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47282994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18-12-28
책 소개
목차
제1편 총설 - 인적자원관리 입문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및 업무 영역
제2장 인사담당자의 역할
1. 경영목표와 인사전략이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 15
2. 인사부서내의 방침 및 인사전략을 숙지한다. / 15
3. 회사 내의 각 부문들의 업무 및 역할을 이해한다. / 16
4. 인사실무의 전문가를 지향한다. / 17
5.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지식과 지혜가 필요하다. / 17
6. 각 부문별 주의사항 / 18
7. 인사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 및 업무자세 / 20
제3장 선진적인 인적자원관리 Concept : IBM 사례를 중심으로
1. 인원배치-Staffing / 23
2. 육성-Developing / 23
3. 동기부여-Motivating / 23
4. 권한의 위양-Delegation / 24
5. Employee Relations / 24
6. 안전/건강-Safety/Health / 24
7. 회사 재산의 보전과 기밀 유지-Security / 24
8. 기회 균등-Equality / 25
9.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 25
10. 자기 계발-Personal Edification / 25
제2편 근로자 채용 실무
제1장 근로자 채용 시 주의하여야 할 법률문제
1. 채용 시 남녀 차별 금지 / 29
2. 근로계약서의 작성 / 29
3. 건강진단의 실시 / 30
4. 기타 채용 시 유의사항 / 30
제2장 핵심 인재 스카웃과 부정경쟁방지법 저촉 문제 대응 방안
1. 핵심 인재 스카웃과 부정경쟁방지법 관련 문제 / 32
2. 핵심 인재 스카웃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법률적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 / 34
3. 핵심 인재 스카웃 후 해당 직원의 종전 직장에 대한 채권정산 문제 / 41
제3장 기타 근로자 채용에 있어서 주의하여야 할 사항
1. 채용 시 연령 상한선을 가급적 없앨 것 / 42
2.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가 채용 가부 결정에 개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용 가부 결정 시 고려한 객관적 주요 요인들에 대하여 명확히 입증 준비해놓을 것 / 43
3. 합리적인 사유 없이 일방적으로 채용 과정을 중단하지 않을 것 / 43
4.국가보훈처장의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취업보호대상자 고용명령 시 대응방안 / 44
제3편 근로계약체결과 적정 근로조건의 결정
제1장 근로계약의 의의와 근로관계 규율의 기초
제2장 근로계약의 기본적 내용과 근로계약 체결 시 명시하여야 할 사항
제3장 근로계약체결 시 유의사항
제4장 적정 근로조건 결정과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
1. 계약직 내지 임시직(또는 일용직)인 경우 / 52
2. 연소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근로계약서 작성방법과 구비서류 예시 / 60
3. 각종 법정수당을 포함하여 지급하는 경우 등 포괄임금제에 관하여 / 67
4. 종사할 업무 및 근무 장소의 지정에 관하여 / 70
5. 근무시간 및 휴일, 연차휴가 등에 관하여 / 72
6. 징계 및 해고와 퇴직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 75
7. 기타 근로계약서에 명시할 사항들에 대하여 / 75
제4편 근로계약체결 후 퇴직까지의 인적자원관리 운용방안
제1장 근로기준법의 주요 원리․개념과 사용자의 기본 의무
1. 근로조건의 기준․결정․준수(근로기준법 제3조, 제4조, 제5조) / 79
2. 균등처우(법 제6조) / 82
3. 강제근로의 금지(법 제7조) / 86
4. 폭행의 금지(법 제8조) / 87
5. 중간착취의 배제(법 제9조) / 88
6. 공민권 행사의 보장(법 제10조) / 90
7. 근로기준법의 적용관계 / 92
8.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와 사용자의 개념 / 97
제2장 업무적격성에 대한 판단과 정식채용 가부 결정
제3장 취업규칙의 작성과 운용
1. 취업규칙의 의의 및 효력 / 111
2. 취업규칙에 기재하여야 할 사항 / 112
3. 취업규칙의 작성․변경 및 신고 / 113
4. 취업규칙 작성․변경 및 노동부 신고 실무 / 119
제4장 임금․퇴직금 및 각종 법정 수당의 결정과 지급
1. 임금관리 개요와 임금관리의 3원칙 / 128
