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정진민, 강신구, 최준영, 채진원, 서정건, 이현우, 안병진, 임성호 (지은이)
형설출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150원
14,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47276221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5-05-20

목차

서문 · 009


Ⅰ. 정당 이론과 한국 정당
▶ 한국의 새로운 정당모델: 대안 정당으로서의 유권자정당 _ 정진민
1. 서론 ·043
2. 선진 민주국가 및 후발 민주국가의 정당 변화와 유권자정당 · 048
1) 선진 민주국가 및 후발 민주국가의 정당 변화 · 048
2) 대안 정당으로서의 유권자정당 · 055
3) 한국의 대통령제 민주주의와 유권자정당 · 058
3. 유권자정당의 구조와 형태 · 063
1) 유권자정당의 문제의식과 정당 구조 · 063
2) 유권자정당의 형태: 유권자 중심의 개방된 정당과 원내 중심의 정책정당 · 067
4. 결론 · 070

▶ 대통령제 정부 형태에서 대중정당론의 적실성에 대하여 _ 강신구
1. 서론 · 077
2. 대중정당의 이상과 변질 · 084
3. 대통령제는 대중정당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사무엘스와 슈가트의 논의에 기초하여 · 091
4. 결론 · 102

▶ 대통령제 정당체제에서 매니페스토 운동의 한계 _ 최준영
1. 서론 · 107
2. 매니페스토 운동: 정책선거와 책임정당정치 · 110
3. 대통령제 통치구조와 매니페스토 간의 양립 불가능성 · 117
4. 대의민주주의 발전의 동력: 유권자정당 · 122
5. 결론 · 127

▶ ‘오픈프라이머리 정당 약화론’과 네트워크정당모델 _ 채진원
1. ‘오픈프라이머리 정당 약화론’ 재검토의 필요성 · 131
2. 오픈프라이머리 정당 약화론의 사례와 논거 · 136
1) 언론에 소개된 사례 · 136
2)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강한 반대론의 논거 · 138
3)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약한 반대론의 논거 · 140
3. 정당 약화론의 비판과 실체 규명에 대한 이론적 논의 · 142
4. 정당기능론으로 본 정당의 변화와 대중정당모델의 한계 · 149
5. 결론 · 158


Ⅱ. 미국 정당의 변화
▶ 후보 선출과 정당 조직의 연계 및 변화: 미국의 역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_ 서정건
1. 서론 · 169
2. 미국의 정당 조직 변화: 역사적 개관 · 171
3. 정당과 유권자 연계(linkage): 전략, 제도 및 정당건설 차원 · 177
1) 전략 차원 연계(strategic linkage) · 177
2) 제도 차원 연계(institutional linkage) · 180
3) 정당건설 차원 연계(party-building linkage) · 183
4. 정당과 후보 선출: 조직과 연계 차원 · 185
5. 결론 · 190

▶ 미국 정당의 양극화 평가: 약화(decline)인가 적응(adaptation)인가 _ 이현우
1. 서론 · 195
2. 미국 정당에 대한 평가 · 198
1) 고전적 평가 · 198
2) 현대적 평가 · 200
3. 미국 정치의 양극화 · 205
4. 미국 정치의 양극화와 정당 약화 · 211
5. 정당 약화의 평가 기준 · 218

▶ 정당정치의 혁신에 대한 시론: 미국과 한국의 민주당 사례를 중심으로 _ 안병진
1. 서론: 정당 혁신의 경로는 왜 차이가 나는가? · 223
2. 이론적 틀: 네트워크 정치의 시대 · 229
3. 미국의 사례: 갤빈의 정당 혁신 이론의 한계 · 237
4. 한국의 사례: 구호에 그친 네트워크 정치의 한계 · 247
5. 결론: 한국과 미국의 서로 다른 미래에 대한 전망 · 269


Ⅲ. 정당의 미래
▶ 정당 내 정파(faction) 문제와 정치 양극화: 탈산업시대 정당의 위험요소와 극복 방향 _ 임성호
1. 서론: 정당모델과 정파 · 277
2. 탈산업시대 정당의 성격: 모습의 변화, 기능의 존속 · 280
3. 탈산업시대 정당의 위험요소: 정파 경쟁의 부작용 · 285
4. 정파의 함정을 피하기 위한 방향 · 294
5. 결론 · 300

