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4728133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6-12-29
책 소개
목차
서문
화제편(畵題篇)
1. 화제란!
2. 그림의 소재가 갖는 의미
1) 뜻의 항목별 분류
2) 개체별로 갖는 상징의 뜻
3) 복합성화 된 그림의 뜻
3. 공통적인 화제
4. 소과의 한자명
5. 사군자
1) 난(난초)
2) 죽(대나무)
3) 매(매화)
4) 국(국화)
6. 산수화
1) 사계 공통
2) 춘(봄)
3) 하(여름)
4) 추(가을)
5) 동(겨울)
7. 화조화
1) 화훼(花卉)
(1) 수선화
(2) 동백
(3) 철쭉
(4) 복숭아꽃
(5) 버드나무
(6) 목련 52
(7) 자목련
(8) 등꽃 53
(9) 협죽도
(10) 나팔꽃
(11) 불두화
(12) 수국화
(13) 창포
(14) 백합
(15) 모란(목단)
(16) 무궁화
(17) 능소화
(18) 장미
(19) 연꽃
(20) 해바라기
(21) 맨드라미꽃
(22) 부용화
(23) 오동
(24) 파초
(25) 갈대
(26) 소나무
2) 소과(蔬果)
(1) 수세미
(2) 조롱박
(3) 참외
(4) 수박
(5) 호박
(6) 복숭아
(7) 비파
(8) 포도
(9) 감
(10) 밤
(11) 석류
(12) 여지
(13) 불수감
(14) 배
3) 초충(草蟲)
(1) 초충
(2) 나비
(3) 잠자리
(4) 사마귀
(5) 매미
4) 어개(魚介)
(1) 물고기
(2) 잉어
(3) 새우
(4) 게
(5) 가재
(6) 조개
(7) 개구리
5) 조류(鳥類=새)
(1) 화조
(2) 참새
(3) 까치
(4) 꾀꼬리
(5) 비둘기
(6) 닭
(7) 금계
(8) 꿩
(9) 학
(10) 두견
(11) 노안
(12) 오리
(13) 원앙
(14) 백로
(15) 제비
(16) 매
(17) 독수리
(18) 앵무
(19) 공작
(20) 팔가조, 구관조
(21) 백두조
(22) 물총새
6) 축수(畜獸=가축), 주수(走獸=길동물)
(1) 소
(2) 말
(3) 개
(4) 사자
(5) 다람쥐
(6) 토끼
(7) 양(염소)
(8) 코끼리
(9) 고양이
(10) 사슴
(11) 호랑이
(12) 원숭이
8. 화제 필서의 예
1) 사군자
(1) 한글화제
(2) 한자화제
① 난
② 죽
③ 매
④ 국
2) 산수화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9. 낙관의 제관과 인장
1) 낙관이란!
2) 제관의 내용
3) 제관의 글씨
4) 제관의 위치와 그 작용
5) 제발에 필요한 내용
(1) 나이, 즉 연령에 관한 별칭
(2) 생신과 수연에 물품을 보낼 때 쓰는 글
(3) 존칭과 별칭에 쓰는 글
(4) 암호나 재호의 별칭
(5) 결혼기념일의 별칭
6? 세재(시재)의 표현
(1) 육십갑자
(2) 계절의 별칭
(3) 월별의 별칭
(4) 세재의 각 육갑 120년 조견표
구도편(構圖篇)
1. 구도에 대하여
2. 구도의 일반원리
1) 취함과 버림의 관계
2) 주객의 위치와 대소
3) 개합과 기세의 관계
4) 여백과 대소의 관계
5) 형상들의 호응 관계
6) 흑백과 허실의 관계
7) 소밀과 경중의 관계
8) 분산과 집합의 관계
9) 감춤과 노출의 관계
10) 화면의 변각 처리
3. 여러 화면의 형식
1) 여러 가지의 화면
2) 장권과 횡폭의 처리법
3) 부채화면의 처리법
4) 여러 화면들의 도형
5) 그림의 화면(캔버스) 규격
4. 산수화의 구도
1) 일반 산수화의 구도
2) 산수의 삼원법 구도
3) 산수화의 7가지 관찰법
5. 화조화와 문인화의 구도
1) 삽입과 교차
2) 성김과 빽빽함
3) 분산과 집중
4) 점
5) 절지와 화면 밖의 관계
6) 절지화의 구도
(1) 팔위출지법
(2) 구도의 균형관계
(3) 구도의 여러 형식
(4) 절지화의 3 : 7 구성
(5) 나쁜 구도에 변화를 주어 바르게 한 예
(6) 선에 의한 구도
(7) 팔위출지법상의 배치요령(새)
(8) 구도법에 따른 점, 선, 면의 운용
감상편(鑑賞篇)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