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치학 방법론

정치학 방법론

(비판적 사고 입문서)

임성호 (지은이)
형설출판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치학 방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치학 방법론 (비판적 사고 입문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4728592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1-12-24

책 소개

정치학 분야의 방법론을 다루는 책이다. 주로 정치에 관련된 현상, 제도, 행태를 염두에 두고 방법론을 다루지만, 그 논의는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말하자면, 학문전반의 방법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목차

서론 3

CHAPTER 1 방법론이란?
1. 방법론의 출발선: 의문(퍼즐) 23
2. 방법론의 의미: 4대 키워드 25
1) 지식 _ 27
2) 과정 _ 29
3) 논리 _ 29
4) 명시성 _ 30
3. 방법론의 중요성 31
4. 방법론의 특성 겸 한계: 불완전성 33
5. 방법론의 핵심: 일반화 35
6. 방법론의 함정 37

CHAPTER 2 ‘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이란?
1. 사회과학 등장의 역사적 배경: 합리주의 44
2. ‘정치과학’의 확산: 행태주의와 탈행태주의 50
3. ‘과학적’ 지식의 특성 54
4. 과학화의 한계 61
5. 과학주의의 대안적 관점 63
1) 해석주의 _ 64
2) 융합적․전체론적 관점 _ 71
6. 연구과정의 개관 76

CHAPTER 3 이론(주장)을 어떻게 세울까?
1. 이론과 가설 81
2. 이론(주장)의 목적 85
1) 서술 _ 86
2) 설명 _ 89
3) 예측 _ 94
3. 이론(주장) 정립의 기준 97
1) 구체성 _ 98
2) 정확성 _ 100
3) 정밀성 _ 101
4) 일반성 _ 103
5) 심층성 _ 104
6) 간략성 _ 106
7) 분석적 효용성(이론적 연계성) _ 107
8) 참신성 _ 111
9) 이해용이성 _ 113
10) 적실성 _ 113
11) 기준 간의 상쇄효과(trade-off) _ 117
12) 서술적 분류를 위한 추가적 기준들 _ 118
4. 인과관계의 정립 122
1) 인과관계의 의미 _ 122
2) 인과관계의 구성요소 _ 125
3) 인과관계 정립의 기준(조건) _ 128
5. 인과관계의 논점 132
1) 관찰오류 _ 132
2) 동어반복 _ 136
3) 내인성 _ 137
4) 중요한 변인의 누락, 불필요한 변인의 포함 _ 142
5) 비교역사방법 논쟁 _ 145
6)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 _ 148
7) 원인의 다양한 형태 _ 149
8) 인과관계의 강약과 대소 _ 157
6. 인과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 158

CHAPTER 4 개념을 어떻게 정의 내릴까?
1. 개념이란? 169
2. 개념 정립의 기준 174
1) 일관성 _ 175
2) 차별성 _ 176
3) 구체성 _ 177
4) 타당성 _ 178
5) 유용성, 적실성 _ 179
6) 반향성 _ 182
7) 간략성 _ 183
8) 포괄성 _ 184
9) 기준들 간의 상쇄관계 _ 185
3. 개념 정의 내리기의 전략 186
4. 조작 정의 188
5. 개념의 유형 구분 193

