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성장과정과 미국

한국의 성장과정과 미국

임성호, 이유정, 염철현, 이수영, 현영찬, 채진원, 송경재, 서정건, 김춘희, 송낙원, 김수연 (지은이), 한국아메리카학회 (엮은이)
서강대학교출판부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600원 -10% 0원
1,700원
28,900원 >
32,300원 -5% 0원
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성장과정과 미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성장과정과 미국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72733904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3-11-10

책 소개

이 연구서는 그동안의 역사에만 시선을 고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급변하는 오늘날을 쳐다보고 또 미래를 내다보며 새로운 시대상황에 적합한 한미관계의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찾는 쪽으로도 시선을 넓게 돌린다.

목차

책머리에
서문 : 한국의 발전과정에서 미국 모델의 전략적 활용 ┃임성호┃

1장 한국의 발전 과정상 미국 물 질문화(material culture)의 의미와 영향: 식민지 시기(1910~1940)를 중심으로
┃이유정┃
1. 들어가며
2. 양적 데이터로 살펴본 식민지 조선 미국 관련 신문 기사
3. 『동아일보』·『조선일보』 外 근대 신문 소재 미국제품 판매 광고의 현황(1920~1940)
4. 직수입 미국제품의 의미
5. 나가며

2장 한국의 성장 과정상 미국 교육의 영향과 시사점 ┃염철현┃
1. 시작하며
2. 미국 교육의 영향
3. 종합 및 시사점

3장 한미관계와 미국 개신교의 영향 ┃이수영┃
1. 서론
2. 기독교 수용과 한국
3. 개신교 선교사와 조선 왕실
4. 개신교와 조선의 개화파
5. 미국식 문명화와 한국의 개신교
6. 미국의 자본주의적 가치와 한국 개신교
7. 결론: 친미· 반공 보수주의 개신교와 미국

4장 한국 자유민주주의 정치이념의 도입과정과 미국의 영향 ┃현영찬┃
1. 글머리에
2. 자유민주주의 사상의 본질과 국내 유입과정
3. 미 군정 기간의 자유민주주의 정착 과정
4. 미 군정의 인권보장 법령과 권리장전
5. 결론 - 미국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

5장 한국의 성장과정상 미국 지방자치·주민자치 구현이 주는 거버넌스적 의미 ┃채진원┃
1. 서론
2. 21세기 거버넌스와 충돌하는 중앙집권적 개발독재국가모델의 한계
3. 미국의 권력구조가 한국 주민자치·지방자치에 주는 거버넌스적 의미
4. 미국의 영향을 받은 한국 지방자치· 주민자치 맹아들
5. 결론

6장 한국의 디지털 민주주의와 미국의 영향: 기술의 수용과 변화 ┃송경재┃
1. 서론
2. 한국과 미국의 인터넷 개발의 인연
3. 한국과 미국의 디지털 민주주의 공진화
4. 소결

7장 미국 대통령의 전 시(戰時) 리더십이 한국에 미친 영향: 트루먼(Truman) 대통령과 한국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서정건┃
1. 서론
2. 미국 대통령 연구와 트루먼 리더십
3. 한국 전쟁과 트루먼 대통령, 그리고 리더십 딜레마
4. 소결

8장 ‘아메리칸 리얼리즘’과 한국 근대 소설의 방향성: 헨리 제임스의 코스모폴리타니즘과 김남천의 수용 방식을 중심으로 ┃김춘희┃
1. 들어가며: 주제 설정
2. 문제제기: 미국 작가 헨리 제임스에 관한 한국 근대 소설
3. 한국 근대 소설 속의 헨리 제임스
4. 비평 대상으로서의 헨리 제임스
5. 근대성의 방향과 국제주의
6. 나가며: 유대 관계로서의 ‘ 부재의식’

9장 한국영화의 성장 과정상 미국의 의미와 영향: 미 군정기를 중심으로 ┃송낙원┃
1. 서론
2. 미 군정의 영화 정책과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작
3. 미 군정의 적산 불하를 통한 한국영화의 초기 산업화
4. 미 군정기 미국 문화 확산 정책과 할리우드 영화의 대규모 상영
5. 충무로 영화에서 일본 신파성의 잔재와 미국식 장르영화 도입의 어려움
6. 결론

