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창의적사고/두뇌계발
· ISBN : 9788949705118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09-01-11
책 소개
목차
처음 교단에 서는 당신에게
1장 교사는 특별하고 특별한 직업
사랑이야말로 최고의 선생님이다/19
교사들이여, 먼저 긍지(자만)를 버려라/32
우리 선생님은 마법사라는 믿음을 주어라/38
2장 마법수업의 기술을 갈고 닦는다
놀이를 통해 교육한다/48
아이들과 사이가 좋아지는 교사의 기술/56
훌륭한 교사는 결코 물러서지 않는다/60
아이들의 미래를 걱정하는 교사가 돼라/66
살아 움직이는 전략수업
1장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즐기는 수업
첫 만남을 비주얼하게/75
선생님도 때때로 변신해서 등장한다/76
가위바위보 놀이를 한다/77
이런 학생은 어떻게 출발시킬까 /78
‘책 읽어주기’ 코너를 학급에 만든다/78
아이들이 짓궂은 장난을 걸어오면 /82
교사가 저지르기 쉬운 실수 /83
2장 지루하지 않은 즐거운 수업
강의식 수업이여 안녕/85
아이들이 바라는 ‘즐거운 수업’이란/86
유능한 교사는 용감하게 틀을 깨뜨린다/87
좋아하는 교사의 수업은 재미있다/90
즐겁게 공부하도록 유도하라/94
아이들에게 사랑과 용기를 주는 이야기/98
3장 발표력을 높이는 신나는 수업
빗나간 발표라도 적극 평가하는 수업/108
발표할 때는 누구나 긴장한다/113
실전! 편안하고 즐거운 교실/117
4장 시선을 맞추는 수업
메모를 들여다보면서 수업하는 교사/124
시선을 의식하지 않는 학급에서 일어나는 일/125
시선을 의식하면 지시대로 못하는 아이가 보인다/126
시선으로 교실공간을 지배해 나간다/127
능력 있는 교사의 눈빛은 흐릿하지 않다/130
어째서 제대로 보지 못할까/131
어떻게 해야 똑바로 볼 수 있을까/133
5장 교사의 배려가 느껴지는 수업
선생님의 관심을 느끼게 하자/138
씩씩하게 인사 잘하기 1학년 대작전/141
역할놀이를 통해 화해를/144
불만이 많은 학생을 타이르는 요령/145
자습 시간 떠들 때의 대책/147
이동교실에서 수업할 때/148
앞쪽 자리로 학생을 모이게 하는 비결/148
수업 끝종이 울렸을 때/149
학생이 선생님에게 보내는 마음의 신호
1장 칭찬은 아이를 성장시키고 꾸중은 아이 마음을 움직인다
아이들을 망가뜨리는 교사/152
칭찬은 ‘가속기’, 꾸중은 ‘제동장치’/155
칭찬이 부리는 마법/156
선생님의 칭찬은 아이에게 용기를 준다/166
꾸중이 부리는 마법/170
성적이 아니라 게으름을 꾸짖어라/178
한번쯤 용서해주자/179
2장 왜 나무라는가/
너를 아끼기 때문에 나무란다/182
난폭한 아이에게 좋은 표현방법 가치를 배우게 한다/191
격정을 참지 못하는 아이/194
교사에게 반발하는 아이/197
옳지 못한 행동을 되풀이하는 아이/200
내성적인 아이/202
착실한 아이도 공평하게 나무란다/204
거짓말이나 핑계가 많은 아이/207
너무 열성적인 학부모/209
3장 집단따돌림에는 어떻게 대처할까
교사의 절대 금기, 편애/212
왕따를 막아라/214
싸움의 응어리를 남기지 않는 대원칙/220
잘못 대처하면 학급이 망가진다/224
초등 학년별 아이들 마음 연구
1장 즐겁게 풀어나가는 초등 저학년 심리
1.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마음을 이해하고 대응한다/229
아이들 말과 행동에 휘둘리지 않는다/233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가 보내는 마음의 신호/234
문제행동을 분석하고 이해한다/236
문제행동에는 어떻게 대응할까/239
1학년생에게 흔히 있는 일/244
아이의 용기를 북돋우려면/247
2. 초등학교 2학년
2학년은 두드러지지 않다/249
꿈꾸는 유년 시절을 산다/250
아동의 마음 변화/252
교사는 전략적 마법사/255
무리지을 준비를 한다/258
그래도 사랑스런 아이들/260
저자소개
책속에서
즐거움은 졸업한 학생의 성공을 지켜보면서도 느낄 수 있다. 모든 가르침은 아이의 미래를 위한 일이기 때문에 가르침의 즐거움은 시간이 지난 뒤에 나타나기도 한다. 예전에 가르쳤던 학생의 성공소식을 들으면 교사는 즐거움을 느낀다. 교사라면 누구나 부모 심정을 갖기 마련이다. 아이가 지혜를 얻어 풍성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랄 뿐이다. 이런 교사는 학생이 잘 지내고 있으며,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때 가장 큰 기쁨과 보람을 느낀다. - 본문 30쪽 중에서