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47276221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5-05-20
목차
서문 · 009
Ⅰ. 정당 이론과 한국 정당
▶ 한국의 새로운 정당모델: 대안 정당으로서의 유권자정당 _ 정진민
1. 서론 ·043
2. 선진 민주국가 및 후발 민주국가의 정당 변화와 유권자정당 · 048
1) 선진 민주국가 및 후발 민주국가의 정당 변화 · 048
2) 대안 정당으로서의 유권자정당 · 055
3) 한국의 대통령제 민주주의와 유권자정당 · 058
3. 유권자정당의 구조와 형태 · 063
1) 유권자정당의 문제의식과 정당 구조 · 063
2) 유권자정당의 형태: 유권자 중심의 개방된 정당과 원내 중심의 정책정당 · 067
4. 결론 · 070
▶ 대통령제 정부 형태에서 대중정당론의 적실성에 대하여 _ 강신구
1. 서론 · 077
2. 대중정당의 이상과 변질 · 084
3. 대통령제는 대중정당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사무엘스와 슈가트의 논의에 기초하여 · 091
4. 결론 · 102
▶ 대통령제 정당체제에서 매니페스토 운동의 한계 _ 최준영
1. 서론 · 107
2. 매니페스토 운동: 정책선거와 책임정당정치 · 110
3. 대통령제 통치구조와 매니페스토 간의 양립 불가능성 · 117
4. 대의민주주의 발전의 동력: 유권자정당 · 122
5. 결론 · 127
▶ ‘오픈프라이머리 정당 약화론’과 네트워크정당모델 _ 채진원
1. ‘오픈프라이머리 정당 약화론’ 재검토의 필요성 · 131
2. 오픈프라이머리 정당 약화론의 사례와 논거 · 136
1) 언론에 소개된 사례 · 136
2)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강한 반대론의 논거 · 138
3)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약한 반대론의 논거 · 140
3. 정당 약화론의 비판과 실체 규명에 대한 이론적 논의 · 142
4. 정당기능론으로 본 정당의 변화와 대중정당모델의 한계 · 149
5. 결론 · 158
Ⅱ. 미국 정당의 변화
▶ 후보 선출과 정당 조직의 연계 및 변화: 미국의 역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_ 서정건
1. 서론 · 169
2. 미국의 정당 조직 변화: 역사적 개관 · 171
3. 정당과 유권자 연계(linkage): 전략, 제도 및 정당건설 차원 · 177
1) 전략 차원 연계(strategic linkage) · 177
2) 제도 차원 연계(institutional linkage) · 180
3) 정당건설 차원 연계(party-building linkage) · 183
4. 정당과 후보 선출: 조직과 연계 차원 · 185
5. 결론 · 190
▶ 미국 정당의 양극화 평가: 약화(decline)인가 적응(adaptation)인가 _ 이현우
1. 서론 · 195
2. 미국 정당에 대한 평가 · 198
1) 고전적 평가 · 198
2) 현대적 평가 · 200
3. 미국 정치의 양극화 · 205
4. 미국 정치의 양극화와 정당 약화 · 211
5. 정당 약화의 평가 기준 · 218
▶ 정당정치의 혁신에 대한 시론: 미국과 한국의 민주당 사례를 중심으로 _ 안병진
1. 서론: 정당 혁신의 경로는 왜 차이가 나는가? · 223
2. 이론적 틀: 네트워크 정치의 시대 · 229
3. 미국의 사례: 갤빈의 정당 혁신 이론의 한계 · 237
4. 한국의 사례: 구호에 그친 네트워크 정치의 한계 · 247
5. 결론: 한국과 미국의 서로 다른 미래에 대한 전망 · 269
Ⅲ. 정당의 미래
▶ 정당 내 정파(faction) 문제와 정치 양극화: 탈산업시대 정당의 위험요소와 극복 방향 _ 임성호
1. 서론: 정당모델과 정파 · 277
2. 탈산업시대 정당의 성격: 모습의 변화, 기능의 존속 · 280
3. 탈산업시대 정당의 위험요소: 정파 경쟁의 부작용 · 285
4. 정파의 함정을 피하기 위한 방향 · 294
5. 결론 · 300
찾아보기 · 305
저자소개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