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47274616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4-03-02
책 소개
목차
제1부 글로벌경영의 배경
제1장 글로벌화와 글로벌경영 / 18
제1절 글로벌화의 개념과 의의 / 18
제2절 글로벌화의 촉진요인 / 20
1. 교통과 기술의 발전 / 21
2. 시장경제의 확산과 글로벌 경쟁의 심화 / 21
3. 사회구조의 상호의존성 증대와 소비자수요의 동질화로 인한 소비자압력의 증가 / 22
4. 무역과 투자 장벽의 축소 / 22
5. 국제경영을 보조하는 서비스 부문의 증가 / 23
제3절 세계화 측정지수(Globalization Index) / 23
1. AT커니와 Foreign Policy의 세계화 지수 / 24
2. KOF Index of Globalization / 25
3. 두 지수의 비교 / 26
4. 한국의 세계화 순위 / 27
제4절 글로벌경영 / 29
1. 글로벌경영의 의미 / 29
2. 글로벌경영의 범위 / 30
제2부 글로벌기업과 글로벌환경
제2장 다국적기업과 글로벌기업 / 38
제1절 다국적기업의 정의와 발전 / 38
제2절 다국적기업의 특징 / 40
1. 거대한 기업규모 / 40
2. 기술력의 보유 / 41
3. 세계적 생산 및 판매망 구축 / 41
4. 계층화 / 42
5. 집권화 / 42
제3절 다국적기업의 공과 / 43
1. 다국적기업의 공적 / 43
2. 다국적기업에 대한 비판 / 45
제4절 기업의 국제화 과정과 글로벌기업 / 48
1. 국내기업 / 48
2. 수출기업 / 49
3. 다국적기업 / 49
4. 글로벌기업 / 50
제3장 글로벌 기업환경분석 / 58
제1절 글로벌 기업환경분석의 개요 / 58
1. 글로벌 기업환경분석의 중요성 / 58
2. 글로벌 시장 환경평가를 위한 경영자의 과업 / 59
제2절 글로벌기업의 외부환경평가 / 64
1. 거시적 환경 / 64
2. 미시적 환경 / 66
3. 외부환경평가 모델 : Five Forces Model / 68
제3절 글로벌기업의 내부환경평가 / 71
1. 자사의 강·약점 분석 / 71
2. 내부환경평가 모델 : VRIO 모형 / 73
제3부 글로벌기업 경영의 이해
제4장 국제무역의 이해 / 80
제1절 국제무역의 개념과 중요성 / 80
1. 국제무역의 개념 / 81
2. 국제무역의 중요성 / 82
제2절 국제무역이론 / 84
1. 절대우위론 / 84
2. 비교우위론 / 85
3. 헥셔-오린의 요소부존이론 / 87
제3절 국제무역의 변천과정과 동향 / 88
1. 국제무역의 변천과정 / 88
2. 국제무역의 동향 / 93
제4절 국제무역의 특성과 유형 / 101
1. 국제무역의 성격과 특징 / 101
2. 국제무역의 유형 / 106
제5절 인터넷무역 / 112
1. 인터넷무역의 등장과 역할 / 113
2. 인터넷무역의 개념 / 114
3. 전통적 무역거래방식과 인터넷무역방식의 차이 / 115
4. 인터넷무역의 경제적 효과와 해결과제 / 116
제5장 해외직접투자의 이해 / 126
제1절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유형 / 126
1. 해외직접투자의 정의 / 126
2. 해외직접투자의 유형 / 128
제2절 해외직접투자의 동기와 과정 / 131
1. 현지 입지활용 동기 / 131
2. 독과점적 우위활용 동기 / 132
3. 내부화 동기 / 133
제3절 해외직접투자의 이론 / 134
1. 독점적 우위이론 / 135
2. 내부화이론 / 136
3. 절충이론 / 138
4. 해외직접투자 및 국제화에 관한 최근 연구 / 140
제4절 해외직접투자의 정책과 영향 / 144
1. 해외직접투자의 영향 / 144
2. 현지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 / 149
제4부 글로벌기업과 국제경제통상 환경
제6장 WTO와 뉴어젠다 / 158
제1절 WTO의 출범과 영향 / 158
1. WTO의 출범 / 159
2. WTO의 목표와 원칙 / 161
3. WTO출범의 영향 / 165
제2절 WTO의 주요 협정과 내용 / 167
1. 상품무역에 관한 협정 : GATT / 167
2. 서비스무역에 관한 협정 : GATS / 169
3. 지적재산권 협정 : TRIPs / 170
제3절 GATT와 WTO의 다자간무역협상 / 172
1. GATT의 다자간무역협상 / 173
2. WTO의 다자간무역협상 / 175
제7장 지역경제통합과 한국의 FTA / 190
제1절 지역경제통합의 개념과 유형 / 190
1. 지역경제통합의 개념 / 190
2. 지역경제통합의 유형 / 191
제2절 지역경제통합의 효과 / 193
1. 지역경제통합의 긍정적인 효과 / 194
2. 지역경제통합의 부정적인 효과 / 195
제3절 지역경제통합의 현황과 사례 / 197
1. 지역경제통합의 현황 / 197
2. 지역무역협정 확산의 배경 / 201
3. 지역경제통합의 사례 : 유럽연합(EU) / 202
제4절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활용전략 / 207