찾아보기 · 305
저자소개 · 309

저자소개

정진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무부 조약국, 아주국, 미주국, 주오스트리아 대사관 등에서 근무하였고, 한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미국정치연구회장, 한국정당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미국 UC버클리대학 방문학자 및 일본게이오대학과 쓰쿠바대학 객원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후기산업사회 정당정치와 한국의 정당발전』, 『한국의 정당정치와 대통령제 민주주의』, 『정당정치 변화와 유권자정당』, 「Korean-US Political Parallels and the Trump Presidency」 등이 있다.
펼치기
임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미국 M.I.T. 정치학 박사 · 국회입법조사처장 (2014~16년) · 한국아메리카학회장 (2022~23년) · 한국정당학회장 (2009년) · 한국세계지역학회장 (2014년) ·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공저, 2015년), 『지구화 시대의 정당정치』 (공저, 2011년),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공저, 2010년)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이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6년부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소장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비교정치과정, 미국 정치, 정치방법론이다. 《표심의 역습》, 《좋은 정부의 제도와 과정》, 《지방선거와 지방정부》, 《한국의 정치균열 구조》, 《좋은 정부와 정책 조응성》 등을 대표 집필했고 《한국의 정치 70년》,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등 다수의 책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안병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교수. 뉴스쿨 포 소셜 리서치 정치학 박사.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의 칼럼니스트를 역임했다. 미국과 한국 정치를 비교하며 “생태 공화주의” 등의 대안적 담론을 제기하고 있다. 공화주의의 새로운 제도적 구상으로서 『제4부의 상상력』(2024)을 출간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뉴욕 타임스≫ 등 해외 미디어들과도 수차례 인터뷰를 수행했다.
펼치기
최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약력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 주요 논문/저서 『견제와 균형: 인사청문회의 현재와 미래를 말한다』 (써네스트, 2013)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 나타난 정파적 특성” (『21세기정치학회보』, 2013)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와 미국의 위기” (『동서연구』, 2013)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보』, 2012)
펼치기
채진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자. 한국정치학회 이사. 현재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다. 경희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비교정치학)를 받았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전담교수로 ‘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NGO와 정부관계론’, ‘정당과 선거’ 등을 강의했다. 한국주민자치학회 학술부회장을 지냈으며, 한국정치평론학회 연구이사, 공화주의 아카데미 이사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무엇이 우리 정치를 위협하는가』(2016), 『공화주의와 경쟁하는 적들』(2019), 『제왕적 대통령제와 정당』(2022), 『조국사태로 본 586 정치인의 세계관: 유교적 습속과 행태』(2025)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강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약력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University of Rochester 정치학 박사 ◆ 주요 논문/저서 “Representation and Policy Responsiveness: The Median Voter, Election Rules and Redistributive Welfare Spending” (Journal of Politics, 2010) “어떤 민주주의인가? 제도와 가치체계의 조응을 통해 바라본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방향모색” (『한국정당학회보』, 2012) “A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Tests of Government Formation with Presidential Heads of State in European Democracies”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2013)
펼치기
서정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대(오스틴)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미국 의회와 외교 정책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윌밍턴)University of North Carolina Wilmington에서 조교수(2007-2012)를 지냈으며 미국 우드로우 윌슨 센터에서 풀브라이트Fulbright 펠로우(2019)와 미국정치연구회 회장(2020)을 역임했고, 2025년 한국정당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국회의장실, 외교부, 통일부 자문위원이며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과 KBS 객원 해설위원 등을 지냈다. 단독저서인 『미국 정치가 국제 이슈를 만날 때』(서강학술총서, 2019)와 공저인 『미국 정치와 동아시아 외교 정책』(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은 모두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고 논문인 "The China Card: Playing Politics with Sino-American Relations (Political Science Quarterly 2012)"는 미국정치학회(APSA) 외교 정책 분야 최우수 논문(2009)으로 뽑혔다. 이외에 "Wedge Issue Dynamics and Party Position Shifts: Chinese Exclusion Debates in the post-reconstruction U.S. Congress, 1879-1882 (Party Politics 2011)," "미국 국내정치와 경제안보: 미국은 어떻게 중국을 견제하는가?(『국가전략』 2023),"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 외교의 잭슨주의 전환(『한국과 국제정치』 2017)" 등 다수의 공저와 논문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