2. 임금 체계 및 수준 관리와 적정인건비 산정 / 129
3.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정의와 종류 및 임금에 대한 법적 보호․규제 / 141
4. 법정 수당과 포괄임금제 / 173
5.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한 임금체계 개선 / 207
6. 임금채권 우선변제제도와 임금채권보장제도 / 217
제5장 인센티브 등 성과배분제의 도입과 운영
1. 성과배분제의 의의 / 228
2. 성과배분제 도입의 취지 / 229
3. 성과배분제 도입 방안 (성과급 지급 방안) / 230
4. 지급방식의 결정 / 233
5. 인사고과표 작성례(안) / 236
6. 성과급에 관련한 법률적 문제 검토 / 245
7. 성과급 도입 및 운영 사례 분석 / 248
제6장 근로시간 및 휴일․휴가
1. 근로시간의 개념 / 283
2. 연장․야간․휴일근로와 가산임금 및 보상휴가 등 / 287
3. 근로시간의 유연화 내지 탄력화 / 288
4. 휴게시간 / 313
5. 휴일 및 휴가 / 317
제7장 업무지시 및 인사․승진․승급 등에 관한 사항
1. 인사 일반 / 363
2. 노무지휘권에 기한 일반적 업무명령 / 364
3. 승진․승급 및 강급 / 398
4. 휴직 / 398
5. 대기발령(직위해제 내지 보직해임 등) 및 교육명령 / 407
6. 전보 및 전직 / 419 7. 전출 및 전적 / 429
8. 기타 인사권에 기한 포괄적 업무명령 / 444
제8장 평가제도의 설계와 운용
1. 평가제도의 목적 및 구조 / 445
2.인사고과의 차원 / 446
3. 평가방법 / 447
4. 개인고과 / 448
5. 태도평가 / 449
6. 능력평가(역량평가) / 451
7. 업적평가 / 453
8.부서 업적평가-부서목표카드 / 456
9.고과평가 결과에 대한 가․감제도 / 457
10. 평가과정 및 고과점수의 계산 / 458
제9장 직무발명에 관한 보상관리
1. 직무발명의 의의와 규율방식 / 460
2. 직무발명에 관한 규율 법규 / 461
3. 직무발명의 성립 요건 / 461
4. 직무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통상실시권 / 464
5. 종업원에 대한 정당한 보상 / 464
제10장 교육․훈련 등 근로자 직업능력개발과 교육비 등 처리 문제
1.사내 교육․훈련 체계의 구축과 운용 / 482
2.교육․훈련과 관련한 고용보험 등 정부지원 제도 / 520
3.교육․훈련 및 연수 후 계속 근무의 유도 / 528
제11장 여성 및 연소자에 대한 특별보호
1. 최저 연령과 취직인허증 / 540
2. 사용 금지 / 540
3. 연소자 증명서 등 비치 / 542
4. 미성년자의 근로계약 체결과 임금의 청구 / 542
5. 여성 및 연소자의 근로시간 등 / 543
6. 갱내근로의 금지(근로기준법 제72조) / 543
7. 생리휴가 및 출산휴가 등(근로기준법 제73조 내지 제75조) / 544
제12장 업무상 재해 발생 시 처리 방안
1. 산업재해의 의의 및 업무상 재해 인정 기준 / 545
2. 산업재해 처리 절차 및 산재 요양 종결 후의 업무 복귀 문제 / 549
제13장 기숙사 운영과 복지후생 관리
1. 기숙사 운영(근로기준법 제98조 내지 제100조) / 556
2. 복지후생 관리 / 557
제14장 사내근로복지기금 및 우리사주제도
1. 사내근로복기금 / 566
2. 우리사주제도 / 588
제15장 포상․징계․해고 및 퇴직 등
1. 포상 및 징계 / 606
2. 퇴직 및 해고 / 647
제16장 근로관계 종료 시 금품 청산 등 잔여 사안 처리
1.4대보험 상실 신고와 근로자에 대한 실업급여 신청 문제 / 696
2.회사의 근로자에 대한 금품 청산 등 / 697
3.근로자의 회사에 대한 각종 물품 등 반환 의무 / 702
4. 사용증명서 교부 및 취업방해 금지 등 / 703
제17장 합병․분할․영업양도 및 아웃소싱 등 경영합리화 조치와 그에 따른 노사관계의 규율 등
1. 기업의 인수․합병 및 분할․영업양도 / 704
제5편 노사협의회를 통한 노사화합의 실현
제1장 노사협의회 제도의 기본 이론
1. 노사협의회의 의의 / 723
2. 노사협의회와 노동조합과의 이원성 / 724
3. 단체교섭과 노사협의회의 비교 / 724
4. 노사협의제도 운영의 원칙 / 725
제2장 노사협의회의 운영
1. 노사협의회 관련 법률 규정 개정 경과 / 726
2. 노사협의회의 구성 / 726
3. 노사협의회의 운영 / 728
제3장 노사협의회 협의사항
1. 협의사항(법 제20조) / 730
2. 협의사항의 내용 / 731
3. 노조 요구 안건의 처리방법(노조가 있는 기업의 경우) / 735
4. 협의결과 합의된 사항의 이행의무 / 735
5. 협의사항에 있어서의 문제점 / 736
제4장 노사협의회 의결사항
1. 의결사항(법 제21조) / 737
2. 의결사항의 내용 / 737
3. 의결사항은 대부분 본사 노사협의회 소관사항이다. / 738
4. 의결의 강제 / 738
제5장 노사협의회의 보고사항
1. 보고사항(법 제22조) / 739
2. 보고사항의 내용 / 739
3. 회사의 보고의무 등 / 740
제6장 노사협의회 규정 및 각종 서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