1. 한국의 FTA 추진현황 / 207
2. 한국기업의 FTA 활용전략 / 208
제8장 국제금융환경 / 214
제1절 국제통화제도와 환율제도의 변천 / 214
1. 국제금본위제도의 시대 : 1876년~1913년 / 214
2. 국제통화제도의 혼란기 : 1914년~1944년 / 215
3. 브레턴우즈체제 : 1945년~1973년 / 216
4. 절충 통화협정과 변동환율제도로의 이행 : 1973년~현재 / 217
제2절 국제금융시장 / 219
제3절 외환시장과 환위험 / 221
1. 외환시장의 의의 / 221
2. 외환시장의 기능 / 223
3. 외환시장의 참여자 / 225
4. 외환시장의 종류 / 226
5. 환위험과 환노출의 개념 / 229
제4절 파생금융상품의 이해 / 230
제9장 국제자원환경 / 236
제1절 세계 석유시장의 전망과 동향 / 236
1. 고유가 시대의 도래 / 237
2. 자원민족주의의 부활 / 241
3. 한국기업의 해외 자원개발 추진현황 / 243
제2절 세계 곡물시장의 현황과 전망 / 246
제3절 세계 그린에너지산업의 현황과 전망 / 250
제5부 글로벌기업과 문화·법·정치환경
제10장 문화적 환경 / 258
제1절 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 / 258
1. 문화의 개념 / 258
2. 문화의 구성요소 / 260
제2절 문화적 환경의 분석모형 / 273
1. 홀(E. T. Hall)의 분석모형 / 273
2. 홉스테드(G. Hofstede)의 분석모형 / 276
제3절 문화의 속성과 이문화간 비즈니스 협상관리 / 281
1. 문화의 속성 / 282
2. 이문화간 비즈니스 협상관리 / 285
제11장 법적 환경 / 294
제1절 글로벌 법적 환경의 의의와 구조 / 294
제2절 글로벌 법적 체계와 법적 분쟁해결방법 / 296
1. 영미법과 대륙법의 차이 / 296
2. 재판관할권과 준거법 / 299
3. 법적 분쟁해결방법 / 300
제3절 글로벌 법적 환경의 주요 내용 / 302
1. 현지국의 법률적 문제 / 303
2. 관세와 비관세정책 / 304
3. 일반특혜 관세제도 / 310
제4절 글로벌 위조상품 문제 / 313
1. 위조상품의 개념 / 314
2. 위조상품의 글로벌 유통현황과 영향 / 314
3. 위조상품에 대한 기업의 대응방안 / 316
제12장 정치적 환경 / 322
제1절 정치적 환경의 개념과 유형 / 322
1. 정치적 위험의 개념 / 323
2. 정치적 위험의 원천과 유형 / 324
제2절 정치적 위험의 주요 내용과 평가 / 329
1. 정치적 위험의 주요 내용 / 329
2. 정치적 위험의 평가 / 334
제3절 정치적 위험의 관리 / 338
1. 진출 전 정치적 위험의 관리방안 / 338
2. 진출 후 정치적 위험의 관리방안 / 340
제6부 글로벌 환경변화의 위협과 한국기업의 성과
제13장 글로벌 환경규제와 환경협약 / 346
제1절 글로벌경영과 환경문제 / 346
1. 환경문제와 환경규제 / 346
2. 환경규제의 각국 입법 동향과 규제사례 / 348
제2절 글로벌 환경규제의 영향 / 352
1. 국제환경규제의 부정적 영향 / 352
2. 국제환경규제의 긍정적 영향 / 353
제3절 글로벌 환경협약 / 355
1. 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 / 356
2. 바젤협약 / 359
3. 비엔나협약과 몬트리올의 정서 / 359
4. 생물다양성보존협약 / 360
5. 람사르협약 / 361
제4절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 363
1. 탄소배출권의 개념과 배출권 거래 / 363
2. 각국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현황 / 366
제14장 글로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 370
제1절 기업 사회적 책임의 개관 / 370
1. 기업 사회적 책임의 정의 / 370
2. 기업 사회적 책임의 등장배경 / 371
3. 글로벌 기업 사회적 책임의 범위 / 373
4. 기업 글로벌화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 376
제2절 국제기구의 CSR정책 동향 / 378
1. UN의 Global Compact / 378
2. 국제표준기구의 ISO 26000 / 379
3. 유럽연합의 CSR정책 동향 / 382
4. 미국의 CSR정책 동향 / 383
5. 한국의 CSR정책 동향 / 385
제3절 기업의 글로벌 CSR전략 / 387
1. 기업경쟁력과 글로벌 CSR / 387
2. 한국기업의 글로벌 CSR전략 방안 / 388
제15장 한국기업의 글로벌화 현황 / 396
제1절 한국경제의 글로벌화와 성과 / 396
제2절 한국기업의 글로벌화 현황과 위상 / 401
1. 수출 현황 / 401
2. 해외직접투자 현황 / 406
참고문헌 / 414
찾아보기 / 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