CHAPTER 5 연구 설계를 어떻게 짤까?
1. 연구 설계의 구성과 필요성 200
2. 연구 설계의 유형 201
1) 횡단 분석과 개입변인의 통제 _ 202
2) 종단 분석과 시대구분 _ 204
3) 패널 분석과 비교의 명암 _ 206
4) 사례 분석과 분석단위 _ 208
3. 연구 설계의 기준 209
1) 다수성 _ 209
2) 범위 적절성 _ 211
3) 비교가능성 _ 213
4) 상호독립성 _ 216
5) 대표성 _ 218
6) 변이성 _ 219
7) 분석적 효용성 _ 223
8) 반복가능성 _ 225
9) 인과경로의 추적 _ 226
10) 대안의 비교 _ 228
11) 기준들의 상쇄효과 _ 229
4. 비교방법 230
1) 비교방법의 의미 _ 231
2) 비교방법의 목적 _ 234
3) 비교방법의 필요성 _ 240
4) 비교방법의 전략: 사례 수, 관점, 분석단위, 개념 정립, 이론 정립 _ 243
5) Large-N 비교방법: 실험방법, 통계방법 _ 253
6) Small-N 비교방법: 이원 비교, 비교사례 연구 _ 258
7) Medium-N 비교방법: QCA _ 263
8) 범위 설정과 사례 선택에 의한 비교방법 _ 267
9) 요인설계(Factorial Design)에 의한 비교방법 _ 276
10) 비교방법의 한계 _ 279
11) 비교방법의 발전 지평 _ 282
5. 사례연구 방법 284
1) “단일” 사례연구의 모호한 의미 _ 284
2) 사례연구의 목적(의의)과 사례 선택의 중요성 _ 286
3) 사례연구의 유형 1: 이론화 수준이 낮은 경우 _ 288
4) 사례연구의 유형 2: 이론화 수준이 중간인 경우 _ 291
5) 사례연구의 유형 3: 이론화 수준이 높은 “중대”(critical) 사례연구 _ 295
6) 사례연구의 추가 논점 _ 300

CHAPTER 6 현상 관찰을 어떻게 할까?
1. 관찰대상의 선택과 추출 305
1) Small-N 연구의 관찰대상 선택 _ 305
2) 표본추출의 필요성과 한계 _ 308
3) 확률표본의 추출 _ 310
4) 비확률표본의 추출 _ 314
2. 서베이 317
1) 서베이의 의미, 취지, 한계 _ 317
2) 서베이 설문(내용) 작성 _ 321
3) 서베이 형식과 구성 _ 328
4) 서베이의 진행 _ 331
3. 인터뷰 336
1) 인터뷰의 의미, 취지, 한계 _ 336
2) 인터뷰 실행의 유의사항 _ 339
4. 델파이 조사 342
5. 문헌 조사 345
1) 문헌의 의미와 종류, 문헌조사의 장단점 _ 345
2) 문헌조사의 유의점, 문헌의 활용 _ 350
6. 직접 관찰 357
7. 비직접(간접) 관찰 362
8. 관찰결과의 종합 365

CHAPTER 7 연구결과를 어떻게 정리 ․ 기록할까?
1. 연구결과 정리의 5대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유의사항 373
2. 논문 ․ 보고서에 넣어야 할 요소 377
1) 제목 _ 377
2) 서론 _ 378
3) 연구 배경 _ 380
4) 이론적 틀 _ 382
5) 연구 범위와 방법 _ 384
6) 연구 내용 _ 386
7) 이론적 시사점 _ 388
8) 결론 _ 389
9) 주석 _ 390
10) 참고문헌 _ 392
11) 부록 ․ 보록 _ 392
12) 요약(초록) _ 393
3. 최종 제출․발표와 관련해 394

CHAPTER 8 덧붙이는 말: 탐구의 기본자세
1. 좋은 문제의식(연구 질문)이란? 399
2. 이론과 자료의 순환관계 403
3. 탐구 자세의 논점과 조화 405
1) 개인적 주체성, 사회적 과업 _ 405
2) 자료 중심적, 이론 중심적 _ 406
3) 방법 중심적, 문제 중심적 _ 407
4) 확증적, 탐색적 _ 408
5) 이상적, 현실적 _ 409
6) 학문적, 실용적 _ 410
7) 비판적, 건설적 _ 410

저자소개

임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미국 M.I.T. 정치학 박사 · 국회입법조사처장 (2014~16년) · 한국아메리카학회장 (2022~23년) · 한국정당학회장 (2009년) · 한국세계지역학회장 (2014년) ·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공저, 2015년), 『지구화 시대의 정당정치』 (공저, 2011년),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공저, 2010년)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