10장 1950년대 한국 멜로드라마의 미국화와 코즈모폴리턴 스타일 ┃김수연┃
1. 들어가는 글
2. 1950년대 멜로드라마와 미국화
3. 멜로드라마와 스타일 비평
4. <비 오는 날의 오후 세 시>: 코즈모폴리턴 스타일과 윤리적 각색
5. 나오는 글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미국 M.I.T. 정치학 박사 · 국회입법조사처장 (2014~16년) · 한국아메리카학회장 (2022~23년) · 한국정당학회장 (2009년) · 한국세계지역학회장 (2014년) ·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공저, 2015년), 『지구화 시대의 정당정치』 (공저, 2011년),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공저, 2010년)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염철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행정 및 (미국)교육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www.cuk.edu) 인재개발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교육자는 ‘먼저 읽고 깨닫는 사람’이라는 신념으로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하고 이를 자신의 성찰로 연결시키려는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주된 학술적 관심 분야는 역사, 문화, 인권, 리더십 등이며 대표적인 저역서는 《교육논쟁 20》, 《다문화교육개론》, 《차별철폐정책의 기원과 발자취》, 《평생학습사회와 교육리더십》, 《학습예찬》, 《현대인의 인문학》(세종도서) 등이 있으며, 2022년부터 <인문의 힘 시리즈> 《인문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인문의 마음으로 세상을 읽다》, 《인문의 귀로 세상을 듣다》, 《인문의 언어로 세상을 말하다》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송낙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영화학과 교수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과에서 석사학위를, 한양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영화아카데미와 미국 AFI(American Film Institute)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산하 한국독립영화소위 위원과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한국영화교육학회, 한국디지털영상학회에서 이사를 맡고 있다. ≪서울신문?스포츠서울≫ 신춘문예 영화평론 부문에 당선(1994)해 영화평론가로 활동했다. 제6기 영화진흥위원회 위원과 독립영화전용관 인디플러스의 운영위원장을 역임했다. 제3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에서 수석프로그래머, 제4기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영화등급분류위원,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영화교육분과위원으로 일했다. 저서로는 『스마트폰과 디지털영상제작』(2015), 『시나리오 쓰기』(2014), 『오디션 연기와 모놀로그』(공저, 2014), 『영화 연출』(2013), 『배우 신성일』(공저, 2009), 『새 정부의 문화예술정책』(공저, 2008), 『한국영화기술의 역사』(공저, 2008), 『포스트 할리우드』(2007), 『영화 연출부 매뉴얼』(2007), 『영화 연출부를 위한 필수 문서 양식 65』(2007), 『남북한 영화사 비교연구』(공저, 2007), 『동아시아 영화』(공저, 2004)가 있다.
펼치기
채진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자. 한국정치학회 이사. 현재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다. 경희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비교정치학)를 받았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전담교수로 ‘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NGO와 정부관계론’, ‘정당과 선거’ 등을 강의했다. 한국주민자치학회 학술부회장을 지냈으며, 한국정치평론학회 연구이사, 공화주의 아카데미 이사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무엇이 우리 정치를 위협하는가』(2016), 『공화주의와 경쟁하는 적들』(2019), 『제왕적 대통령제와 정당』(2022), 『조국사태로 본 586 정치인의 세계관: 유교적 습속과 행태』(2025)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서정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대(오스틴)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미국 의회와 외교 정책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윌밍턴)University of North Carolina Wilmington에서 조교수(2007-2012)를 지냈으며 미국 우드로우 윌슨 센터에서 풀브라이트Fulbright 펠로우(2019)와 미국정치연구회 회장(2020)을 역임했고, 2025년 한국정당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국회의장실, 외교부, 통일부 자문위원이며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과 KBS 객원 해설위원 등을 지냈다. 단독저서인 『미국 정치가 국제 이슈를 만날 때』(서강학술총서, 2019)와 공저인 『미국 정치와 동아시아 외교 정책』(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은 모두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고 논문인 "The China Card: Playing Politics with Sino-American Relations (Political Science Quarterly 2012)"는 미국정치학회(APSA) 외교 정책 분야 최우수 논문(2009)으로 뽑혔다. 이외에 "Wedge Issue Dynamics and Party Position Shifts: Chinese Exclusion Debates in the post-reconstruction U.S. Congress, 1879-1882 (Party Politics 2011)," "미국 국내정치와 경제안보: 미국은 어떻게 중국을 견제하는가?(『국가전략』 2023),"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 외교의 잭슨주의 전환(『한국과 국제정치』 2017)" 등 다수의 공저와 논문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송경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디지털 민주주의(민주주의 기술), 디지털 사회혁신, 디지털 기술의 정치과정, 지역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사회』(공저, 2022, 사회평론아카데미), 『디지털 파워 2021: SW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공저, 2021, HadA) 등이 있다.
펼치기
송경재의 다른 책 >
이유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교수 하와이주립대 미국학 박사
펼치기
이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텍사스주립대학 미국학 박사
펼치기
현영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무역사신학연구소 대표 성균관대학교(법학)와 횃불트리니티신대원(M.Div.)을 거쳐 백석대대학원(역사신학) 박사
펼치기
김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코스모폴리탄 문화연구소 소장 연극/문화예술 평론가 프랑스 Paris-Sorbonne University 비교문학 박사
펼치기
김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문학·문화학과 교수 텍사스 A&M 대학 영문학 박사
펼치기
한국아메리카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