를 퇴사해 2014년 삼국 통일 직전 경주를 무대로 한 역사 소설 《왕경》을 시작으로, 고구려 소설 《광개토태왕 1, 2》와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도공 서란》을 발표했다. 역사 소설 집필을 위해 만주와 중국 서안, 실크로드, 이란, 중앙아시아를 답사하는 등 스케일 큰 현장 답사와 사료 연구를 꼼꼼히 해오고 있다. 한국 문화재를 역사적 배경에서 다룬 《조선 막사발에서 신라 금관까지》를 쓴 계기로, 명성황후와 구한말 역사는 다시 씌여져야 한다는 생각에 《그림자 황후》를 집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웃통을 벗고 맨손으로 싸우는 수박(手搏)은 계집들이 더 흥분했다. 사내들이 맞붙어 겨루는 모습은 거칠지만 대단한 열기와 흥분을 자아냈다. 신음소리가 터져 나오고 뼈가 꺾이고 피가 튀었다. 여자들은 사내들의 울퉁거리는 근육을 보고 소릴 질렀고, 돌만큼 단단한 허벅지를 보며 발을 굴렀다.
수박에서 승리한 자들에게는 활쏘기에 참가할 수 있는 화살이 주어졌다. 화살을 받은 자들은 과녁을 정확히 뚫어야 했다. 참가자 대부분이 걸음마와 함께 활을 잡았지만 수만 명의 함성을 들으며 과녁을 맞히기가 쉽지 않았다.
“저 봐 저 봐! 영락없이 추모대왕(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이 살아 돌아온 것 같다이까.”
활을 들고 나서는 진수를 보며 누군가 말했다.
진수의 검고 짙은 두 눈은 과녁에 집중하고 있었다. 처음엔 목이 짧고 어깨가 벌어진 제우가 여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지만 진수가 나타나자 곧바로 그 빛을 잃었다. 제우의 위용도 남달랐지만 그건 진수가 없을 때 빛날 뿐이었다.
- 1부 ‘신수두 대제(大祭)’


이때 정은 영명부인의 금입택(金入宅)에 들어서고 있었다.
정은 영명부인의 집을 보고서야 비로소 왕경의 금입택이 어떤 건지 알 수 있었다.
왕경 귀족들은 대저택을 화려하게 꾸미기 위해 지붕과 기둥에 금을 입혔고 이 때문에 금입택이라는 말이 붙었다. 금입택은 서로 맞닿아 있어 해가 찬란하게 뜰 때면 부근 전체가 황금의 나라처럼 빛났다.
금입택에 사는 귀족들은 당에까지 알려진 왕경 장인들의 목걸이와 귀고리 팔찌를 차고, 장안에서 들여온 비단옷을 입었다. 말과 수레는 서역에서 들여온 안장과 등자, 고급 양모 깔개로 꾸며 위세를 드러냈다.
영명부인의 저택은 동서남북 네 곳에 문이 있고 오색(五色) 단청으로 꾸며 장대하면서도 현란했다. 기둥에 입힌 금으로 집 안 전체가 빛에 떠 있는 듯했고 천장은 절정의 기술을 가진 장인의 귀접이(목재의 뾰족 나온 귀를 살짝 깎거나 굴려 모양을 내는 것)였다. 침향목(수마트라산 향목)으로 누각을 만들고 사향과 유향을 진흙과 섞어 바른 벽에서는 말할 수 없는 향기가 번져 나왔다.
- 1부 ‘영명부인’


“바른대로 말하거라.”
“공을 보러 왔다고 하지 않소.”
“벗어라.”
“뭐요?”
“벗거라. 야심한 시각에 날 보러 왔다며. 네 스스로 벗거라.”
김유는 장도를 빼들어 시퍼런 날을 정에게 들이댔다.
‘너 또 몰래 서책을 가지러 왔구나! 훔치려고 했지? 몇 번이나 타일렀느냐. 서책에 대한 너의 탐심이 큰일을 내겠다.’
정은 순간 숙부의 노여워하던 눈빛이 떠올랐다. 쿵 하는 절망감과 함께 아래서 뭔가 울컥 치밀어 올랐다.
아 모든 게 내가 한 짓이로다.
“내가 벗기랴?”
김유가 튀듯이 정에게 달려들었다.
김유를 필사적으로 밀쳐낸 정은 자신의 옷고름을 잡아 뜯고 불을 신경질적으로 껐다.
열린 문틈으로 달빛이 차 들어왔다.
저고리를 벗자 정의 풍만한 가슴이 흰 구름처럼 흘렀다. 푸르스름한 빛 속을 헤엄치는 한 마리 신이(神異)한 인어 같았다. 군살 하나 없이 딱 바라진 어깨 아래로 잘록한 허리가 지나치게 좁았다.
김유는 정의 어깨를 누르며 두 눈을 사납게 내려다보았다.
이제 정은 부끄럽지도 두려워하는 기색도 없이 김유를 맹렬히 쏘아보았다. 까만 조약돌에 박힌 금강석처럼 투명하게 빛나는 눈이었다.
- 1부 ‘달빛’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