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은퇴설계
· ISBN : 9788947545969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0-06-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4
Part1. 은퇴
1. 은퇴 후 삶은 앞으로의 인생 30년을 말해준다 · 13
2. 은퇴는 돈, 일, 건강, 취미, 관계, 마음가짐에 대해 알아야 한다 · 18
3. 은퇴 후 삶에서 성공하는 사람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 24
4. 은퇴 후의 막연한 걱정을 구체적으로 적어보면 미래가 보인다 · 31
5. 평범한 사람이 은퇴 준비를 잘하는 비결 · 37
Part2. 돈
1. 노후 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 47
2. 노후에 반드시 피해야 할 네 가지 · 55
3. 노후에 반드시 준비해야 할 연금 · 61
4. 노후 자금을 위한 전략 · 67
5. 주거비, 자녀 결혼, 저금리, 물가상승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 73
Part3. 일
1. 재취업은 은퇴 10년 전, 현직에 있을 때 준비해야 한다 · 81
2. 맞춤형 이력서를 만드는 방법과 면접 보는 방법 · 86
3. 구직활동에 필요한 자격을 취득하는 방법 · 92
4. 창업과 창직을 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 98
5.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는 방법 · 105
6. 나의 명함에 무엇을 적고 싶은가? · 110
Part4. 생활
1. 나를 가장 행복하게 하는 일, 자원봉사 · 119
2. 새로운 터전에서 새로운 삶을 사는 방법 · 125
3. 생활을 단순화해야 행복하다 · 131
4. 혼자서만 생활하지 않는다 · 137
Part5. 취미
1. 평생 할 수 있는 취미를 시작한다 ·147
2. 글쓰기를 통해 나를 돌아본다 · 153
3. 버킷리스트가 있다면 미루지 말고 해본다 · 159
4. 취미와 놀이도 함께할 때 시너지가 커진다 · 164
5. 취미도 돈벌이가 될 수 있다 · 169
Part6. 관계
1. 나이 들수록 돈보다 중요한 건 관계 · 179
2. 황혼이혼을 피하는 대화법 · 185
3. 자녀의 교육비와 결혼 자금은 상한선을 정해 미리 말한다 · 192
4. 나이 들수록 친구는 꼭 필요하다 · 197
5. 가능하면 황혼육아는 맡지 않는다 · 203
Part7. 건강
1. 시니어 건강 수칙 · 211
2. 병과 죽음에 대비하는 자세 · 218
3. 몸에 좋은 음식, 몸에 나쁜 음식 · 224
4. 은퇴 후에 좋은 운동과 나쁜 운동 · 231
5. 치매를 예방하는 방법 · 238
Part8. 마음
1. 은퇴는 슬픈 일이 아니라 행복한 일이다 · 247
2. 갑옷을 벗어버린다 · 253
3. 나만의 멋과 매력을 만들어간다 · 258
4. 죽음과 장례식에 대해 생각해본다 · 265
5. 나의 삶을 회고하는 자서전을 써본다 · 270
에필로그 · 27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제일 먼저 내 자산 현황을 파악한다. 옷을 잘 입는 사람은 쇼핑하러 가기 전에 자신의 옷장에 어떤 옷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는 옷과 맞춰 입을 새 옷을 구입한다고 한다. 자산 관리도 마찬가지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은 얼마고, 보유한 예금과 적금, 현금이 얼마인지 구체적으로 적어서 계산해보는 것도 좋다. 거래하는 은 행의 어플리케이션이나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나의 자산 관리 메뉴’ 등을 이용하면 본인의 금융자산과 부채 현황도 한눈에 볼 수 있다. 은퇴 예상 나이 등 정보를 입력하면 퇴직 후 필요한 자금과 부족한 자금이 자동으로 계산된다. 각종 은행의 ‘자산 관리 메뉴’,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의 ‘통합연금 포털’에서 국민연금, 공적연금, 개인연금 등 연금 준비 현황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력서는 지원한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 능력 위주로 써야 한다. 성과는 OO회 실행, OO원 달성 등 수치화해서 작성한다. 화려했던 이력이라도 업무와 관련이 없다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과거의 경력을 기재할 때 자기자랑으로 보이지 않게 주의하자. 너무 화려한 이력 때문에 서류에서 탈락되는 경우도 있다. 어떤 회사는 ‘일류 대학 출신은 안 뽑는다’는 곳도 있다. 아무리 실력과 경력이 좋아도 ‘이 사람은 안 되겠다’라는 인상을 주면 안 된다. 서류전형에서 첫인상은 사진이다. 머리 손질도 하고 단정한 정장을 입고 사진관에 가서 기왕이면 잘 나온 사진으로 준비해둔다. 학력을 적을 때는 연도와 학위 등을 정확하게 적어야 한다. 기관에 따라 출신 학교명을 적지 않고 전공분야와 학위만을 적게 하는 곳도 있다. 경력을 작성할 때는 지원하는 회사의 채용 의도와 맞는 경력을 작성하는 것이 좋고, 관계없는 것은 적지 않아도 된다.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 구입 지원’ 제도는 귀농인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 지원을 위해 농업창업에 필요한 자금을 융자해준다. 이주 기한, 거주 기간, 교육 이수 실적 등 조건에 따라 농업창업 자금은 3억 원 이내, 주택 지원 자금은 7,500만 원 이내, 연 2% 15년 상환 방식으로 대출이 가능하다. 융자금 지원과 각종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농지원부 등록’, ‘농업경영체 등록’, ‘농협 조합원 가입’ 등 세 가지가 필수사항이다. 신청은 면사무소나 귀농, 귀촌 센터에서 정보 확인 후 방문하면 된다. 귀농귀촌 박람회, 귀어귀촌 아카데미, 온라인 교육, 현장실습 교육 등 다양한 지원정책은 해당 지역 센터 방문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