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88947541749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7-01-20
책 소개
목차
저자의 글
1부 프레임
1장 경제와 금융의 시소 게임
산업의 성장과 금융 시스템│돈에게 일을 시켜야 하는 시대│정책과 금융시장의 관계
2장 인공지능과 금융의 미래
IT 혁명과 금융 생존 전략│금융, 인공지능을 만나다│로보 시대, 자본주의와 금융
3장 자산시장 들여다보기
금융의 교환 가치와 희소성│자산시장도 진화한다│자산별로 분석한 투자 프레임(부동산, 주식, 채권, 외환, 원자재)
4장 투자의 시선과 시장 분석
투자를 바라보는 두 시선│투자는 세상을 보는 지혜│오랜 논쟁의 종결
5장 전문가 vs. 아마추어
왜 보수가 높다고 생각할까?│스페셜리스트 vs 제너럴리스트│결정적 순간, 최선의 선택
2부 선택
6장 금융시장 예측력 키우기
자신을 믿는 시장 분석법│핵심 지표의 진선미 선발│금융시장의 노스트라다무스
7장 핵심 지표 제대로 읽기
경제 데이터 4가지만 알자│스마트지수 높이기│금융 상품, 나눠보고 쪼개보고
8장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적정 계산법
한중미 경제성장과 주가 상승률│합리적인 결정과 전망│적정 지수 계산법
9장 사이클 타고 자산시장 달리기
변동성을 이기는 사이클 분석│워런 버핏의 라이딩│사이클 타고 자산시장 정하기
10장 시장 고수의 칼 다루기
칼 다루기 전 마음가짐│칼 다루는 방법│칼 가는 비법
부록 by 만화가 김대진
리뷰
책속에서
성장경제는 경제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생산자인 기업이 만들면 팔리는 생산 중심의 시대입니다. 그래서 고성장과 고물가가 특징으로 나타납니다. 금융도 자금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는 고금리의 시대입니다. 반면 성숙경제는 이미 경제 기반이 충분해 생산 중심의 시장이 소비 중심의 시장으로 넘어가는 단계입니다. 그래서 저성장?저물가로 바뀌는 시대, 자금의 수요보다는 공급이 많은 저금리의 시대입니다. 성장경제의 금융은 대출 같은 자금 조달이 중심이지만, 성숙경제의 금융은 자산 운용이 중요합니다. 성장경제 시대에는 금리가 높고 임금상승률도 높아 ‘열심히 일하면 돈을 벌 수 있는 시대’였지만 성숙경제 시대인 지금은 저금리, 낮은 임금상승률로 인해 ‘돈에게 일을 시켜야 하는 시대’로 바뀌었습니다. _24쪽 <1장 경제와 금융의 시소 게임> 중에서
금융가에 성큼 다가온 미래의 일을 상상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투자 천재들의 의사결정을 외우는 방법입니다. 마치 이세돌의 기보를 외우듯 벤저민 그레이엄?필립 피셔?워런 버핏?피터 린치?존 템플턴 등의 투자 방식과 의사결정의 데이터를 외우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세돌의 기보는 계량화가 쉽겠지만 투자 천재들의 비결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현존하는 투자 천재들의 정보 처리를 입력한다고 해도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어려울 것입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알 수 없다면 판단에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_73쪽 <2장 인공지능과 금융의 미래> 중에서
전문가는 투자를 운이나 재수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워런 버핏의 절친한 동료이자 버크셔 해서웨이의 부회장인 찰리 멍거는 투자를 “폭넓은 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유기체적 지식 덩어리”로 정의했습니다. 투자를 잘하려면 경제?경영?금융의 중요한 개념 모형을 습득해야 합니다. 물리학?생물학?심리학?사회과학?철학?문학 등에서 빅 아이디어를 찾아야 합니다. 그래서 성공하는 투자자는 새로운 생각에 자기 자신을 노출하는 지적 호기심이 강한 사람입니다. 여기에 자기만의 방식을 개발할 때 놀라운 창발이 일어납니다. 이렇게 투자는 세상을 보는 지식과 지혜입니다. _129쪽 <4장 투자의 시선과 시장 분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